Hearts of Iron IV/국가/해방 국가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Hearts of Iron IV/국가



파일:HOI4_Banner_for_700px.png
[ 국가 목록 보기 ]

7대 열강 국가프랑스 | 미합중국 | 영국 | 독일국 | 이탈리아 | 일본 | 소비에트 연방
고유 중점 국가UaR폴란드
TfV남아프리카 | 뉴질랜드 | 영국령 인도 | 캐나다 자치령 | 오스트레일리아
DoD루마니아 | 유고슬라비아 | 체코슬로바키아 | 헝가리 왕국
WtT광서군벌 | 만주국 | 산서군벌 | 서북삼마 | 신강군벌 | 운남군벌 | 중국 | 중국 공산당
MtG네덜란드 | 멕시코
LaR스페인 | 포르투갈
BtB그리스 왕국 | 불가리아 | 터키
NSB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에스토니아
BBA스위스 | 에티오피아
AAT노르웨이 | 스웨덴 | 덴마크 | 핀란드 | 아이슬란드
일반 국가유럽룩셈부르크 | 벨기에 | 아일랜드 | 알바니아 | 오스트리아
남아메리카과테말라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칠레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라이베리아 | 아우사 술탄국
아시아네덜란드령 동인도 | 네팔 | 몽강연합자치정부 | 몽골 | 부탄 | 시암 | 아프가니스탄 | 영국령 말라야 | 탄누 투바 | 티베트 | 필리핀
중동사우디아라비아 | 예멘 | 오만 | 이라크 | 이란
민주주의 국가 | 공산주의 국가 | 파시즘 국가 | 비동맹주의 국가
국가 | 7대 열강 국가 | 고유 중점 국가 | 형성 가능 국가 | 해방 국가





1. 개요[편집]


게임 시작 시점에선 존재하지 않으며, 핵심 주만 남아있는 국가들이다. 핵심 주의 소유국이 직접 해방시키거나 이벤트, 평화협정을 통해 등장하며, 이 국가들은 해방 주체의 이념을 따라간다. 사실상 게임의 엔딩을 장식하거나 종주국-괴뢰국 컨셉 플레이를 하는 용도의 국가들이다.

일부 국가는 특정 조건하에서만 해방국가를 만들수 있다.[1]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Hearts of Iron IV/국가 문서의 r15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Hearts of Iron IV/국가 문서의 r15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아래의 국호는 유로파 한글모드, 2020년 7월 1일 번역본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해방 시 가지고 있는 기본 이념에 해당하는 국호만 정리하였다. 여러 국가에 핵심 주가 나뉘어져 있는 경우엔 인력[윗첨자]로 구분하였다. 세부권역의 경우, 나무위키에 정리되어 있는 틀:지구의 대륙과 지역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2. 해방 국가 목록[편집]




2.1. 유럽[편집]


