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ment Mystic/오버워치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Element Mystic

파일:600px-Element_Mystic_Logo.png
엘리먼트 미스틱
Element Mystic
창단2017년 8월 1일
해체2020년 12월 19일[1]
팀명StarDust(2017)
Element Mystic(2017~2020)
모기업㈜빅픽처인터렉티브
감독김광복(Swingby)
코치강보현(Bling)
약칭EM
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우승 기록
건틀릿
(1회)
2019 서울
퍼시픽 쇼다운
(1회)
2019 상하이
컨텐더스
(1회)
2019 S1 KR
NeXT
(1회)
2019 어텀
APEX 챌린저스
(1회)
2017 S4
해체 당시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재희
MN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희상
HeeSang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재
Kell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준화
Attac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강욱
Density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지훈
Jay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수현
ow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준
vigilante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팀 컬러





1. 개요[편집]


파일:EM_2020_GAUNTLET_LINEUP.png
Element Mystic

스타크래프트,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리그 코치, 감독 출신이면서 (주)빅픽처인터렉티브가 운영 중인 프로게이머 육성 전문 아카데미인 게임코치 아카데미에서 오버워치를 교육하고 있는 윤희원 감독과 오버워치 프로팀인 Rhinos Gaming Titan에서 Levi라는 닉네임으로 선수 활동을 했던 정충혁 코치가 창단한 신생팀이다.

이전 팀 네임은 잠깐 동안 스타더스트를 사용했으나 이후 2017년 08월 20일 챌린저스 예선 도전과 함께 엘리먼트 미스틱(Element Mystic)으로 팀명을 변경해 처음 오버워치 프로리그에 모습을 드러냈다. 팀 명의 발음이 어려워 엘레멘트 미스틱, 엘리멘탈 미스틱, 엘리멘트 미스틱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나 팀명은 엘리먼트 미스틱이 정식 명칭이다.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4 진출하면서 예선전에서 굉장한 저력을 보여주었는데, 무려 오프라인 예선에서 루나틱하이 2팀을 꺾고 올라온 유일한 팀이다.[2]

정식 창단된 8월을 기점으로 멤버 빌드업이 최종 완료되었으며, 타 팀과 다르게 팀의 감독, 코치, 선수 빌드업이 최종 완료된 2017년 8월 이후 단 2개월이라는 짧은 시간 만에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4에서 우승이라는 성과를 거두어 짧은 시간 내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거기다 2017 국가대표팀에게 압승하면서 GC부산과 같은 새로운 강자의 등장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부터 X6-GamingSeven이 함께 간다고 발표를 했다. 그러면서 추가로 논의중인 한 팀이 더 있다고 했었는데 그 팀이 Element Mystic이었고 시즌 중 공개되었으며 세 팀이 함께 간다고 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세 팀이 각각 회사의 소속이지만 형제팀처럼 같은 숙소, 연습실을 쓴다고 보면 된다.[3]


2. 주요 기록[편집]


주요 기록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4 정규시즌 우승
LW RedElement Mystic대회 폐지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 준우승
KONGDOO PANTHERAElement MysticO2 Blast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 우승
RunAwayElement MysticRunAway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퍼시픽 쇼다운 우승
대회 출범Element Mystic미정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 준우승
O2 BlastElement MysticRunAway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우승
대회 출범Element Mystic미정
2019 오버워치 NeXT Cup Autumn 우승
RunAwayElement MysticTeam CC
Huya Stars Cup 준우승
대회 출범Element Mystic미정

3. 대회 기록[편집]


