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MWO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2018 시즌

덤프버전 : (♥ 0)

||




1. 2018 LoL Challengers Korea Spring[편집]



파일:CK_white_only.png 2018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Spring Split 경기 결과표


1라운드1






2라운드2






P
O
1
R
E
E
W
E
S
S
A
P
K
R
G
A
G
R
F
B
t
C
R
S
G
E
E
W
A
P
K
G
R
F
E
S
S
R
S
G
R
G
A
B
t
C
W
N
S
222202212022221
100021020201013

4

1
2
3
4
4
5
6
6
6
7
7
8
9
10
11
11
0
0
0
0
1
1
1
1
2
2
3
3
3
3
3
3

+1+3+5+7+5+6+8+8+7+9+7+9+10+12+13+13

3211222222222222
CK에서 1라운드의 모습은 의심할 여지 없는 강팀. 너구리 - 쇼메이커의 2인 캐리 체제가 CK 내에서는 거의 적수가 없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모두의 기대를 받던 그리핀전에서 에이스이던 탑 - 미드가 캐리력을 완전히 발휘하지는 못했고, 반대로 정글 - 바텀은 CK 급이 아닌 LCK 급이라던 타잔과 바이퍼에게 밀리면서 0:2로 첫 패배를 당했다. 그래도 설날 휴식기 전에 5승 1패라는 호성적을 보였다.

이후 UOL, CJ 출신의 원딜 베리타스와 콩두 출신의 정글러 펀치를 영입했다. 솔랭에서는 1, 2위를 다투나 리그에서는 무난한 바텀과 LCK 경험이 완전히 보여진다고는 보기 어려운 정글을 CK에서 활동할 당시 좋은 폼을 보여준 선수들로 잘 대체할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는 상황.

1라운드는 6승 1패로 마무리하면서 그리핀 다음인 2위에 위치해있다.

2라운드 첫 경기였던 EEW전에서 첫 세트는 승리했으나, 이어지는 2, 3세트에서 각각 피즈와 조이의 활약을 막지 못하고 무너지면서 2패째를 기록했다.

그리고 1, 2위전인 그리핀전에서도 1R보다도 더 처참하게 패했다. 얼라이브가 베리타스로 바뀌자 안정감은 생겼지만 오히려 폭발력이 감소해서 담원 특유의 한타력이 발휘되지 못하는 장면도 나오며[1] 크러쉬 대신 나오는 펀치는 운영에 도움은 주지만 개인기량은 크러쉬 이하라고 생각 할 수 있는 장면이 나오고 있다.

이미 그리핀이 LCK 승강전 자격을 얻은만큼 배틀코믹스같은 밑에서 추격하고 있는 팀들을 따돌리고 2위 자리를 굳히지 않으면 17 kt 마냥 아무도 예상하지 못할 승강전에 못 가는 고배를 마실수도 있다.

RGA전에서는 1라운드 주전 라인업인 크러쉬 - 어라이브 - 호잇이 출전, RGA를 압살하며 2위를 확정지었다.

그러나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자력으로 플옵에 올라오지도 못한 위너스를 상대로 1:3으로 패배,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승강전 진출 실패라는 굴욕을 맛보았다. 팀의 원투펀치 중 한 명이던 쇼메이커가 밴픽 미스 등의 여파로 또다시 부진하였고 얼라이브와 베리타스도 하이브리드 상대로 영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하면서, 챌체탑을 보유하고도 롤딜잘을 확인하며 무너졌다. 잘 회자되지 않는데, CK 정규시즌 2위 팀은 반드시 승격한다는 징크스를 초고속으로 박살낸 장본인이 되었다.

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후 베리타스는 팀을 나갔으며[2] 다음 시즌을 위해 선수/코치진을 모집한다는 기사를 냈다.

2018년 5월 7일에 전 SBENU KOREA, H2k Gaming 출신 뉴클리어를 영입을 발표했다. 제2의 베리타스에 머물지 그 상위호환이 되어줄지...

