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T(maimai 시리즈)

덤프버전 : (♥ 0)

1. 개요
2.1. MASTER
2.2. Re:MASTER



1. 개요[편집]


maimai FiNALE
PANDORA BOXXX
[ 펼치기 · 접기 ]

[[QZKago Requiem|
파일:maimai GreeN.png
파일:QZKago_Requiem.jpg
]]???
?
[[Schwarzschild|
파일:maimai 무인.png
파일:Schwarzschild.png
]]???
?
[[Alea jacta est!|
파일:maimai PiNK.png
파일:Alea jacta est!.png
]]???
?
[[FFT(maimai 시리즈)|
파일:maimai MURASAKi.png
파일:FFT.png
]]???
?
[[雷切-RAIKIRI-|
파일:maimai MiLK.png
파일:雷切-RAIKIRI-(maimai).png
]]???
?
[[the EmpErroR|
파일:maimai ORANGE.png
파일:The_EmpErroR.jpg
]]???
?
6개의 엠블럼을 모두 획득 시 진입 가능
[[PANDORA PARADOXXX|
파일:maimai 무인 흑백.png
파일:PANDORA_PARADOXXX.jpg
]]???-????
?
???-???? 완주 후 등장
PANDORA PARADOXXX 완주 후 등장
[[Believe the Rainbow|
파일:maimai FiNALE.png
파일:Believe the Rainbow.png
]]???
?






maimai FiNALE의 수록곡으로, cybermiso가 Tone Sphere에 투고한 UFD, CFD의 후속곡이다. 동일 작곡가의 maimai MURASAKi 수록곡인 Panopticon과 비슷한 부분이 몇 군데 있다.

BGA의 문구와 전작들의 곡명을 보아, 곡명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의미하는것으로 보인다.

해금 조건은 1크레딧동안 모두 연회장 카테고리[1] 내에서 플레이하면 된다.[2]


2. maimai 시리즈[편집]


FFT
파일:FFT.png
아티스트cybermiso
장르maimai
BPM180
버전FiNALE
최초 수록일2019/03/08
maimai DX 난이도 체계
STANDARD
난이도BASICADVANCEDEXPERTMASTERRe:MASTER
레벨7912+14(14.0)14(14.5)
노트 수총합
(콤보 수)
260383407849947
TAP215282189580711
HOLD23681426163
SLIDE141753173155
BREAK815223518
보면제작--サファ太safaTAmagoJAQ


PANDORA BOXXX의 4주차 악곡으로 등장했다.


2.1. MASTER[편집]



AP 스크린 캡쳐 영상.[3]


AP 영상.[4]

슬라이드 위주의 보면으로 쉴새없이 슬라이드가 등장한다. 특히 후반으로 갈수록. 나중에는 슬라이드끼리 꼬여서 등장하므로 순서를 잘 기억한뒤 꼼꼼하게 처리하는것이 중요하다.
레벨 값은 하는 편이지만 동레벨의 다른 곡들이 워낙 강력하고 해당 보면은 슬라이드 암기와 처리법이 잘 숙달되어있다면 큰 무리없이 처리할수 있는 편이기에 같은 PANDORA BOXXX의 Alea jacta est!와 함께 동레벨에서 하위권을 담당하는 보면이다.


2.2. Re:MASTER[편집]



AP 스크린 캡쳐 오토 영상.


AP 영상.[5]

PANDORA BOXXX의 곡답게 13+를 배정받은 곡이였으나 13+중에서 최하위권을 담당하던 보면이였다. MASTER 난이도에서 슬라이드를 줄이고 탭 난타를 증가시켰으나 여전히 13레벨정도의 난이도였고 13+치고는 부족한 편. 거의 대부분의 랭커들이 13+중에서는 거의 1순위로 AP를 달성한 곡이기도 하다.

결국 maimai DX PLUS에서 같은 13+곡들이 14+로 상승할때 14레벨까지밖에 상승하지 못하여 너프를 당했다. 그래도 썩어도 준치라고 14 안에서는 꽤 어려운 축에 드니 주의할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23:35:04에 나무위키 FFT(maimai 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aimai MURASAKi때부터 연회장이 추가되었기 때문인것으로 추정된다.[2] 1인 플레이시 3곡, 2인 플레이시 4곡[3] 플레이어는 takerun.[4] 플레이어는 HAM.[5] 플레이어는 H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