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
날짜순위대회결과상대팀획득 상금
2017년 7월 15일준우승다비치배 오버워치 아마추어 대항전2:3백수6[4]$878
2017년 8월 7일패배빅파일 오버워치 배틀로얄0:4파일:x6-gaming.png X6-Gaming-
2017년 10월 18일우승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49/3풀 리그$912
2017년 10월 23일승리2017 오버워치 월드컵 국가대표 평가전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표팀-
2017년 10월 29일우승2017 오버워치 게임코치아카데미배 SURGE 리그3:0Showmanship7$2,623
2017년 12월 17일3위2017 오버워치 넥서스컵 Annual Finals1:3파일:판테라아이.png KONGDOO PANTHERA$3,029
2018년 4월 21일8강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2:3파일:O2_Ardeont_logo.png O2 Ardeont₩19,000,000
2018년 8월 5일4강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1:3파일:Runawaylogo.png RunAway₩22,000,000
2019년 1월 19일준우승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1:4파일:Runawaylogo.png RunAway₩28,000,000
2019년 5월 12일우승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4:0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65,000,000
2019년 5월 26일우승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퍼시픽 쇼다운4:2파일:O2 BLAST 2019 logo.png O2 Blast$50,000
2019년 9월 1일준우승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2:4파일:Runawaylogo.png RunAway₩30,000,000
2019년 10월 13일우승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4:1파일:ATL_Academy_logo.png ATL Academy$100,000
2019년 11월 8일우승2019 오버워치 NeXT Cup - Autumn4:3파일:Runawaylogo.png RunAway$11,321
2020년 5월 29일5-6위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0:3파일:Runawaylogo.png RunAway$3,000
2020년 8월 28일승리2020 오버워치 한중 라이벌전 Round 23:0파일:BLG_Overwatch_logo.png Bilibili Gaming-
2020년 10월 16일3-4위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2:3파일:WGS_Phoenix_Logo.png WGS Phoenix$25,000
2020년 11월 16일준우승2020 오버워치 후야 스타컵2:4파일:Runawaylogo.png RunAway$1,816.46
2020년 12월 19일4위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아시아2:3파일:Gen.G 로고.svg Gen.G$10,000

4. 역사[편집]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Stardust.png파일:600px-Element_Mystic_Logo.png
스타더스트엘리먼트 미스틱
StarDust Element Mystic
20172017201820192020

4.1. 2017년[편집]



4.1.1. 2017 오버워치 APEX Challengers 시즌 4[편집]




1차 리그에서는 무난한 성적을 보여주었으나, 2차 리그에서 제대로 각성하며 5전 전승을 거두고 독보적인 1위를 차지했다.

4.1.2. 2017 오버워치 월드컵 평가전[편집]


한국 국가대표 팀의 평가전 상대로 10월 23일 경기를 치렀다. 이전까지 세트 패배조차 거의 없던 국대팀을 3:0으로 압살하며 APEX 로얄로더 GC Busan에 이어 챌린저스의 저력을 보여줬다.

4.2. 2018년[편집]



4.2.1.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편집]





컨텐더스 트라이얼에 초청되었으나, 해체된 Lunatic-Hai의 시드권을 이어받게 되면서 바로 컨텐더스에 진출하게 되었다. 예상대로 강력한 모습을 보이며 디비전 A에서 5전 전승 1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디비전 B에서 4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O2 Ardeont와 플레이오프 8강에서 만나 2-3 리버스스윕으로 업셋을 당했다

4.2.2.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편집]






팀의 에이스라고 불리던 스파클이 징계로 출전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B조에서 4승 1패를 거두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 X6-Gaming과의 치열한 무박 2일 풀세트 경기 끝에 3:2로 4강에 진출했지만, 4강에서 만난 Runaway에 1:3으로 무너지며 대회를 마감했다.

4.2.3. 2018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3[편집]


Element Mystic
파일:Element Mystic 2018S3.png
감독윤희원
RUSH
코치김용진
Yong
로스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기효
Xz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한
Sp9rk1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하
Doha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재현
Alph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영현
Takoyak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한빈
Hanbin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동현
Uniqu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환
FixMe

B조의 지배자. 가장 유력한 우승후보 중 한 팀.

4승 1패 B조 1위로 그룹 스테이지를 마무리지었다. MTA와의 경기 전까지 전승을 달리고 있었으나, 2:3으로 패배를 당하였고, '한국 오버워치 공식 1부리그에서 전승우승은 없다'라는 징크스가 있어 우승각이 잡혔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이후 8강과 4강에서 GEEKSTAR와 StormQuake를 3:0으로 잡으면서 승승장구했으나, 결승에서 만난 Runaway에 1:4로 무릎을 꿇었다.

4.3. 2019년[편집]



4.3.1.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편집]






정규시즌 4승 3패로 3위를 기록했지만 마지막 주 경기에서 전승가도를 달리던 RunAway를 꺾으면서 기세가 올라갔고 이후 플레이오프에서 WGS ARMAMENT, Gen.G를 무실세트 경기로 차례차례 꺾고 결승에 올라온 O2 Blast마저 4대0으로 꺾어내면서 플레이오프 무실세트 우승을 달성했다. 엘리먼트 미스틱이 역대 컨텐더스에서 8강, 4강, 준우승 끝에 4번째 시즌에는 컨텐더스 첫 우승을 차지했다는 점도 하나의 성장드라마 같은 결과를 만들어냈다.

