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거 공격헬기

덤프버전 : (♥ 0)

파일:Eurocopter_Tigre.jpg
파일:EXPH-0094-07.jpg

1. 개요
2. 제원
3. 개발
4. 특징
4.1. 생존성
4.2. 기동성
4.3. 공격력
5. 형식
5.1. UHT 타이거
5.2. 타이거 HAP / HCP
5.3. 타이거 HAD
5.4. 타이거 ARH
5.5. 타이거 Mk.III
6. 문제점
7. 운용국
7.1. 프랑스
7.2. 독일
7.3. 스페인
7.4. 호주
8. 한국의 AH-X 사업
9. 대중매체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독일, 프랑스의 유로콥터사에서 개발한 공격헬기.


2. 제원[편집]


Eurocopter EC-665 Tiger
Le Airbus Helicopter EC665 Tigre
개발사에어버스 헬리콥터스
제조사에어버스 헬리콥터스
초도비행1991년 4월 27일
생산기간1991년~현재
생산댓수135대 (2017년 10월달 기준)
배치2003년 -
전장동체 : 13.85 m
날개 포함 : 15.82 m
전폭스텁윙 포함 : 4.53 m
날개 포함 : 13.0 m
전고3.83 m
회전면적133 m²
공허중량3,060 kg
적재중량5,090 kg
최대이륙중량6,000 kg
엔진MTU Turbomeca Rolls-Royce MTR390 터보샤프트 엔진 x2기
엔진출력Rolls-Royce MTR390
1,303 HP (x2 2,606 HP)
순항속력230 km/h
최고속력광학 시스템 탑재 시
290 km/h
광학 시스템 미탑재 시
315 km/h
항속거리전투시
800 km
외부연료탱크 탑재 시
1,300 km
추중비0.38 kW/kg
분당상승률10.7 m/s
실용상승한도4,000 m
항전장비Strix HA sight 레이저 거리측정기
Osiris sight 광학 시스템 (로터 상부 탑재)
하드포인트총 4개소
무장고정GIAT 30 30mm 기관포 1문
450발
기관포20mm 자동포 포드 x1기
로켓68mm SNEB 무유도 로켓 포드
히드라 70 70mm 무유도 로켓 포드
미사일AGM-114 헬파이어 × 4기 (호주 / 프랑스)
아케론 LP 대전차미사일 (프랑스)
스파이크-ER 대전차미사일 × 4기 (스페인)
PARS 3 LR 대전차미사일 × 4기 (독일)
HOT3 대전차미사일 × 4기 (독일)
미스트랄 공대공 미사일 × 2기
FIM-92 스팅어 공대공 미사일 × 2기 (독일)
승무원2명 (조종사 1명, 화력관제사 1명)

3. 개발[편집]


베트남전에서 단 두 대의 UH-1B XM-26이 TOW 미사일로 월맹군의 T-55과 여러 표적을 우수한 명중률로 잡는 것을 시작으로 미국이 세계 최초의 본격 공격 헬리콥터 AH-1 코브라를 실용화시키는 등 대전차전에서도 큰 가능성을 보여주자, 소련군의 대규모 기갑부대의 위협에 노출되어있던 유럽 여러나라에서도 대전차 헬리콥터를 확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서유럽 국가들은 뛰어난 헬리콥터 개발 기술과 개발 실적에도 불구하고[1], 미국의 AH-1AH-64 같은 본격적인 공격헬기를 개발하는 단계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대신에 슈퍼링스#, 가젤#, Bo-105# 같은 경량 헬리콥터에 대전차 미사일과 조준장비를 추가한 무장헬기 단계에 머무른 상태로 70년대를 보내게 되었다.[2]

한 편 미국은 베트남전에서의 헬리본 작전 과정에서 일반 군용헬기에 건포드 혹은 도어건이나 로켓발사기 등을 장착하여 일반헬기의 헬리본 임무 중 호위 및 화력 지원 임무를 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지원임무 중 무장헬기는 소련제 14.5mm ZPU-4 같은 공산권의 육안조준식 대공포 와 빈번하게 직접 교전을 벌이면서 빈약한 무장과 속도 등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으며 점차로 전용 화력지원 헬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 결과 UH-1에서 파생된 무장전용 헬기인 AH-1이 탄생하였다.

