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t the Rope

덤프버전 : (♥ 1)

||
파일:컷더로프 배경.jpg
개발파일:zeptolab 로고.png
유통
플랫폼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
|
파일:iOS 로고.svg
|
파일:macOS 로고.svg
|
파일:Windows 로고.svg
|
파일:Windows Phone 로고.svg
파일:닌텐도 DSi 로고.svg
|
파일:심비안 로고.svg
|
파일:블랙베리 로고.svg
|
파일:Apple Arcade 로고.svg
(리마스터) |
출시일2010년 10월 4일
2021년 4월 1일 (리마스터)
장르퍼즐 게임
등급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에피소드(상자) 구성
3. 스테이지상에 출현하는 물품들
3.1. 오리지널
3.2. Experiments 한정
3.3. Time Travel 한정
4. 등장인물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ZeptoLab에서 개발한 모바일 퍼즐 게임이다. 웹 브라우저 버전[1]도 출시하였다. iOS용이 2010년에 먼저 공개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그 뒤 2011년에 안드로이드 버전이 나왔다. 2012년에는 윈도우 버전이, 2013년에는 PC버전과 블랙베리 버전이 출시되었다.

2013년 12월에 앱 스토어Cut the Rope 2가 출시되었다. 안드로이드에선 2014년 4월에 출시되었다.

후르츠 닌자 비슷하게 손가락 드래그로 자르는 컨트롤이 많이 필요하다. 단, 후르츠 닌자가 단순히 자르는 것 자체에만 주안점이 있다면, 컷더로프는 사탕을 잡고 있는 밧줄을 자름으로서 사탕을 일정 지점으로 옮기면서 플레이하는 방식으로, Where's My Water?(국내명 '스왐피')와 비슷한 퍼즐류 게임이라고 보면 된다. Where's My Water?처럼 깔끔하게 한글화도 되어있다.

메타 크리틱, IGN, 유로 게이머 등등 많은 리뷰어들에게서 평균 10점 만점에 9점 이상을 받은 명작 중 하나이나 메타크리틱 유저 평가는 좋지 않다.

유료 애플리케이션이지만, 한번 구매해두면 평생 무료 업데이트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추후 확장팩의 개념인 Cut the Rope: Experiments(이하 익스페리먼트)가 출시되었는데, 이는 당연히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 스왐피의 확장팩과는 달리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취급되므로 확장팩 설치를 위해 앱을 지웠다가 재설치하는 과정은 거치지 않아도 되지만 앱 공간을 두개나 차지하니 일장일단. 익스페리먼트는 본판에는 없는 새로운 장치가 등장한다. 2013년에는 또다른 확장팩인 Cut the Rope: Time Travel(이하 시간여행)이 출시되었다.

주인공이자 유일한 등장인물[2]인 얌냠[3]이란 녀석이 일절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잉여 무능력 생명체고 일일이 밧줄을 잘라서 손수 사탕을 먹여 줘야 하는 골때리는 설정의 게임. 할 줄 아는 건 사탕이 근접하면 입을 크게 벌리는 것과, 가끔 위의 이미지처럼 자기에게 사탕을 달라고 조르는 것 밖에 없다.[4] 하지만 나중에 업데이트로 이른바 '초능력'이 추가되어서, 초능력을 발동하면 해당 스테이지에 한정하여 얌냠이 고무장갑을 뒤집어쓰고 사탕을 원하는 대로 드래그하여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물론 초능력은 공짜가 아니다. 본인 실력이나 근성이 된다면 끝까지 초능력 한번 안쓰고 클리어가 가능할 정도로 난이도는 적절하니 너무 초능력에만 의지하면 좋지 않다.

3개 별 시스템을 채용하고는 있는데, 점수와는 무관하게 스테이지상에 떠 있는 별에 사탕을 닿게 해서 별을 획득할 수 있고, 이게 클리어의 주요 포인트가 되기도 한다. 스테이지를 진행할수록 별 모으기 힘든 건 여기서도 마찬가지. 일정 갯수 이상의 별을 모으면 다음 스테이지가 해금된다. 만약 별을 모으지 못하면 돈을 내서 해금하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다. 그러니 오래 즐기고 싶다면 돈을 내서 별을 열심히 모으자.

중력과 관성을 이용한 간단한 물리 효과가 구현되어 있다. 스왐피와 같이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하는데, 일단 루트만 잘 지정하면 되는 스왐피와는 달리 컷더로프는 순간적인 타이밍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가끔 몇몇 스테이지에서는 별조차 시간제한이 있어서 시간내로 접수하지 못하면 별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기에 생각을 많이 하고 재도전을 자주 해야 한다.

참고로, 게임 스테이지 곳곳에 숨겨진 사진이 존재한다. 특정 스테이지는 배경을 자세히 보면 왠지 살짝 벽지가 뜯어져 나간 듯 한 모양새를 취하고 있는데, 여길 터치하면 사진이 해금된다. 별 의미는 없고 일회성 감상용, 혹은 도전과제를 위한 수집용에 불과하다. 수집한 사진은 메인 화면에서 '앨범' 메뉴를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대체로 한 에피소드에 사진이 하나씩 있는데, 시간여행 편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2. 에피소드(상자) 구성[편집]



2.1. 오리지널[편집]