국가태그기본이념핵심주 인구(M)점령국가세부권역
북아일랜드NIR민주주의1.20영국서유럽
브르타뉴BRI비동맹주의2.39프랑스서유럽
비시 프랑스[A]없음[B]
VIC[2]
파시스트13.66프랑스서유럽
벨기에-북프랑스 국가판무관부[A]BEL파시스트8.23[벨]
2.98[프]
프랑스
벨기에
서유럽
스코틀랜드SCO민주주의4.70영국서유럽
옥시타니OCC민주주의14.0프랑스서유럽
웨일스WLS민주주의2.31영국서유럽
코르시카COR민주주의0.32프랑스서유럽
동독[A][C]DDR공산주의22.18독일국중부유럽
메클렌부르크 대공국[A]MEK비동맹주의0.84독일국중부유럽
바이에른 왕국[A]BAY비동맹주의6.64독일국중부유럽
베스트팔렌 왕국[A]HAN비동맹주의9.61독일국중부유럽
뷔르템베르크 왕국[A]WUR비동맹주의5.09독일국중부유럽
서독[A][C]WGR민주주의37.59독일국중부유럽
슐레스비히-홀슈타인[A]SHL비동맹주의3.25독일국중부유럽
슬로바키아[A]SLO파시스트2.42[3]~4.14[4]체코슬로바키아중부유럽
작센 왕국[A]SAX비동맹주의5.59독일국중부유럽
프로이센 왕국[A]PRE비동맹주의25.31독일국중부유럽
아이슬란드ICE민주주의0.12덴마크북유럽
몰도바MOL민주주의2.86루마니아 왕국동유럽
벨라루스 공화국BLR민주주의5.30[소]
3.56[폴]
소비에트 연방
폴란드
동유럽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A]BLR파시스트5.30[소]
3.56[폴]
2.92[라]
2.20[리]
1.10[에]
소비에트 연방
폴란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동유럽
단치히 자유시[5]DNZ파시스트0.37폴란드동유럽
실레시아SIL민주주의4.45[독]
1.00[폴]
독일국 폴란드동유럽
카슈비아KSH민주주의1.12[독]
1.08[폴]
독일국 폴란드동유럽
카렐리야KAR민주주의0.62[소]
0.41[핀]
소비에트 연방 핀란드동유럽
크림CRI민주주의1.72소비에트 연방동유럽
돈 공화국[A]DON비동맹주의5.43소비에트 연방동유럽
쿠반 공화국[A]KUB비동맹주의7.28소비에트 연방동유럽
갈리시아 공화국GAL, GLC[11]민주주의2.29스페인남유럽
달마티아[A]없음[B]비동맹주의1.43유고슬라비아남유럽
보이보디나[A]없음[B]비동맹주의0.84유고슬라비아남유럽
마케도니아 공화국MAC민주주의1.37유고슬라비아남유럽
몬테네그로 공화국MNT민주주의0.89유고슬라비아남유럽
몰타MLT민주주의0.24영국남유럽
바스크NAV민주주의1.29[스]
0.28[프]
스페인
프랑스
남유럽
안달루스[6]ADU비동맹주의1.68, 24.77[7]스페인남유럽
세르비아SER비동맹주의4.24유고슬라비아남유럽
카탈루냐 자유공화국CAT민주주의3.04, 11.52[11]스페인남유럽
코소보KOS민주주의0.62유고슬라비아남유럽
키프로스 공화국CYP민주주의0.35영국남유럽
트란실바니아TRA민주주의5.53[루]
0.60[유]
루마니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남유럽
교황령PAP비동맹주의8.97이탈리아남유럽
토스카나 대공국TOS비동맹주의3.08이탈리아남유럽
양시칠리아 왕국TTS비동맹주의12.50이탈리아남유럽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LBV비동맹주의11.42이탈리아남유럽
사르데냐-피아몬테SPM비동맹주의5.76이탈리아남유럽


2.1.1. 마리옐 (MEL)[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마리옐(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1.2. 바시코르토스탄 (BSK)[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바시코르토스탄(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1.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BOS)[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유고슬라비아


2.1.4. 사프미 (SMI)[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사프미(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소비에트 연방


2.1.5. 슬로베니아 공화국 (SLV)[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슬로베니아 공화국(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2.1.6. 우드무르티야 (UDM)[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우드무르티야(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1.7. 우크라이나 공화국 (UKR)[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우크라이나 공화국(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루마니아, 소비에트 연방, 폴란드


2.1.8. 추바시야 (CHU)[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추바시야(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1.9. 크로아티아 독립국 (CRO)[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크로아티아 독립국(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2.1.10. 타타르스탄 (TAT)[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타타르스탄(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1.11. 헤르체고비나 (HRZ)[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헤르체고비나(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유고슬라비아


2.2. 아메리카[편집]


