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 브리즈번 올림픽

덤프버전 : (♥ 0)

||


2032 브리즈번 올림픽
제35회 올림픽 경기대회
2032 브리즈번 올림픽 경기대회
Games of the XXXV Olympiad Brisbane 2032
파일:오륜기.svg
대회기간2032년 7월 23일 ~ 8월 8일[1][2]
개최지
파일:호주 국기.svg

퀸즐랜드 브리즈번
슬로건
마스코트
주제가
참가국
참가 선수
경기 종목
개회 선언[3]
선수 선서
심판 선서
코치 선서
성화 점화
개·폐회식장더 가바

2032 브리즈번 올림픽 개막까지
D-2952

1. 개요
2. 대회 상징
2.1. 엠블럼
3. 유치 선정
4. 종목
5. 여담



1. 개요[편집]


2032년 개최 예정인 제35회 하계올림픽. 2021년 7월 21일[4] 도쿄 오쿠라 호텔에서 열린 IOC 이사회에서 최종 결정되었다.

후보 접수는 2023년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올림픽 유치 시기를 매 대회마다 탄력적으로 조정하기로 올림픽 헌장이 개정되면서 보다 앞당겨진 상태다.

개최지 선정 방식이 바뀌었는데 동하계올림픽미래유치위가 올림픽 개최에 관심 있는 지역과 먼저 접촉해 대화를 이어간 뒤 최종 후보를 1∼2개로 압축해 집행위원회에 권고하는 방식이다.

2021년 6월 서울 - 평양, 카타르 도하, 헝가리 부다페스트, 독일 라인-루르, 중국 청두충칭,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도 뉴델리, 튀르키예 이스탄불,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경쟁지를 따돌리고 호주브리즈번이 단독 개최지 자격을 따냈다. 브리즈번은 전체 경기장의 84%를 기존 시설로 이용하겠다는 비용 절감 계획과 호주 정부·퀸즐랜드 주정부·호주 국민의 강력한 지원 등을 유치의 근거로 내세웠다.

이로써 호주1956 멜버른 올림픽, 2000 시드니 올림픽에 이어 32년 만에 올림픽을 개최해 하계 올림픽 3회 개최 국가가 되었다. 지금껏 하계 올림픽을 3번 이상 개최한 국가는 영국, 프랑스, 미국 3곳이었는데, 이번에 호주가 4번째 국가로 추가됐다. 특히 호주는 미국[5]에 이어 서로 다른 3개의 도시에서 개최한 두 번째 나라가 되었다.[6]


2. 대회 상징[편집]



2.1. 엠블럼[편집]


파일:2032 브리즈번 올림픽 임시 로고.svg파일:2032 브리즈번 패럴림픽 임시 로고.svg
2032 브리즈번 올림픽 엠블럼 (임시)2032 브리즈번 패럴림픽 엠블럼 (임시)


3. 유치 선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32 브리즈번 올림픽/유치 선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종목[편집]


최소 2025년은 되어야 IOC 집행위원회에서 브리즈번 올림픽에 포함될 스포츠 종목에 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이며, 2026년 2월 IOC 총회에서 종목을 최종으로 결정한다.

크리켓의 경우 호주는 크리켓 월드컵을 5번이나 우승한 경력이 있어 최다 우승 국가이고, 2011년부터 리그가 열린 프로 리그 Big Bash League가 평균 2만 명이 넘는 관중을 동원하여 야구와 차원이 다른 흥행을 거두고 있듯이 영국,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인도 제도,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부탄, 네팔과 같이 크리켓 강호이기도 하다. 호주 내에서 크리켓오스트레일리안 풋볼, 럭비 다음으로 인기가 있다.

5.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0:40:18에 나무위키 2032 브리즈번 올림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1년에 열린 2020 도쿄 올림픽과 개막일, 개최 기간과 폐막일이 같다. 참고로 203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라서 3월 이후의 요일이 2021년, 2027년과 같다.[2] 호주는 남반구라서 이 시기에 겨울이다. 그래서 동계올림픽 분위기 날 듯 싶겠으나, 브리즈번이 겨울에도 기후가 나름 온화한 곳이라, 오히려 가을운동회처럼 쾌적할 수도 있다.[3] 현재로서는 누가 개회 선언을 하게 될지 알 수 없다. 찰스 3세 호주 국왕이 직접 개회 선언을 할 수도 있고, 2000 시드니 올림픽이나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처럼 총독이 개회 선언을 할 수도 있다.[4] 2020 도쿄 올림픽 개막 이틀 전이었다.[5] 세인트루이스(1904), 로스앤젤레스(1932, 1984, 2028), 애틀랜타(1996)[6] 두 국가 모두 수도에서는 올림픽을 개최한 적 없다는 특이점이 있다.[7] 2018년에는 퀸즈랜드 주도인 브리즈번 바로 옆에 있는 골드코스트에서 커먼웰스 대회가 진행된 바 있다.[8] 면적은 15,842km²로 동티모르와 거의 같지만 인구밀도가 1km²에 161명으로 적은 편이다. 대한민국에 비유하자면 전라북도 정읍시 정도이다. 참고로 전라북도 정읍시의 면적은 693.04㎢이고, 인구는 106,487명이다.[9] 해당 대륙에서 면적이 넓은 국가들의 올림픽 개최가 많았는데 아시아에서 가장 넓은 중국2008 베이징 올림픽을,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넓은 캐나다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을, 세계에서 가장 넓고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있지만 유럽에 속해 있는 러시아2014 소치 동계올림픽을,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넓은 브라질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을 개최했고 중국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개최해 21세기 32년 동안 5번이나 영토가 넓은 나라들의 개최가 이루어진 셈이다.[10] 서울, 부산과 파리의 시차는 7시간, LA와의 시차는 무려 16시간이다.[11] 대한민국에 TV 보급이 대중화된 1970년대 중반 이후 치러진 하계 올림픽 중에 대한민국에서 열린 1988 서울 올림픽과 호주에서 열린 2000 시드니 올림픽, 중국에서 열린 2008 베이징 올림픽, 일본에서 열린 코로나19로 1년 뒤인 2021년에 개최된 2020 도쿄 올림픽이 여기에 해당된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같은 시간대를 쓰기 때문에 시차가 없고, 중국은 대한민국보다 1시간 늦기 때문에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 사이에 경기 시청이 가능했다. 단, 시드니 올림픽 당시에는 호주가 서머타임 제도를 실시했기 때문에 시드니가 대한민국보다 2시간이나 더 빨랐다.[12] 호주가 속한 남반구북반구와 달리 크리스마스가 여름이다. 이 때문에 1956 멜버른 올림픽은 11월, 2000 시드니 올림픽은 9월에 열렸다.[13] 한국으로 치면 5월 혹은 9월 날씨와 유사.[14] 입헌군주제: 영국, 일본, 호주. 공화제: 브라질, 프랑스, 미국. 호주 국왕이 어딨냐고 반문할 수 있는데, 참고로 호주 국왕영국 국왕이 겸임한다.[15] 1984년 미국 LA 올림픽, 1996년 미국 애틀랜타 올림픽, 2008년 중국 베이징 올림픽, 2032년 호주 브리즈번 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