업데이트 날짜 번호 에피소드(상자) 이름신규 물품비고
시즌 1
2010년 10월1골판지 상자 (Cardboard Box), 압정, 가시, 비눗방울, 거미첫 출시때부터 존재한 에피소드
2천 상자 (Fabric Box)공기 주머니
3은박지 상자 (Foil Box)줄 고리, 전기 트랩
2011년 4월4마술 상자 (Magic Box)마술 모자
2011년 2월5발렌타인 상자 (Valentine Box)갈라진 사탕기념일과 관련된 첫 에피소드
시즌 2
2011년 7월6장난감 상자 (Toy Box)튕김판
2010년 10월7선물 상자 (Gift Box)회전 바퀴첫 출시때부터 존재한 에피소드[5]
2010년 12월8우주 상자 (Cosmic Box)중력 반전 버튼
2011년 10월9공구 상자 (Toolbox)칼날
2011년 12월10꿀벌 상자 (Buzz Box)꿀벌
시즌 3
2012년 4월11DJ 상자 (DJ Box)레코드판
2012년 8월12유령 상자 (Spooky Box)유령
2013년 1월13증기 상자 (Steam Box)증기 발생기
2013년 2월14랜턴 상자 (Lantern Box)랜턴중국 설날 기념 에피소드
2013년 7월15치즈 상자 (Cheese Box)쥐구멍
2014년 6월16베개 상자 (Pillow Box)나잇라이트[6]
2015년 3월17기계 (Mechanical Box)컨베이어 벨트가장 어려운 에피소드


2.2. Cut the Rope: Experiments[편집]




2.3. Cut the Rope: Time Travel[편집]


1. 중세 시대 - 비눗방울, 쇠사슬과 특수 칼날등장
2. 르네상스 시대 - 시간 정지 장치, 공기 주머니, 가시판 등장
3. 해적선 - 발판, 폭탄 등장
4. 고대 이집트 - 비행 사탕 등장
5. 고대 그리스 - 회전 플랫폼 등장
6. 석기 시대 - 돌시계 등장
7. 디스코 시대 - 디스코볼, 레이저 등장


2.4. Cut the Rope: Holiday Gift[편집]


크리스마스 한정으로 내놓은 것 같다. 한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있으며, 거의 다른 시리즈 게임 광고를 하는 앱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3. 스테이지상에 출현하는 물품들[편집]



3.1. 오리지널[편집]




3.2. Experiments 한정[편집]




3.3. Time Travel 한정[편집]




4. 등장인물[편집]


오리지널에서는 에반(Evan)이라는 이름의 꼬마의 집으로 배달되어 에반과 함께 지내는 것으로 보이나, 익스페리먼트에서는 어딘가로 배달 도중 배송차에서 떨어져서 박사의 집 앞에 떨어져버리면서 박사와 함께 지내는 것으로 보인다. 두 작품의 얌냠이 동일인물(?)인지는 불명. Cut the rope: magic에선 동물이나 어린 암냠으로 변하는 능력을 얻게된다. 유튜브 영상들의 댓글들을 잘 보면 귀엽다는 반응이 많이 보인다.














5. 기타[편집]


2012년 10월부터 얌냠에 관한 1분 가량의 짧막한 애니메이션이 유튜브에 올라오기 시작했다. 월리를 찾아라처럼 영상 안에 별이나 물건을 숨겨 놓는 센스도 발휘했는데, 애니메이션이 올라오는 당일에 이미 사람들이 댓글로 스포일러를 뿌려버린다.[11]

2013년 초 스팀에 PC버전이 등록되었다! 그런데...모바일, IE 버전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 가격이 9.99 달러로 책정되어 논란이 들끓었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3 00:21:34에 나무위키 Cut the Rop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 별도의 웹사이트가 존재하였으나 도메인 만료 후 도박 사이트 운영자에게 넘어갔다. 현재는 크롬 플러그인으로 대체되었다.[2] 확장팩 Cut the Rope: Experiments에서는 목소리 뿐이지만 일단 어떤 과학자가 추가되긴 했다. 그리고 공식 영상등에서는 이런저런 인물들이 자주 등장하는 편. 하지만 게임 내에서 제대로 등장하는 캐릭터는 사실상 얌냠이 유일하다.[3] 원판의 이름은 옴놈(Om Nom) 영어로 음식을 먹는 소리를 의미한다.[4] 익스페리먼트에서는 가끔 이런저런 애교를 부리기도 한다. 잠을 자기도 하며 불빛으로 깨워줘야 사탕을 먹일 수 있다.[5] 첫 출시 당시에는 에피소드 4였으나 나중에 7로 바뀌었다. 업데이트 날짜를 보면 알겠지만 현재의 에피소드 4~8은 과거에는 순서가 달랐다.[6] Night Light. 밤새 켜놓는 불을 의미한다.[7] 요즘은 살뺐지만.[8] 공식 합성 애니메이션(에반과 함께하는 에피소드와 시간 여행 에피소드 1화까지는 합성 애니메이션이었다. 이후 시간 여행 마지막 에피소드에서도 실제 에반의 집 세트장에 있는 것으로 나온다.) 제작 과정을 보면 연두색 핸드볼에 옴놈 이미지를 합성해서 만든 것으로 나온다.[예상] 아마도 옴넬이나 얌넬일 가능성이 있다. 일단 가칭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이름이 아니다.[9] OmNom Swing에선 코스튬으로 등장한다.[10] 현재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옴놈과 커플로 나오는 동영상을 계속 올리고 있다. 그리고 옴놈은 그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리고 만족스러워하며 사탕을 씹어먹는 장면으로 에피소드 하나가 끝난다.[11] toons.tv에도 등록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