그렇게 전용 무장헬기로 스타트를 끊은 AH-1은 단순한 무장헬기에 머물지 않았고 대전차미사일 운용을 테스트 하기 위한 XM-26의 실전평가와 AAFSS의 보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AH-1TOW를 기본 무장으로 추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유럽식의 대전차 헬리콥터와 베트남전에서 기원한 호위 및 화력지원 헬리콥터는 하나로 통합되면서 바야흐로 현대 공격헬기의 기본 개념을 완성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대전차능력 확충에 올인한 유럽은 70년대 내내 여전히 무장헬기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헬리콥터를 활용한 전술 개념 역시 공격헬기를 완성한 미국에 비해 뒤떨어지게 되었고 결국 미국이 AH-64의 개발을 완료하여 80년대부터 실전배치에 들어가면서 이 격차에 결정적 쐐기가 박히게 된다.[3]

결국 AH-64가 이미 한참 실전 배치되는 80년대에 들어 와서야 서독과 프랑스는 사실상 공격헬기의 완성체가 된 AH-64의 유럽형 독자모델이 될 타이거의 개발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고 해당 과정에서 서독의 AH-64 직도입 시도 같은 부침을 겪다가 결국 80년대 말이 되어서야 유럽식 공격헬리콥터인 타이거의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다.


4. 특징[편집]



4.1. 생존성[편집]


케블라 방탄판을 사용하여 동체 주요 부위에 대해 23mm급의 내탄성을 확보했다. 또한 EAP라고 불리우는 추가장갑을 장착했을 시 장착 부위에 대해서는 2000미터 밖이라면 30mm급 기관포에도 대응할 수 있다. 연료탱크는 자동방루(self-sealing) 사양이 기본 채택 되었으며 채프-플레이 디스펜서는 총 32발을 탑재한다.

초기형 AH-1과도 유사하게 얇은 정면 투영면적과 평평한 측면 형상 덕분에 육안 및 광학 센서로부터의 포착 확률과 어느정도 낮은 레이더 피탐률을 달성했으며 또한 기존 공격헬기의 예를 따라 적외선 신호 감소 배기구 설계가 적용 되었다. 열이 배출되는 공기흡입구를 최대한 밀착되게 붙이고, 엔진에 장착되는 적외선 신호 감소장치와 배기구를 처음부터 최대한 동체와 모듈화되게 만들었다. 이런 특징에 힘입어 적외선/열영상 피탐지거리가 일반 헬리콥터의 50% 수준으로 억제하는데 성공했다.

AN/AAR-60 MILDS 미사일 탐지 장비의 경우 KUH-1 수리온에도 채택되었는데 이는 원래 타이거를 위해 개발된 장비이다. 레이더 신호 및 레이저 신호를 수동 탐지하는 기존의 RWR, LWR과는 달리 해당 장비는 미사일 배기열에서 나오는 자외선을 감지한다. 때문에 기존 RWR과 LWR로는 탐지가 여려웠던 IR센서 기반 단거리 SAM과 MANPADS를 효과적으로 탐지하여 경보를 발령하고 자동으로 채프 및 플레어를 투발할 수 있다.


4.2. 기동성[편집]


유럽 최초로 전동체 탄소 복합재 구조를 도입하여 자중의 77%가 탄소 혹은 탄소-노맥스 복합재이다. 그로 인해 공허중량은 3100kg으로 상당히 낮다. 여기에 유럽 주요 헬리콥터 엔진 제조사들의 합자회사인 MTR(독일 MTU + 프랑스 Turbomeca + 영국 Rolls-Royce)사가 1300shp급 MTR 390 엔진을 타이거 전용으로 개발하여 높은 중량당 마력[4]을 제공한다.