여담으로 솔랭전사의 팀이다. 2018년 5월 9일 기준 쇼메이커가 솔랭 1등을 기록중이고 베릴과 호잇 또한 최상위권이다.


2. 2018 LoL Challengers Korea Summer[편집]



파일:CK_white_only.png 2018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Summer Split 경기 결과표


1라운드1






2라운드2






E
S
S
K
D
M
B
t
C
W
N
S
G
C
B
A
P
K
R
G
A
A
P
K
E
S
S
K
D
M
B
t
C
W
N
S
G
C
B
R
G
A
22222222220222
00100000002000


1
2
3
4
5
6
7
7
8
9
10
10
11
12
13
13
0
0
0
0
0
0
0
0
0
0
0
1
1
1
1
1

+2+4+5+7+9+11+13+13+15+17+19+17+19+21+23+23

1111111111111111
빛돌 해설이 워낙 개개인의 기량이 솔랭에서 드러나듯 높은 팀이다보니 멤버가 흩어지는걸 우려했으나 베리타스와의 경쟁에서도 밀린 얼라이브를 제외한 선수들은 오히려 팀에 남았다. 그리고 1R 초반 거의 정규시즌 1위가 기정사실화 되던 콩두를 2:0으로 잡아내고 청신호를 밝혔다.

그 이후 BtC에게 2:1로 승리한 것만 제외하면 계속 2:0 승리를 거두면서 7승 0패의 성적으로 1라운드 전승, 단독 1위를 달리고 있다.

이후에도 2:0 승리를 이어가다 ES Sharks 전 2:0 승리로 가장 먼저 포스트 시즌을 확정지었다. 이제는 정규시즌 1위를 굳혀 LCK 승강전 직행을 바래야하는데, 상위권부터 중위권까지가 비빔밥이라 어렵지 않을것으로 예상. 9~10주차에 2, 3, 4위 팀들을 연달아 만나는 대진인데, 여기서 승을 쌓으면 빠르면 9주차에 1위를 확정지을 수도 있다.

이후 콩두전은 가뿐하게 2:0으로 승리했으나 배틀코믹스전에서 상대 정글 온플릭을 막지 못하고 0:2 패배를 당했다. 모든 세트에서 유리하거나 할만 했던 경기인 만큼 패배가 치명적이진 않지만 씁쓸한 상황. 하지만 이후 펼쳐진 위너스전에서 2:0, 경기 시간 두세트 합쳐 50분컷으로 깔끔하게 승리를 따냈다.

그리고 GCB전을 2:0으로 승리하면서 1위를 확정짓고 LCK 승강전에 직행하게 되었다.

마지막 경기였던 RGA전도 2:0으로 깔끔하게 승리하면서 서머를 마무리지었다.


3.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승강전[편집]


승강전에서는 bbq를 2:0, 배틀코믹스를 3:1로 꺾으며 승자전 승격에 성공했다. 너구리가 기대보다는 못미치는 폼을 보였지만 쇼메이커 - 뉴클리어 - 호잇의 캐리로 승자전 승격에 성공했다.

김목경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대표님은 엄청 기뻐하셨지만, 정작 선수들은 굉장히 담담했다고 한다. 작년 그리핀처럼 본인들도 올라가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다고. # 내년 목표는 그리핀이 이루지 못한 로열로더를 달성하는 것이라고 한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LCK white.png LCK 2018 시즌 팀별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파일:Afreeca Freecs logo.png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파일:Griffin_logo.png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KTAFsGENKZGRFSKT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파일:Team MVP.png파일:bbq_olivers.png파일:300px-Kongdoo_Monster.png파일:LCK_2018_logo.png[[파일:LCK white.png
ROX / HLEJAGMVPBBQKDM
해당 팀별 목록은 2018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 문서가 존재하는 CK 2018 시즌 팀별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DAMWO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의 r30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DAMWO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 문서의 r30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3 06:04:36에 나무위키 DAMWO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2018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얼라이브는 공격적인 포지셔닝을 잡는 데프트형 원딜이라면 베리타스는 마하와 비슷한 안정감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원딜이다.[2] 원래 계약이 스프링까지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