국가태그기본이념핵심주 인구(M)점령국가세부권역
네덜란드령 엔틸리스CRC민주주의0.08네덜란드카리브
과들루프 공화국GDL민주주의0.44프랑스카리브
바하마 연방BAH민주주의0.05영국카리브
영국령 앤틸리스 공화국BAS민주주의0.10영국카리브
자메이카JAM민주주의1.07영국카리브
트리니다드토바고 공화국TRI민주주의0.41영국카리브
푸에르토리코PUE민주주의1.54미합중국카리브
벨리즈BLZ민주주의0.05영국중앙아메리카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GYA민주주의0.30영국남아메리카
수리남 공화국SUR민주주의0.15네덜란드남아메리카
카옌 공화국CAY민주주의0.05프랑스남아메리카
미주연합[A]CSA민주주의미합중국북아메리카
미 비동맹 합중국[A][8]USB비동맹주의미합중국북아메리카


2.3. 아시아[편집]


국가태그기본이념핵심주 인구(M)점령국가세부권역
캄보디아 공화국CAM민주주의5.25프랑스동남아시아
몰디브MLD민주주의0.08영국남아시아
방글라데시BAN민주주의32.0영국령 인도남아시아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SRL민주주의5.50영국남아시아
파키스탄PAK비동맹주의24.6[9]~56.6[10]영국령 인도남아시아
레바논LEB민주주의1.10프랑스서아시아
시리아SYR민주주의2.20[11]프랑스서아시아
통일 아랍에미리트UAE비동맹주의0.17영국서아시아
아르메니아 공화국ARM민주주의1.25~2.28[12]소비에트 연방
터키[13]
서아시아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AZR민주주의2.88[소]
2.82[페]
소비에트 연방
이란 제국
서아시아
요르단 왕국JOR비동맹주의0.93영국서아시아
이스라엘ISR민주주의0.93영국서아시아
조지아 공화국GEO민주주의2.95소비에트 연방서아시아
칼미키야KAL민주주의0.16소비에트 연방서아시아
카타르 공화국QAT민주주의0.05영국서아시아
쿠르디스탄KUR민주주의1.77[터]~2.85[14]
0.33[프]
1.22[이]
2.27[페]
터키
프랑스
이라크
이란 제국
서아시아
쿠웨이트KUW민주주의0.08영국서아시아
팔레스타인PAL민주주의0.93영국서아시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UZB민주주의7.31소비에트 연방중앙아시아
카라칼파크스탄KKP민주주의0.25소비에트 연방중앙아시아
히바 자디드 공화국KHI민주주의0.38소비에트 연방중앙아시아
부하라 자디드 공화국BUK민주주의2.19소비에트 연방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KAZ민주주의6.67소비에트 연방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KYR민주주의0.23소비에트 연방중앙아시아
타지키스탄 공화국TAJ민주주의0.23소비에트 연방중앙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 공화국TMS민주주의1.06소비에트 연방중앙아시아
볼가 독일 공화국VGE민주주의0.61소비에트 연방중앙아시아
부랴티야 공화국BYA민주주의0.37소비에트 연방북아시아
알타이ALT민주주의2.26소비에트 연방북아시아
하카시야 공화국KHA민주주의1.56소비에트 연방북아시아
사하 공화국YAK민주주의0.44소비에트 연방북아시아
극동 공화국FER민주주의4.23[15]소비에트 연방북아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독립 공화국VLA민주주의1.13소비에트 연방동아시아
추코트카 공화국CKK민주주의0.03소비에트 연방북아시아
타이미리야TAY민주주의0.02소비에트 연방시베리아
야말 공화국YAM민주주의0.04소비에트 연방시베리아
네네츠NEN민주주의0.02소비에트 연방시베리아
코미 공화국KOM민주주의0.19소비에트 연방시베리아
오스탸크-보굴 국민공화국OVO민주주의0.1소비에트 연방시베리아


2.3.1. 다게스탄 산악 공화국 (DAG)[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다게스탄 산악 공화국(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3.2. 라오스 공화국 (LAO)[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라오스 공화국(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프랑스


2.3.3. 버마 (BRM)[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버마(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영국령 인도


2.3.4. 베트남 공화국 (VIN)[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공화국(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프랑스