메인 로터는 힌지리스 4엽 로터이며 전용 공격헬기 중에서 힌지리스 로터의 도입은 최초이다. 때문에 높은 중량당 마력과 어우러져 기동성은 매우 뛰어나며 공격헬기로서는 이례적으로 임무 프로파일 중 공대공 임무가 적극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4.3. 공격력[편집]


대전차 임무를 위해 별도의 대전차 미사일인 TRIGAT의 개발을 시도한 바 있지만 조별과제의 원조 유로권 답게 개발지연과 협력국가 이탈 등의 악재가 속출한 끝에 결국 2012년 이후 독일만이 TRIGAT-LR을 운용 중이다. TRIGAT-LR은 IR이미지센서에 의한 Fire&Forget 방식 운용과 일제사가 가능한 본격적인 장거리 3세대 대전차 미사일로 개발 되었으나 현실은 개발이 지지부진한 동안 경쟁 대상인 헬파이어는 이미 밀리미터파 유도 모델이 추가되고 심지어는 스파이크 대전차미사일 같은 광학-광섬유 유도 복합 방식의 4세대급 미사일이 등장 하면서 빛이 바래게 되었다. 실제로도 유로콥터 공식 홈페이지에는 헬파이어와 스파이크-ER만 지상공격용 무장 리스트에 언급되어 있다.

옵션으로 탑재할 수 있는 터렛형 기관포는 30x113 탄을 사용하는 GIAT(현 Nexter)의 30 M 781 기관포가 장착된다. AH-64의 M230 체인건과 동일한 탄약을 사용하며 포구초속 역시 동일. 발사율은 750발/분 수준으로 625발/분 의 M230에 비해 근소하게 빠르고 장탄량은 AH-64의 1200발에 비해 450발로 비교적 낮다. 이는 사실상 동급 기관포를 새로 개발해서 탑재한 수준이다. 세부 운용시 단발, 10점사, 25점사, 50점사, 완전자동으로 발사모드 변경이 가능하며 개발사는 반동이 적고 보다 정확한 사격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파일:external/www.army-technology.com/mauser2.jpg

도입 당시 터렛형 기관포 옵션을 포기하고 건포드를 운용하기로 한 독일의 경우 RMK-30이라는 신형 30mm 무반동 기관포를 자국군의 타이거-UH에 장착하려고 시도한 바 있다.[5] 해당 기관포는 라인메탈사가 개발 했으며 1993년에 개발을 시작하여 1996년 11월 4일에 초도품이 만들어졌고 2001년에 양산이 개시되었다. 비젤 장갑차에 장착된 기관포이기도 하며, 30MM X 230 RMK-30/2, 30MM X 280 RMK-30/1이 있으며, 35MM도 있다. 포구에너지가 무려 200KJ로, 190KJ인 A-10 공격기의 GAU-8 어벤저 30MM 기관포보다 강하며 일반적인 터렛형 기관포에 비해 월등한 직사 성능을 가지고 있다. 자동기관포로써 정밀사격 임무도 맡으므로 정확도도 1KM에서 1.5M다. 장탄수는 30MM가 300발, 35MM가 200발이다. 포구 초속은 AP/30MM X 280탄 기준으로 1,200 m/s다. 무게는 30MM 기준으로 100KG. 발사속도는 분당 300발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TigerUHT2.jpg

파일:external/www.guns.com/pods1.jpg

하지만 독일군은 현재 예산 문제로 RMK-30 도입은 힘든 실정으로 보이며 당분간 기총은 건포드에 계속 의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6][7]

공대공 무장은 미스트랄 미사일 4발이나 스팅거 공대공 미사일 4발을 달 수 있다. 조작장치는 조종간 위에 있으며. 목표물은 조준기를 수동적으로 조작하도록 하는 조이스틱을 사용하거나 자동 추적기능으로 획득한다.

대전차 미사일 탑재량은 총 8발이다. 다른 공격 헬리콥터(AH-64 아파치)처럼 대전차 미사일을 16발 장착하지는 못하지만 통상 공격헬리콥터는 기지가 아니라도 FEBA의 거점에서 재무장 후 출동이 가능하므로 미사일을 많이 탑재할 이유가 크지 않다.[8]


5. 형식[편집]


독일 연방군의 대전차사양 UHT[9]와 프랑스군의 화력지원용인 HAP[10], 호주군의 ARH[11]가 있으며 최근 공격형 - 정찰형을 하나로 통합한 HAD[12]형으로 통합할 예정이다.


