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racophobia

덤프버전 :


1. 개요
2.1. 페이즈별 출현 조건


파일:dracophobia.jpg


1. 개요[편집]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ruin of opals의 작곡가였던 上ノ瀬つかさ(카미노세 츠카사). Dracophobia는 조어로 라틴어로 Draco(용)+Phobia(공포증) 용 공포증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2. 리플렉 비트 시리즈[편집]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BPM난이도
108-178BASICMEDIUMHARDWhite Hard
8111414
SKILL RATE33497780
오브젝트245381697876
MAX COMBO3014498001206
JUST REFLEC9142025
수록버전리플렉 비트


HARD 영상


White Hard 영상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의 엑스트라 전용 곡으로 등장. 초기에는 출현 조건이 상당히 괴악했는데 파이널 라운드에서 레벨 13 이상 화이트 하드 보면을 엑설런트하라는 상당히 어려운 조건이었고,이후 이 곡의 WHITE HARD 보면의 JUST COLLECTION을 전부 채우고 이 곡을 플레이하면 해금되었다.

2017년 2월 2일부터 소환조건이 파이널 라운드에서 레벨 12 이상의 보면을 98% 이상으로 풀콤보 클리어시 출현,해금조건이 소환후 클리어시 해금으로 완화되었다. 다만 하드게이지 적용은 그대로여서 쉽지만은 않은 조건.

화이트하드 채보의 경우 전체적으로 스위치 롱노트로 도배된 채보로, 채보자체의 난이도는 그렇게 높지 않지만 스위치 롱노트가 너무 자주나와 미스말림으로 폭사하기 좋은 구조를 갖고있다. 특히 OFF구간을 한번 놓치기라도하면 ON구간이 나올때까지 계속 MISS처리가 되어 순식간에 폭사히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신중함이 요구되는 채보다. 실력이 모자라다면 저스트 리플렉은 포기하고 정확하게 치도록 하자.

2017년 12월 21일부터 Thank You Merry Christmas, CHERNOBOG 등과 함께 통상해금되었다.

2.1. 페이즈별 출현 조건[편집]


PhaseBASICMEDIUMHARDWHITE HARD상주 방법
레벨난이도클리어 타입AR
1
2016/12/01
소환 불가[1]13 이상WHITE HARDEXCELLENT100%WH의 저스트 콜렉션을 채운 후
EXTRA ROUND에서 1회 플레이
2
2017/02/02
12 이상난이도 무관FULL COMBO 이상98% 이상EXTRA ROUND에서 WH 1회 클리어
통상해금
2017/12/21


3. 팝픈뮤직[편집]





BPM108~178
곡명Dracophobia
아티스트 명의上ノ瀬つかさ
담당 캐릭터Grand Hammer
수록된 버전pop'n music peace
난이도EASYNORMALHYPEREX
50단계14304248
노트 수262(?)519(?)904(?)1444(?)

2020년 10월 9일, 팝픈 이벤트 아카이브 두근두근 팝픈랜드 ②를 통해 이식되었다.


EX 영상

배속은 170 근처에 맞추는 것이 좋다. 최고 BPM인 178 기준으로는 0.1배속정도 더 올린다고 보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3 21:28:24에 나무위키 Dracophobia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상주 조건 만족시 B/M/H/WH가 한꺼번에 해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