4.3.2.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퍼시픽 쇼다운[편집]





쇼다운에서 우승하며, 건틀릿 티켓 세장을 확보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퍼시픽 쇼다운/경기 내용 참고

4.3.3.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편집]


||




정규시즌에서는 2승 5패로 플레이오프를 막차로 승차하였다. 하지만 222 고정으로 진행된 플레이오프에서는 전 시즌 챔피언의 모습을 보이며, 결승까지 진출하는 쾌거를 보였다. 비록 러너웨이한테 결승에서 졌지만, 무사히 건틀릿 진출권을 확보 하였다.

4.3.4. 2019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편집]


||
파이널 브래킷
진출 팀
코리아북미
파일:Runawaylogo.png파일:ATL_Academy_logo.png
RunAwayATL Academy
건틀릿 그룹
진출 팀
코리아차이나퍼시픽
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파일:Gen.G 로고.svg파일:LGE_Logo_2018.png파일:600px-Talon_Esports_logo_2019.png
Element MysticGen.GLGE.HuyaTalon Esports
북미유럽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Envyus_Logo.png파일:XL2_Academy_edit.png파일:GLEGION.png파일:600px-HSL_Esports_logo_new_2018.png
Team EnvyXL2 AcademyGladiators LegionHSL Esports
호주 / 남미 시드권 없음




직전 컨텐더스에서 준우승으로 건틀릿 그룹에서 시작하였다. 2연승으로 깔끔하게 파이널 브래킷에 진출하였다. 승자 결승에서 러너웨이에게 4대2로 승리하여 지난 컨덴더스 결승의 수모를 갚아 주었고, 패자 결승에서 러너웨이를 4대0으로 꺾은 ATL 아카데미를 상대로 4대1로 압승하며, 5전 전승으로 건틀릿 우승컵을 들었다. 올해 4번의 대회에서 우승 3회, 준우승 1회라는 금자탑을 세우며 최고의 한해를 마무리했다.

4.4. 2020년[편집]


2019년 10월 25일, 팀의 주축 선수들이었던 스파클과 엑지, 최한빈과 함께 윤희원 감독이 파리 이터널로 이적하게 되었다. 이어서 도하가 댈러스 퓨얼로 이적했다. 이와 더불어 공석이 된 감독자리는 MVP, 런던 스핏파이어 감독직을 역임했던 김광복이 맡게 되었다.

4.4.1.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1[편집]


파일:DU-mc25X4AUr0Ro.png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2020 시즌 1 참가 팀
||
[ 펼치기 · 접기 ]



Element Mystic
파일:owc2020em.png
감독김광복
Swingby
코치안준혁
Yesman
로스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현성
Jus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세환
ChoiSehw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희상
HeeSang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재
Kell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경환
Anoth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재현
Alph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시헌
Roxy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LeGo : 로스터 말소.">[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순재
ANSOONJ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호
MCD


4.4.2.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시즌 2[편집]



'''
파일:DU-mc25X4AUr0Ro.png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2021 시즌 2 참가 팀
'''||



Element Mystic
파일:owc2020em_s2.png
전체 로스터 프로필 [ 펼치기 · 접기 ]
파일:Element Mystic 2020S2 playoff.jpg

감독김광복
Swingby
코치김대민
Daemin
강보현
Bling
로스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현성
Jus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재희
MN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세환
ChoiSehw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희상
HeeSang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재
Kell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진영
JungJinYo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준화
Attack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지훈
Jay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순재
ANSOONJ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호
MCD

정규시즌은 4승 0패, 전 경기 승리로 4강 플레이오프로 진출 하였지만, 준준결승에서 올라온 WGS에게 밀리며 3-4위로 끝나게 되었다.

2020년 11월 2일, 포모스 김용우 기자의 트윗을 통해 롤팀뿐만 아니라 오버워치, PUBG 등 전 e스포츠 종목 팀들을 해체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떴다.

다음날인 11월 3일, 엘미의 공식 트윗을 통해 팀 해체가 공표되었다. 그러나 뒤이어 OW팀 김광복 감독의 트윗에 따르면 올해까지 잔여 일정이 있어 올해 말까지는 팀을 유지하되, 자유롭게 이적 접촉이 가능하다고 알려졌다.

4.4.3.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편집]



Element Mystic
파일:2020EM.jpg
감독김광복
Swingby
코치강보현
Bling
로스터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
DAMAG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재희
MN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희상
HeeSang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
T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재
Kell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준화
Attac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강욱
Density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
SUPPOR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지훈
Jay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수현
ow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준
vigilante

엘리먼트 미스틱 해체 전 마지막 일정이다.