2.3.5. 북오세티야-알라니야 (NOA)[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북오세티야-알라니야(Hearts of Iron IV)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3.6. 압하지야 (ABK)[편집]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3.7. 체첸-인구시 공화국 (CIN)[편집]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3.8. 카바르디노-카르차이발카르 연방공화국 (KBK)[편집]



점령 국가: 소비에트 연방


2.3.9. 한국 (KOR)[편집]



점령 국가: 일본


2.4. 아프리카[편집]


국가태그기본이념핵심주 인구(M)점령국가세부권역
리비아 왕국LBA비동맹주의0.72이탈리아북아프리카
모로코 왕국MOR비동맹주의5.06[프]
0.76[스]
프랑스
스페인
북아프리카
리프 공화국RIF비동맹주의0.74스페인북아프리카
사라위 아랍민주공화국WES비동맹주의0.02스페인북아프리카
수단SUD비동맹주의5.70영국북아프리카
알제리ALG비동맹주의6.46프랑스북아프리카
이집트 왕국EGY비동맹주의14.8영국북아프리카
튀니지TUN비동맹주의2.41프랑스북아프리카
르완다RWA비동맹주의1.71벨기에동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공화국MAD비동맹주의4.01프랑스동아프리카
말라위MLW비동맹주의1.60영국동아프리카
부룬디BRD민주주의2.14벨기에동아프리카
소말리 술탄국SOM비동맹주의0.95[영]
1.80[이]
2.30[에]
0.08[프]
영국
이탈리아
에티오피아
프랑스
동아프리카
에리트리아ERI민주주의0.60이탈리아동아프리카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AOI파시즘0.00[16]이탈리아
영국
동아프리카
우간다UGA민주주의3.51영국동아프리카
지부티DJI비동맹주의0.08프랑스동아프리카
케냐KEN비동맹주의3.39영국동아프리카
탄자니아TZN비동맹주의5.30영국동아프리카
티그라이TIG비동맹주의1.00에티오피아동아프리카
퀘만트국QEM비동맹주의1.00에티오피아동아프리카
베니샹굴구무즈국BEG비동맹주의1.50에티오피아동아프리카
감벨라GBA비동맹주의1.50에티오피아동아프리카
시다모 왕국SID비동맹주의0.95에티오피아동아프리카
오로미아ORO비동맹주의4.15에티오피아동아프리카
하라흐 토후국HAR비동맹주의1.50에티오피아동아프리카
나미비아NMB민주주의0.46남아프리카남아프리카
잠비아ZAM민주주의1.38영국남아프리카
가봉GAB비동맹주의0.41프랑스중앙아프리카
앙골라ANG비동맹주의3.22포르투갈중앙아프리카
자이르COG비동맹주의7.61벨기에중앙아프리카
적도 기니EQG비동맹주의0.18스페인중앙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공화국CAR비동맹주의1.13프랑스중앙아프리카
차드CHA비동맹주의1.46프랑스중앙아프리카
카메룬CMR비동맹주의2.94프랑스중앙아프리카
콩고브라자빌RCG비동맹주의0.75프랑스중앙아프리카
가나GHA비동맹주의3.16영국서아프리카
감비아GAM민주주의0.20영국서아프리카
기니GNA비동맹주의0.19프랑스서아프리카
기니비사우GNB공산주의[17]0.36포르투갈서아프리카
나이지리아NGA비동맹주의19.8영국서아프리카
니제르NGR비동맹주의2.00프랑스서아프리카
다호메이DAH비동맹주의1.35프랑스서아프리카
말리MLI비동맹주의3.40프랑스서아프리카
모리타니MRT비동맹주의0.35프랑스서아프리카
세네갈SEN민주주의1.64프랑스서아프리카
시에라리온SIE민주주의1.77영국서아프리카
오트볼타VOL비동맹주의3.19프랑스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IVO비동맹주의3.85프랑스서아프리카
토고TOG비동맹주의1.10프랑스서아프리카


2.4.1. 모잠비크 (MZB)[편집]