5.1. UHT 타이거[편집]


UHT[13] 타이거는 타이거 공격헬기의 독일형으로, 기관포가 탑재되지 않았다.


5.2. 타이거 HAP / HCP[편집]


타이거 HAP[14] / HCP[15]는 타이거 공격헬기의 프랑스식(HAP) / 스페인식(HCP) 명칭이다.


5.3. 타이거 HAD[편집]


타이거 HAD[16]는 타이거 HAP를 기반으로 하였으나 MTR390 엔진의 출력을 14% 증대시켰으며 이는 최대이륙중량의 증가를 의미하므로 그만큼 더 많은 무장을 탑재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또한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위성 통신 안테나 설치, 방호능력 증대, AGM-114 헬파이어와 스파이크 ER 대전차 미사일을 운용 할 수 있게 되었다.


5.4. 타이거 ARH[편집]


타이거 ARH[17]는 타이거 공격헬기의 호주형이다.

타이거 HAP를 기반으로 MTR390 엔진을 계량하고, 스트릭스 사이트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탑재하여 AGM-114 헬파이어를 운용할 수 있게 되었다.


5.5. 타이거 Mk.III[편집]


타이거 공격헬기의 개량형.

타이거 Mk.III의 표준 구성으론, 사프란 스트릭스 NG 조준경, 탈레스 FlytX 항공 전자 장비, 토폴 DD 헬멧 장착 조준경 디스플레이, 인드라 IFF 개량, 탈레스 GNSS 및 사프란의 관성 항법 시스템의 통합이 포함된다.

통신 제품군은 탈레스의 Contact/Synaps 라디오 및 유인/무인 팀 구성 전용 데이터 링크로 업그레이드하고, 스페인의 경우 Link16 및 SATCOM 기능이 포함된다.

스페인의 타이거 MkIII는 인드라가 제공하는 전장 관리 시스템과 대응책을 장착할 예정이며, 프랑스의 타이거 Mk.III에는 ATOS의 전장 관리 시스템과 탈레스가 제공하는 대응책이 장착된다.

프랑스의 새로운 무장 구성으론 MBDA MAST-F[18]미스트랄 3 공대공 미사일이 포함되고, 스페인의 경우 새로운 기능에는 70mm 유도 로켓과 새로운 공대지 미사일이 포함된다.

첫 번째 Mk.III 개량형은 2025년 취항 비행 예정이며 프랑스에는 2029년, 스페인에는 2030년에 첫 인도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각 항공기는 프랑스, 스페인, 독일 각국에서 개량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독일에서 해당 개량 사업에 불참하면서 우선은 스페인과 프랑스에서만 개량이 진행될 예정으로, 개량 수준을 낮춰서 Mk.III가 아닌 Mk.II+ 수준의 개량도 고려되고 있다.


6. 문제점[편집]


일부 한국 밀리터리 마니아층에선 AH-64에 비해 성능은 밀리면서 가격만 비싼, 가성비가 좋지 않은 공격헬기 취급을 받았었고, 실제로도 그러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드웨어 스펙은 그럴싸 해서 비싼 값은 하지 않나 싶은 소리도 들었지만, 수많은 실전경험과 그에 비례한 빠른 개량으로 성능이 갈수록 높아지는 미국과 러시아의 공격 헬리콥터에 비해 수많은 결함과 개량 미비가 문제가 되었다. 다만 개량 부분은 상술한 mk.3 개량 사업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2016년에 호주 국방백서에서 2020년대 중반에 타이거를 다른 기종으로 대체할 것이라 발표하였는데, 이 기사를 보면 주요 문제점으로 아주 높은 유지비, 낮은 가동율, 로켓포드 오작동, 4km의 유효탐지거리를 가진 저열한 열상장비, 데이터링크의 부재 등등 FOC(완전작전능력 선언) 시점에서 60가지 중요 성능미달점을 포함해 총 76가지의 성능미달점이 있는것으로 밝혀졌다.

더 문제인 것은 호주만 이러면 모를까, 타이거 개발국인 프랑스와 독일도 상태가 좋지않다는 것이다. 독일은 19년에 가동률이 53기 중 11기만 가동하는 상태고[19], 프랑스는 전체 기체의 4분의 1만 가동 가능하다고 한다.