2020 오버워치 컨텐더스 건틀릿 한국 시드 선발전 승자 2라운드에서 TDI 상대로 1, 2세트까지 잘 해내다가 3, 4세트에 갑자기 밀리며 풀세트로 진행했었지만 결국 5세트 부산에서 이겨 승자 결승전에 진출해 O2 상대로 3:0으로 시드권을 따내 건틀릿 참여를 확정지었다.

본선 경기를 앞두고 아카데미 소속이던 Density, owo선수가 합류하였지만 대회에는 뛰지 못했다.[6]


4.5. 2021년[편집]



4.5.1. 오프시즌[편집]




5. 구성원[편집]



5.1. 로스터 연혁[편집]


로스터 연혁
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팀
Guard이희동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N/A2017년 8월 1일2018년 10월 16일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
Vesta이정우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17년 10월 14일파일:BlossoM_logo_200_200.png Team BlossoM
Sp9rk1e김영한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19년 10월 24일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 파리 이터널
Fearless이의석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2018년 2월 14일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DACO서동형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2018년 10월 28일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애틀랜타 레인
Rapel김준근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2018년 11월 25일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 밴쿠버 타이탄즈
Jecse이승수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2017년 10월 19일2018년 10월 18일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 서울 다이너스티
Xzi정기효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18년 1월 8일2019년 10월 25일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 파리 이터널
Pokpo박현준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GHN_logo.png GameHome Nexus2018년 2월 23일2018년 10월 28일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 애틀랜타 레인
Himgosu정희수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N/A2018년 7월2018년 10월 18일파일:Runawaylogo.png RunAway
Alpha신재현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Runawaylogo.png RunAway2018년 7월 1일2020년 6월 8일은퇴
Takoyaki이영현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Frecia_logo_200_200.png Frecia Gaming2018년 11월 7일2019년 12월 31일파일:Meta_A_logo_534.png Meta Athena
Hanbin최한빈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LYB_Purple_2018.png Legend Young Beyond2019년 10월 25일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 파리 이터널
Unique유동현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Frecia_logo_200_200.png Frecia Gaming2020년 4월 24일파일:Team_Diamond_Logo.png Team Diamond
FixMe임환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g7gEyZaX.jpg GrandXur2019년 2월 12일은퇴
Doha김동하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GoinWaterS.png GoinWaterS2018년 11월 20일2019년 11월 13일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Undine손영우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MVPSPACE.png MVP Space2019년 2월 25일2019년 12월 13일파일:뉴욕 엑셀시어 로고 1.svg 뉴욕 엑셀시어 분석가
MCD이정호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WiE esports.png White Whale Incheon eSports2019년 6월 19일2020년 11월 17일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 항저우 스파크
Spera정준우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EM_Academy_logo_std.png EM Academy2019년 11월 5일2020년 1월 10일파일:TOP HONOR.png Top Honor
HeeSang채희상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20년 12월 31일파일:Talon Esports 로고.svg Talon Esports
Wiz김현석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2020년 3월 17일은퇴
ChoiSehwan최세환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팀그리핀.png Griffin2019년 12월 14일2020년 11월 14일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Kellan김민재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EM_Academy_logo_std.png EM Academy2019년 12월 15일2020년 12월 31일파일:Talon Esports 로고.svg Talon Esports
Just신현성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파일:WiE esports.png White Whale ICN2019년 12월 16일은퇴
Another김경환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N/A2020년 2월 3일2020년 6월 8일파일:OZ_Gaming_no_text.png OZ Gaming
Roxy박시헌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EM_Academy_logo_std.pngEM Academy2020년 3월 17일2020년 7월 14일N/A
LeGo이도현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SLT 로고.svg Starlight Gaming
ANSOONJAE안순재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파일:bm_only_logo.png Team BM2020년 4월 10일2020년 11월 20일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 토론토 디파이언트
JungJinYoung정진영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파일:EM_Academy_logo_std.png EM Academy2020년 8월 11일2020년 12월 31일N/A
Jayhun한지훈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2020년 8월 12일은퇴
MN3윤재희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2020년 8월 13일파일:T1 로고.svg T1
Attack김준화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2020년 8월 14일파일:Talon Esports 로고.svg Talon Esports

5.2. 스태프 연혁[편집]


