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ilibili Gaming Pingan Bank

덤프버전 :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Bilibili Gaming Pingan Bank/2024 시즌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Bilibili Gaming
,
,
,
,
,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빌리빌리 게이밍 핑안 뱅크
Bilibili Gaming Pingan Bank
창단
2017년 12월 17일
소속 리그
LPL
팀명
Bilibili Gaming(2017.12~2020.12)
Bilibili Gaming Pingan Bank(2020.12~)
모기업
파일:빌리빌리 로고.svg
매니저
후린

Holy

리더
장신위

YUZZ

감독
[[푸천웨이|푸천웨이

BigWei
]]
코치
천롱

Xiasu

분석
좡이빈

zyb

주장

약칭
BLG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우승 기록
Demacia Cup
(1회)
2022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중국 국기.svg [[천쩌빈|천쩌빈

Bi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중국 국기.svg [[펑리쉰|펑리쉰

XU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중국 국기.svg [[줘딩|줘딩

knight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자하오|자오자하오

Elk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중국 국기.svg [[러원쥔|러원쥔

ON
]]
파일:중국 국기.svg [[쭤밍하오|쭤밍하오

LvMao
]]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 심플.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league-of-legends.png
'''[[Bilibili Gaming Pingan Bank|{{{#37D0F5,#1d5bfb Bilibili Gaming
Bilibili Gaming Junior}}}]]'''
파일:오버워치 아이콘 화이트.svg
Bilibili Gaming



1. 개요
2. 상세
3. 주요 경력
4. 역사 및 역대 시즌
5. 멤버
5.1. Bin(빈, 천쩌빈)
5.2. Xun(쉰, 펑리쉰)
5.3. knight(나이트, 줘딩)
5.4. Elk(엘크, 자오자하오)
5.5. ON(온, 러원쥔)
5.6. LvMao(뤼마오, 쭤밍하오)
6. Bilibili Gaming Junior
6.1. Baiye(바이예, 류원쉐)
7. 전 멤버
7.1. Mni(엠엔아이, 펑팡)
7.2. Kahom(카홈, 류자훙)
7.3. m03(엠03, 장전)
7.4. M1anhua(미안화, 천자하오)
7.5. Vortex(보텍스, 스하오룽)
7.6. HanXuan(한쉬안, 훙하오)
7.7. Kine(키네, 셰차오)
7.8. Moonlight(문라이트, 양언젠)
7.9. Jinjiao(진쟈오, 셰진산)
7.10. Alielie(알리에리에, 항둥쉬)
7.11. XinMo(신모, 리첸시)
7.12. Yuen(유엔, 옹잉유엔)
7.13. Able(아블레, 다이즈춘)
7.14. xiao7(샤오7, 리중치)
7.15. l3est16(베스트16, 주즈리)
7.16. clx(시엘엑스, 천이)
7.17. Wings[1](윙즈, 왕수카이)



1. 개요[편집]


Bilibili Gaming Pingan Bank

#Cheers,ForTheFaith!
Bilibili Gaming 소속 중국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BLG.

2. 상세[편집]


빌리빌리의 스폰을 받아 창단된 초기만 해도 전신인 I May의 팀컬러를 이어받아 약한 라인전, 우수한 팀합과 운영이라는 기조를 이어갔다.[2] 하지만 쿠로를 내보내고 머니게임을 시전한 20년부터는 그냥 쑤닝을 대신하는 LPL의 새로운 수퍼마켓팀. 들어오는 선수는 폼이 떨어지고 나간 선수는 새 팀을 캐리하는 무서운 팀이다. 중고신인 급인 웨이웨이와 제카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 그 웨이웨이도 결국 다음 해에 망했다. 무 섭 다! 일명 롤판의 커리어 분쇄기, 항저우 지하감옥이라는 멸칭으로도 불린다.[3] 롤드컵 준우승 미드인 쿠로와 롤드컵 우승 서포터인 크리스프를 제외하고 이 팀에서 꾸준히 잘해준 선수는 없다. 아무리 장단점이 뚜렷했다지만 LPL 우승, MSI 우승, 롤드컵 준우승 탑솔러 도 입단 그 순간 폭망했을 정도다.