7. 운용국[편집]



7.1. 프랑스[편집]


  • 프랑스 육군
    • 제4특수항공연대 (4e Régiment d'Hélicoptères des Forces Spéciales)
    • 제5전투항공연대 (5e Régiment d'Hélicoptères de Combat)

2012년부터 40기의 타이거 HAP가 프랑스 육군에 인도되면서 배치가 시작되었다. 2023년 기준 77기의 타이거 공격헬기를 운용하고 있다.

스페인과 함께 Mk.III 혹은 Mk.2+ 사양으로의 개량을 계획하고 있다.


7.2. 독일[편집]


  • 독일 연방 육군
    • 제36전투헬리콥터연대 (Kampfhubschrauberregiment 36)

총 68기의 타이거 UHT를 도입했다. 2기는 사고로 손실했고, 15기는 비축 및 예비부품용으로 전환되어 2023년 기준 51기의 타이거 공격헬기를 현역으로 운용하고 있다.

독일은 프랑스, 스페인이 추진하는 Mk.III 개량 사업을 검토하다 끝내 불참하였고, 예정대로 2030년대 말까지 퇴역시키기로 결정했다. 2023년 말 기준 타이거의 대체 기종은 선정되지 않았으며, 대신 일종의 갭필러 역할로 H145M을 도입했다. 2030년대 말까지 H145M과 같이 운용되면서 점진적으로 퇴역할 예정이다.


7.3. 스페인[편집]


  • 스페인 육군
    • 제1전투항공대대 (Attack Helicopter Battalion 1)

총 20기의 타이거 HCP를 도입했다.

프랑스와 함께 Mk.3 개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7.4. 호주[편집]


  • 호주 왕립 육군
    • 제1항공연대 (1st Aviation Regiment)

기존 OH-58, UH-1 기반의 무장헬기들을 교체하기 위해서 도입하였다.

2001년 22기를 도입하였으며 ARH 버전의 타이거는 2004년 12월 15일에 첫 두기가 인도되었고 2010년 6월에 전량 인도되었으며 2011년에 전력화 되었다.

2014년 8월 호주군과 BAE 시스템스는 70mm FZ 무유도 로켓 발사를 위한 APKWS 레이저 유도 시스템을 설치하기로 계약했다.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호주 정부에서 2019년 7월 현재 보유하고 있는 22대의 타이거 공격헬기를 대체할 LAND 4503 프로그램을 개시했다. 이에 보잉과 벨은 각각 AH-64E 아파치 가디언과 AH-1Z 바이퍼를 제시하였고, 에어버스는 타이거 공격헬기의 개량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타이거의 개량안은 탈락하였고, 호주는 랜드 4503 사업에서 AH-64E 아파치 가디언을 선정하였다.[20]

2020년대부터 AH-64E로 대체되어 퇴역할 예정이다.


8. 한국의 AH-X 사업[편집]


2011년 7월 한국의 AH-X 사업의 후보기종 중 하나로 선정되지만 입찰하지는 않았다. 정확한 이유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의견은 대체로 둘로 나뉜다.

첫째, 한국 육군의 강력한 AH-64 아파치 선호 때문에 경쟁이 무의미하다고 판단했다.

둘째, 예산이 너무 적어 현실적인 사업이라고 보지 않아서이다. [21]


9. 대중매체[편집]


  • 007 시리즈 골든 아이에서는 제니아 오나토프가 프랑스의 타이거를 탈취해서 EMP에도 견디는 충격과 공포 다 그지 깽깽이들아 의 성능을 보여주며 러시아 방공망을 뚫고 들어갔다. 나중에 야누스가 제임스 본드와 세베르나야 비밀기지의 생존자 나탈리아 시모노바를 함께 추적 미사일로 날려버리려 했으나 제임스 본드가 사출좌석을 작동시켜 탈출하는데 성공하여 헬리콥터만 박살났다.[22]
  • 엣지 오브 투모로우에서는 '다운폴 작전'의 주 공격 헬리콥터로 등장하지만 심심하면 미믹의 스피어 탄에 맞아 박살나는게 일과로 나온다.