스태프 연혁
ID이름역할이전 소속입단탈퇴이적팀
Levi정충혁코치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600px-RG_Titan.png Rhinos Gaming Titan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SUPPORT
2017년 8월 1일2018년 11월 5일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 상하이 드래곤즈
RUSH윤희원감독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Stardust.png STARDUST[LoL]2019년 10월 24일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 파리 이터널
Yong김용진코치파일:1200px-Machi_Esports_2018_logo.png Machi Esports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TANK
2018년 11월 07일2019년 12월 09일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 댈러스 퓨얼
Swingby김광복감독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 런던 스핏파이어2019년 11월 1일2020년 12월 31일파일:Talon Esports 로고.svg Talon Esports
Yesman안준혁코치파일:VmaxLogo.png KNC Vmax2019년 12월 13일2020년 7월 13일N/A
Daemin김대민코치파일:Meta_A_logo_534.png Meta Athena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DPS
2020년 7월 14일2020년 11월 30일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 광저우 차지

6. EM Academy[편집]


파일:Element_Mystic_No_Text.png
엘리먼트 미스틱 아카데미
EM Academy
코치강보현(Bling)


7. 스폰서[편집]


파일:external/www.komplett.no/Logitech-G-logo-banner.png파일:gamecoachacademy.jpg파일:AKRacing_logo.png
logitech GGameCoach AcademyAKRACING

8.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굵직굵직한 사건사고가 많은 팀이나, 사건의 중대성만큼이나 재빠르고 현명한 팀 차원의 대처 덕분에 선수 관리 문제로 인한 비판에서 자유로운 팀 중 하나다. 엘미의 팬층이 두터운 이유이기도 하다.

8.1. 이정우 대리팀 소속 논란[편집]


이정우(프로게이머) 문서 참조.

8.2. 김영한 계정판매 및 일베 논란[편집]


2018년 5월부터 스파클 선수가 본인 명의의 오버워치 계정을 판매하고, 모 커뮤니티에서 일베를 연상시킬만한 닉네임을 달고 활동한다는 추측이 돌기 시작했다. 이후 계정을 판매했다는 실제 증거가 나오게 되면서 추측은 사실로 확인되었다.

2018년 6월 29일 팀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사과문과 징계 내용이 업로드되었다. 요약하자면, '계정 판매한 일은 사실이며 형법 상 위반은 아니나 게임 서비스 제공 약관 위반에 해당되어 시즌 2 로스터 제외라는 징계를 내렸다' 와 '일베발 유머를 보고 닉네임을 지은 것은 맞으나 일베에서 활동한 것은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히며 이번 논란에 대해 일축했다.

더해서 스파클 선수의 논란이 생각보다 크진 않았기에 토론토 디파이언트 입단 당시의 네코 선수의 경우보다 빠르게 묻혀들어갔으며, 성숙한 그의 인격으로 인해 "영한아 어쩌다 그랬어?" 식의 진심어린 팬들의 걱정스러운 반응만 받고 묻혔다. 이 일 이후로도 사고를 일으킬 의사를 보이지도 않았기에 성숙한 태도로 말미암아, 팀의 발빠른 대처 덕에 다행히 본인을 지켜나갈 수 있었기에 다행스러운 일. 해피 선수나 오지 선수에 비교하기 미안할 정도로 좋은 태도를 보여주어 이미지의 큰 손상 없이 성숙한 프로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9. 징크스[편집]


대회에서 엘미를 이긴 팀은 그 대회에서 좋지 못한 채로 끝나게 되는 징크스가 있다.


10. 관련 문서[편집]



11. 둘러보기[편집]



'''
파일:DU-mc25X4AUr0Ro.png오버워치 컨텐더스 코리아
역대 우승 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4 13:52:59에 나무위키 Element Mystic/오버워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연말 대회를 마지막으로 해체 선언.[2] 루나틱하이 2팀을 꺾은 팀은 총 2팀이나 나머지 한팀(Blaze)은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3] X6-GamingSeven은 이미 같은 숙소, 연습실을 사용 중이나 Element Mystic도 합류하는지는 공개된 바 없음.[4] TiZi, smurf, QoQ(당시 Doqq), michelle 등이 속해있었던 아마추어 팀[5] 前 SPT 이도현
LeGo
: 로스터 말소.
[6] Jayhun의 말로는 원래 손목부상으로 은퇴하고 owo선수가 뛸 예정이였으나 대회을 얼마 안남기고 구단에서 복귀요청을 하여 손목부상인 상태로 출전하였다.[LoL]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