하지만 반대로 2020년 BLG를 말아먹고 2021년 RA에서 만개했다가 돌아오자마자 다시 폼이 떡락했다가 2023년 다시 EDG로 가서 부활한 포포, 역시 20 BLG에서 부진했지만 21 스프링 DRX의 에이스로 활약하고 이후 하락세에도 22 롤드컵 결승에서 부활해 우승을 차지한 킹겐, 21 스프링 BLG에서 바닥을 치고 22 TES에서 2연 준우승으로 커리어가 만개한 마크, 2021년 애국원딜로 명성을 날렸지만 2022 서머 LCK 올프로 써드팀에 입성한 에이밍, 2021 서머에 황포강이라는 대단한 별명을 획득했지만 2022년 V5에서 커리어가 크게 반등한 피피갓, 2021 스프링에 일명 김씨삼부자애매했다가 2021 서머에 잘했지만 BLG를 나가서는 아예 쇼메이커와 쵸비를 잇는 LCK 차세대 미드로 만개해버리며 팀의 기적같은 롤드컵 우승의 일등공신이 된 제카, 2022 스프링 BLG에서 커리어 최악의 시즌을 보냈지만 2022 서머에 자신이 주도해서 팀의 롤드컵 진출과 8강 진출을 이끌어낸 브리드 등 BLG에서 깎인 가치로도 재취업을 할 수만 있다면 높은 확률로 탈쥐효과를 보장하는 팀이기도 하다.[4] 뭐 BLG에 안 왔으면 더 잘 풀렸을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도 않은 재미있는 팀.

결국 2022 롤드컵에서 12 TPA를 능가하는 롤드컵 역사상 기적으로 불리는 DRX의 업셋 우승에 제카와 킹겐이 주역으로 등극하면서 플랑드레, 소프엠을 배출한 LNG를 뛰어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주카이가 함께 출동한다면 어떨까?

3. 주요 경력[편집]


우승 경력
2022 Demacia Cup 우승
Top Esports

Bilibili Gaming Pingan Bank

미정
준우승 경력
2018 Demacia Cup Summer 준우승
Snake Esports

Bilibili Gaming

Topsports Gaming
NEST 2019 준우승
Topsports Gaming

Bilibili Gaming

Rogue Warriors
2022 Weibo Cup 준우승
대회 출범

Bilibili Gaming Pingan Bank

미정
2023 LoL Pro League Spring 준우승
Top Esports

Bilibili Gaming Pingan Bank

LNG Esports
2023 Mid-Season Invitational 준우승
T1

Bilibili Gaming Pingan Bank

미정

4. 역사 및 역대 시즌[편집]


파일:Bilibili_Gaming.png
파일:Bilibiligaming.png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ilibili Gaming
Bilibili Gaming - Bilibili Gaming Pingan Bank
Bilibili Gaming Pingan Bank
빌리빌리 게이밍
빌리빌리 게이밍 - 빌리빌리 게이밍 핑안은행
빌리빌리 게이밍 핑안은행




5. 멤버[편집]



5.1. Bin(빈, 천쩌빈)[편집]


파일:BLG_Bin_2023_Split_2.png

문서 참조.

5.2. Xun(쉰, 펑리쉰)[편집]


파일:BLG_XUN_2023_Split_2.png

문서 참조.

5.3. knight(나이트, 줘딩)[편집]


파일:JDG_Knight_2023_worlds_png6.jpg

문서 참조.

5.4. Elk(엘크, 자오자하오)[편집]


파일:BLG_Elk_2023_Split_2.png

문서 참조.

5.5. ON(온, 러원쥔)[편집]


파일:BLG_ON_2023_Split_2.png

문서 참조.

5.6. LvMao(뤼마오, 쭤밍하오)[편집]


파일:RNG_LvMao_2023_Split_2.png

문서 참조.



6. Bilibili Gaming Junior[편집]


}}} ||




파일:Bilibili_Gaming_Junior_logo_square.png
빌리빌리 게이밍 주니어
Bilibili Gaming Junior
창단
2019년 2월 4일
소속 리그
LDL
모기업
파일:빌리빌리 로고.svg
매니저
유장신

ycx

리더
팡페이시

Fracture

감독
류이류

616

코치
잔신

Hunter

약칭
BLGJ
파일:빌리빌리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우승 기록
LDL
(1회)
2022 스프링
로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중국 국기.svg 장주오야

lamb

파일:중국 국기.svg 가오위안펭

Xgao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중국 국기.svg 뤄쥔하오

Junhao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중국 국기.svg 후웨이량

Aherusi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중국 국기.svg [[류원쉐|류원쉐

Baiye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중국 국기.svg 샤징야오

Xiaoxia



팀 컬러

[ 펼치기 · 접기 ]



우승 기록
2022 LDL Spring 우승
Rare Atom Period

Bilibili Gaming Junior

FunPlus Blaze
준우승 기록
2019 LDL Spring 준우승
Unlimited Potential

Bilibili Gaming Junior

EDG Youth Team

6.1. Baiye(바이예, 류원쉐)[편집]


파일:BLG_Baiye_2023_Split_2.png

문서 참조.