파일:EC-665 Tiger UHT.png파일:WT_EC-665 Tiger HAD.png파일:WT_EC-665 Tiger HAP.png
EC-665 타이거 UHT EC-665 타이거 HAD EC-665 타이거 HAP

  • 워썬더에 독일 연방군 소속 EC-665 타이거 UHT, 프랑스군 HAD, HAP로 나온다.
  •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 서독 소속 PAH-2 Tiger(UHT), 프랑스 소속 Tiger HAD, HAP이 등장한다. 고증상 등장할 수 없는 개발, 도입연도이지만 1991년 초도비행 날짜로 우겨서 어거지로 도입했다. 프랑스 게임 제작사의 국뽕을 한사발 얹어서 OP 스텔스 헬기로 등장한다.

파일:20221129_194302.jpg
  • 모던 워십에서 2022년 11월 배틀패스 보상으로 등장.


10. 둘러보기[편집]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공격헬기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스핏파이어 LF.Mk. IX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1세대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미라주 2000
4.5세대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FCAS}
공격기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C-160R, C-119,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지원기조기경보기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신호정보 수집기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UCAVMQ-9, {유로드론}
훈련기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다목적기다쏘 팔콘 10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현대 호주 왕립 공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호주 왕립 공군 (1945~현재)
Royal Australian Air Force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AS.350BR, AW139 SAR, 벨 47G-3B-1/G-2/G-2AR, MRH-90 타이판, S-51R, SA.316BR, Sycamore Mk 3/Mk 14R,
공격헬기AH-1G, 타이거 ARH, {AH-64E}
수송헬기CH-47CR, UH-1B/D/HR, S-70A-9R
전투기1세대미티어 F Mk 3/F Mk 8/NF MK 11/T Mk 7/U Mk 21AR, 뱀파이어 F MK 30/FB Mk 31/T Mk 33/T Mk 34/T Mk 34A/T Mk 35/T Mk 35AR, CA-27 세이버 Mk 30/Mk 31/Mk 32R, 호커 P.1081
2세대CAC CA-23
3세대미라주 IIID/O(A)/O(F)R, F-4ER
4세대 / 4.5세대F/A-18A/BR, F/A-18F, F-111A/C/GR
5세대F-35A
폭격기밸리언트 B Mk 1R, 링컨 Mk 30/Mk 30A/GR Mk 31/MR Mk 31R, 캔버라 B Mk 2/Mk 20/Mk 21/T Mk 4R
수송기C-17A, C-27A, C-47A/B, C-49, C-50, C-53R, C-130A/E/H/J, DHC-2R, DHC-3R, DHC-4R, 노마드 N24A/N.22BR, 바이킹 C Mk 2R, 요크 C Mk 1R, 프레이터 Mk 21R
지원기조기경보기E-7A 웨지테일
대잠초계기P2V-4/5/7R, P-3B/C, AP-3C, TAP-3B, P-8A
정찰기RF-111CR, MC-55A, 미라주 IIIO(R)R, 리어젯 35R
공중급유기KC-30A MRTT, 보잉 707-338C/368CR
전자전기AP-3C, EF-18A
무인기UAVA45 IAI 헤론, A92 GAF Jindivik Mk I/Mk 2/Mk 2B/Mk 102/Mk 3/Mk 3A, MQ-4C
UCAV{MQ-28}
훈련기프롭Anson GR Mk I/Mk XII/Mk XIV/T Mk IR, CA-1/3/5/7/8/9/16 WirrawayR, CA-6 WackettR, CA-25 WinjeelR, CAP 10BR, CT/4A/B/E 에어트레이너R, DA40NG, DH.82A 타이거 모스R, DH.94 모스 마이너R, HS 748 Series 2R, PA-34-220TR, PC-9/A, PC-21, 비치크래프트 B200R/350
제트MB-326HR, 호크 127
특수목적기604 봄바디어, 737 보잉 비즈니스 젯, BAC 1-11 217EAR, CV-440R, HS.478 Series 2R, 미스테르/팰콘 20CR, 바이카운트 Model 720/756R, 팰콘 7X, 팰콘 900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에어버스 로고.svg
[ 에어버스 항공기 목록 ]