점령 국가: 포르투갈


2.4.2. 보츠와나 (BOT)[편집]



점령 국가: 영국


2.4.3. 짐바브웨 (ZIM)[편집]



점령 국가: 영국


2.5. 오세아니아[편집]


국가태그기본이념핵심주 인구(M)점령국가세부권역
마리아나 연방GUM민주주의0.07[미]
0.02[일]
미합중국
일본
미크로네시아
미크로네시아 연방국FSM민주주의0.11일본미크로네시아
멜라네시아 연방FIJ민주주의0.19영국멜라네시아
솔로몬 제도SOL민주주의0.15호주멜라네시아
파푸아 뉴기니PNG민주주의1.42호주멜라네시아
타히티TAH비동맹주의0.163프랑스멜라네시아, 폴리네시아
사모아 독립국SAM민주주의0.123뉴질랜드폴리네시아


2.5.1. 하와이 왕국 (HAW)[편집]



점령 국가: 미합중국



[1] 영국은 이집트(철인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탈식민지화 루트를 통해서만 해방이 가능하며, 스페인은 내전이 끝난 이후에 해방이 가능하다. BfB 이후로 유고슬라비아로 구성국 해방은 불가능해졌으며, 자치 정부 설립 루트를 통해서만 해방이 가능하다. 터키, 이란, 이라크는 쿠르디스탄 해방이 불가능하므로 쿠르디스탄 지역에 코어가 박혀있는 국가들은 해방이 안되게끔 설정되어 있어서 쿠르디스탄 플레이를 하려면 프랑스로 시작해야 한다. 소련은 좌익 반대파 루트에서 해방시키는 방법이 있다.[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게임 시작 시 코어가 없으며, 중점이나 이벤트, 디시전으로 생성되는 국가지만 편의상 분류하였음.[B] A B C D01~D50 태그 중 무작위로 배정[2] 실제 태그는 D01~D50 중에서 배정되고 VIC 태그 또한 사용 가능하다.[C] A B 얄타 회담 메커니즘의 변경으로 더이상 인게임 내에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여전히 국가 태그는 살아있다.[3] 서슬로바키아, 동슬로바키아 지역에서만 형성될 때 기준(역사적)[4] 남슬로바키아,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까지 포함해 형성될 때 기준(1939 시나리오, 비역사적)[5] 단치히 자유시 통제 중점을 통과한 뒤 저항도 관리에 실패하면 독립한다. 독립한뒤에는 3개의 사단이 생성되며 잘 뚫리지도 않으며 이후엔 추축국까지 가입한다.[11] A B 11월 11일 활성화시[6] 11월 11일 활성화 시에만 등장함[7] 스페인 본토를 전부다 합병할시[8] 해당 국가는 내전에서의 중립지대를 표현하기 위해 구현된 국가이므로 콘솔 등을 이용하지 않을 시 조작이 불가능한 국가이다.[9] 방글라데시 미포함[10] 방글라데시 포함[11] 하타이 주 이양 이전 기준[12] BfB DLC, 그리스의 메갈리 협약(이라클리온 조약)에 영국이 동의하면 터키 트라브존 주에 아르메니아 코어가 형성됨.[13] BfB DLC, 그리스의 메갈리 협약(이라클리온 조약)에 영국이 동의하면 터키 트라브존 주에 아르메니아 코어가 형성됨.[14] BfB DLC, 그리스의 메갈리 협약(이라클리온 조약)에 프랑스가 동의하면 터키 아다나 주(기본 영유권 주)에 쿠르디스탄 코어가 형성됨.[15] 하바롭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 통합 시 5.36, 추코츠키까지 통합하면 5.39다.[16] 핵심주 미보유 대신 국민정신에 비핵심인력 25%를 퍼주고 장관진에 순응도와 비핵심인력 10% 올려주는 장관이 있어서 총만 주면 인력은 많이 나오는 편이다.[17] 이벤트로 형성되는 동독을 제외하면 해방 국가 중에서 기본 이념이 공산주의인 유일한 국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