7. 전 멤버[편집]



7.1. Mni(엠엔아이, 펑팡)[편집]


파일:2019 Mni Spring.png

데뷔 시즌 후 바로 은퇴를 선언했다.

7.2. Kahom(카홈, 류자훙)[편집]


파일:BLGJ Kahom 2019 Split 2.png

7.3. m03(엠03, 장전)[편집]


파일:BLGJ m03 2019 Spring1.png

7.4. M1anhua(미안화, 천자하오)[편집]


파일:BLGJ M1anhua 2019 Split 2.png
Moss Seven Club 출신 정글러. 프리시즌과 서머 초반 경기력만 보면 Sks나 Ben4와는 비교할 수 없는 우수한 경기력을 보이고 있는데,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기는 하다...

근데 10월 달 이후 팀 자체적으로 징계를 드셨고 그대로 2팀으로 거취를 옮겼다.

7.5. Vortex(보텍스, 스하오룽)[편집]


파일:BLGJ Virus 2019 Split 2.png

7.6. HanXuan(한쉬안, 훙하오)[편집]


파일:BLGJ HanXuan 2019 Split 2.png

7.7. Kine(키네, 셰차오)[편집]


파일:BLG Kine 2019 Split 2.png

7.8. Moonlight(문라이트, 양언젠)[편집]


파일:BLGJ Moonlight 2019 Split 2.png
2019년 12월 17일 Bilibili Gaming Junior에서 Bilibili Gaming으로 콜업됐다. # 그리고 다시 복귀하였다.

7.9. Jinjiao(진쟈오, 셰진산)[편집]


파일:BLG Jinjiao 2019 Split 2.png

원거리 딜러. 2015 서머 시즌 7주차 스네이크전에 데프트 대신 등판하여 드레이븐으로 슈퍼 하드캐리를 보여줌으로써 깊은 인상을 남겼다. 2016년 스프링 시즌부터 LSPL행.

1주차 폼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IM의 에이스.원래 한국 IM도 2팀체제 시절에는 명가 IM의 팀컬러는 구 형제팀 EDG와 비슷하게 운영과 후반한타를 지향하는데, 원딜의 개인기량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선택. 데프트만큼의 개인기량을 보여준 것은 아니지만 배미, 아테나와의 불협화음이 심했던 데프트와 달리 이들과의 조화가 매우 훌륭하다.

우지와 미스틱 등 중체원 라인 원딜러들에게 메카닉에서 다소 밀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CS를 뒤지다가도 약점을 찔러 맞라인 킬을 따는 등 잠재력이 뛰어나고 무엇보다 한타 딜링이 아주 뛰어난 원딜러다. 특히 진쟈오와 대조적으로 중국의 파일럿이라 불리는 Snake의 Martin을 만나자 진쟈오의 장점이 똑똑히 드러났다.

롤드컵에서는 원딜을 키워줘야 할 로드와 어보이드리스가 예상대로 같이 맛이 가면서 힘을 못쓰고 있고 아테나에게 숟가락만 얹는 중.

하지만 FW 2차전은 시비르 알리스타로 죽어라 갱까지 당하는데도 CS 20개 정도만 버리고 왕귀해서 무서운 킬 캐치 능력으로 다 쓸어담았다.

2016년에 롤러와에 출연한 손대영 감독의 증언에 따르면 닭갈비에 환장을 한다고 한다. 한판 시켜놓으면 다 먹고 볶음밥까지 먹는다고.

2017년에는 로드가 나오건 스타라이트가 나오건 라인전에서 펑펑 터져나가는 것이 특징인데, 그래도 한타 딜링능력은 데프트가 사라진 LPL에서 우지 미스틱 다음으로 꼽아줄 수 있는 굉장히 뛰어난 원딜러다. 하지만 라인전 약세를 전부 서폿 탓으로만 돌리기에는 그 약세가 해도 너무하다는 것이 단점. 드레이븐 잡고 잘나가던 서브 시절이나 그 로드 데리고 버티던 2016 서머에 비하면 뭔가 아쉽다.