에어버스 민항기
협동체광동체
쌍발기A220B · A320 패밀리 (A318, A319, A320, A321) · A320neo 패밀리 (A319neo, A320neo, A321neo)A300 · A310 · A330 (neo) · A350 XWB (neo)
4발기-A340 · A380 (plus)
특수 화물기A300-600ST Beluga · Beluga XL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 군용기
전투기유로파이터 타이푼 · FCAS
수송기CN-235 · C-295 · A400M
공중급유기A310 MRTT · A330 MRTT · KC-45
무인기유로드론 · 제피르 UAV · SIRTAP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헬리콥터
민간용H125 · H130 · H135 · H145 · AS365 · H155 · H160 · H175 · H215 · H225
군용H125M · H145M/UH-72 · AS565 · H160M · H215M · H225M · 타이거 · NH90
ATR 민항기
ATR 42 · ATR 72
아에로스파시알 및 그 이전 민항기
Sud Aviation Caravelle · Concorde
B: 봉바르디에에서 개발 및 제작한 항공기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0:12:02에 나무위키 타이거 공격헬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대 최고속 기록을 세운 링스와 최초의 힌지리스 로터를 개발한 Bo-105가 대표적이다.[2] 다만 서유럽 국가들도 70년대에 결코 무장헬기에 만족하는 상황은 아니었다. 애초에 Bo-105의 HOT 대전차미사일 장착형은 야간작전능력이 전무해서 서독 조차도 이러한 무장헬기를 징검다리 정도로만 생각했다.[3] 미국-유럽간 공격헬기 격차의 유일한 예외가 바로 이탈리아의 망구스타이다.[4] 공허중량 5500kg급의 AH-1Z와 비슷한 수준이다. 애초에 AH-1Z가 비교적 낮은 공허중량에 AH-64용 고출력 엔진2기를 조합하면서 탑 클래스의 중량당 마력을 달성했다.[5] 독일은 초기 타이거 도입시 대전차전 용도로 도입할 계획이었다. 따라서 고정터렛 기관포는 옵션에서 제외되었다.[6] FN사의 50구경(탄약은 12.7 x 99mm nato탄.) M3P 기관총을 건포드로 만든 물건이다. 400이라는 숫자처럼 장탄수는 400발이며, 250발을 내장하는 HMP-250도 있다. 제작사인 FN의 홈페이지에 가 보면 공격헬기 말고도 다양한(?) 항공기의 장착 예시를 볼 수 있다. #[7] 한국 밀매들에게는 상당히 익숙한 물건이기도 한데, 바로 KA-1에 탑재되는 건포드이기 때문이다. 다만 KA-1은 250발이 내장된 버전인 HMP-250을 운용하고 있다.[8] 서방권 공격 헬리콥터중 타이거보다 무장가능중량이 큰 것은 AH-64 아파치나 AH-1Z 바이퍼뿐이다.[9] Unterstützungshubschrauber Tiger[10] Hélicoptère Appui Protction[11] Armed Reconnaissance Helicopter[12] Hélicoptère Appui Destruction[13] Unterstützungshubschrauber Tiger, 타이거 지원 헬리콥터.[14] Hélicoptère d'Appui Protection, 화력지원용 헬리콥터.[15] Hélicoptère de Combat Polyvalent, 다목적 전투용 헬리콥터.[16] 프랑스어 : Hélicoptère d'Appui Destruction, 스페인어 : Helicoptero de Apoyo y Destrucción, 지원 및 공격 헬리콥터.[17] Armed Reconnaissance Helicopter, 무장 정찰 헬리콥터.[18] 미래 전술 공대지 미사일[19] 더해서 독일은 말리에서의 작전 중 1기가 추락하여 손실되었다.[20] 어찌보면 동일 시기 처음부터 AH-64 계열로 기종을 구입했다면 E형 업그레이드로 충분했거나, 추가 도입으로 전력 강화의 기회가 되었을텐데 타이거를 도입한 덕분에 멀리 돌아간 셈이다.[21] 유로화 환율의 영향도 있었다는 일부 미확인 정보도 있다.[22] 실제 타이거에는 저런 장비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