그러나 사이노드래곤이 원딜 하나 잘해서 BLG를 제치는 시점 진쟈오를 더이상 LPL A+급 원딜러라 부르기에는 분명 하드웨어와 종합적 스펙 쪽이 아쉬운 것 같다...

19~20시즌 시점에서 진쟈오는 용병 슬롯을 먹지 않을 뿐 크레이머와 로컨의 하위호환인 원딜러다. 한때 한국에서도 무시무시한 모습을 보여줬고 중국에서도 에이스놀이 했던 크레이머와 로컨도 갈수록 중국 최상위권 원딜러들의 메카닉을 감당하기가 힘든데, 라인전도 더 약할 뿐만 아니라 전성기에조차 아테나, 쿠로 등에 많이 의존했고 팀의 한타 1옵션이었던 빈도가 낮은 진쟈오 입장에선 더 곤란하다. 분명 팀이 진쟈오의 약점을 커버해주면 한타 1인분은 하는데 거기까지다.

어쨋든 로드 이탈이후 팀내 한타콜을 담당하는것도 있고 그래서였는지 서포터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7.10. Alielie(알리에리에, 항둥쉬)[편집]


파일:BLGJ Alielie 2019 Split 2.png

7.11. XinMo(신모, 리첸시)[편집]


파일:BLG XinMo 2019 Split 2.png

7.12. Yuen(유엔, 옹잉유엔)[편집]


파일:87 Yuen 2019 Split 2.png

7.13. Able(아블레, 다이즈춘)[편집]


파일:RYL Able 2019 Split 2.png

7.14. xiao7(샤오7, 리중치)[편집]


파일:FPB Xiao7 2019 Split 2.png

8월~9월 사이에 영입된 중국인 탑솔러. 영입한 이유는 용병 슬롯으로 인해 출전하지 못 하고 있는 셉티드를 쓰기 위해서 인듯.

2019년 12월 17일 FunPlus Phoenix Blaze에서 FunPlus Phoenix로 콜업됐다. # 그리고 다시 블레이즈로 돌아갔다.

안타깝지만 정말 로스터 숫자채우기만을 위한 선수이다.실력자체는 2군급에서도 최하급 실력이다.
선수라고 부를정도의 실력은 절대 아니고 조금 잘하는 일반인정도이다.선수로치자면 정말 멍청한 선수

7.15. l3est16(베스트16, 주즈리)[편집]


파일:OMD l3est16 2019 Split 2.png

7.16. clx(시엘엑스, 천이)[편집]


파일:V5_clx_2020_Split_2.png

2019년 12월 18일 Joy Dream을 떠나 Victory Five로 이적했다. #

7.17. Wings[5](윙즈, 왕수카이)[편집]


파일:BLG_Wings_2020_Split_1.png

2020 스프링 시즌 TES 포틱의 뒤를 잇는 2020 서머 최악의 원딜러. 당연하다면 당연한게 이 선수가 잘해서 LPL 주전이 된 것이 아니라 진쟈오가 서폿 전향을 선언해서 억지로 자리를 채운 것이기 때문.
[1] 前 Xiaoliulian[2] 존끄, 애로우의 하위호환에 가까운 원딜러인 진쟈오의 성향 문제를 무시할 수 없었다. 수비형 미드인 아테나와도, 서포팅형 미드인 쿠로와도 동일한 경기력을 뽑아낸 것은 대체…[3] 중국 롤팬들은 슈퍼팀을 '은하전함'이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밈이 있는데 한국 롤팬들에게도 이게 알려져서 한국에선 '은하전함'이 일종의 멸칭이 되어버렸다.[4] 굳이 2022년 BLG로 돌아와 도로 폭망한 포포를 필두로 롤드컵 역적이 된 마크나 롤드컵 선발전 역적이 된 에이밍, 역시나 롤드컵에 가지 못한 피피갓이나 팀에 다소 고통받는 브리드 등 이 팀을 거쳐간 선수들이 아예 확고한 월드클래스라는 것은 아니지만, BLG 시절에 비하면 말도 안되게 잘 풀리는 것은 다들 비슷하다.[5] 前 Xiaoliul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