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파리 올림픽/축구(여자)/지역예선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4 파리 올림픽/축구(여자)


1. 개요
2. 출전권 배당
3. 지역별 예선
3.1. 북중미카리브 예선
3.2. 남미 예선
3.3. 유럽 예선
3.4. 아시아 예선
3.4.1. 1차예선
3.4.2. 2차예선
3.4.3. 최종예선
3.5. 아프리카 예선
3.6. 오세아니아 예선


1. 개요[편집]


2024 파리 올림픽의 축구 종목 중 여자부의 지역별 예선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출전권 배당[편집]


대륙출전권 수(12개국)지역 예선비고
개최국(프랑스)1-
북중미카리브2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CONCACAF 플레이오프
예선 대체
남미22022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콜롬비아예선 대체
유럽22023-24 UEFA 여자 네이션스 리그 파이널예선 대체
아시아22024 AFC 올림픽 여자 축구 예선
오세아니아12024 OFC 올림픽 여자 축구 예선
아프리카22024 CAF 올림픽 여자 축구 예선
합계12

  • 별도의 예선 없이 대륙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대회 성적에 따라 올림픽 출전권 부여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2개국(대회 우승팀과 준우승팀 vs 3위팀 간의 홈 앤드 어웨이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리팀에게 올림픽 출전권 부여)
    • 남미 축구 연맹: 2개국(대회 결승 진출 국가 2개국에게 올림픽 출전권 부여)
    • 유럽 축구 연맹: 2개국(네이션스 리그 파이널 우승팀과 준우승팀에게 올림픽 출전권 부여. 단 개최국 프랑스가 결승에 진출할 경우 3위팀이 올림픽 출전권을 받는다.)


3. 지역별 예선[편집]



3.1. 북중미카리브 예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CONCACAF W 챔피언십 멕시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회 결과 미국이 우승하여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고, 각각 준우승과 3위를 기록한 캐나다와 자메이카가 2023년 9월 22일과 26일에 걸쳐 홈 앤드 어웨이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CONCACAF 플레이오프 1차전
경기일자2023년 9월 22일(금) 19:00 (UTC-5)
경기장자메이카 킹스턴, 인디펜던스 파크
국 가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득 점02
득점자니셸 프린스 (18')
아드리아나 레온 (90+3')

CONCACAF 플레이오프 2차전
경기일자2023년 9월 26일(화) 19:00 (UTC-4)
경기장캐나다 토론토, BMO 필드
국 가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득 점21
득점자클로에 라카세 (40')
조르딘 휘테마 (50')
드류 스펜스 (33')

캐나다는 이미 챔피언십 준결승에서도 3-0으로 자메이카를 이긴 적 있어 유리할 것이라 예상되었고, 예상대로 합계 스코어 4-1로 자메이카를 꺾고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이로써 미국과 캐나다가 올림픽에 진출했다.

3.2. 남미 예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콜롬비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회 결과 우승과 준우승을 각각 거둔 브라질과 콜롬비아가 올림픽에 진출했다.

3.3. 유럽 예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UEFA 여자 네이션스 리그/2023-24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4. 아시아 예선[편집]


  • 각 조별로 한 국가에 모여 모든 경기를 진행하게 되었다. (H) 표시는 개최국을 의미한다.
대회2024 AFC 올림픽 여자축구 예선
일시2023년 4월 1일 ~ 11일 (1차예선)
2023년 10월 26일 ~ 11월 1일 (2차예선)
2024년 3월 24, 28일 (최종예선)
예선 통과

3.4.1. 1차예선[편집]


2022년 12월 9일 기준 FIFA 랭킹 상위 5팀이 2차예선에 먼저 진출하며 나머지 팀들은 7개의 조로 나뉘어 1차예선을 치른다. 각 조에서 1위만 2차예선에 진출한다.
  • A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H)3300190+1992차예선 진출
2파일:부탄 국기.svg부탄320151-66탈락
3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3102410-63
4파일:동티모르 국기.svg동티모르300329-70

  • B조: 방글라데시와 몰디브가 경기 전 기권을 선언해 이란과 미얀마가 2경기를 치렀고, 이란이 2차예선에 진출했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이란 국기.svg이란211021+142차예선 진출
2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 (H)201112-11탈락
3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00000000기권
4파일:몰디브 국기.svg몰디브00000000

  • C조: B조처럼 아프가니스탄과 팔레스타인이 경기 전 기권을 선언해 베트남과 네팔이 2경기를 치렀고, 베트남이 2차예선에 진출했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220071+662차예선 진출
2파일:네팔 국기.svg네팔 (H)200217-60탈락
3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아프가니스탄00000000기권
4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팔레스타인00000000

  • D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태국 국기.svg태국 (H)2200120+1262차예선 진출
2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201128-61탈락
3파일:몽골 국기.svg몽골201128-61
4파일:스리랑카 국기.svg스리랑카00000000기권

  • E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3300160+1692차예선 진출
2파일:홍콩 국기.svg홍콩320154+16탈락
3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키스탄310216-53
4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타지키스탄 (H)3003012-120

  • F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중화 타이베이220091+862차예선 진출
2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 (H)210165+13탈락
3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200209-90

  • G조: 투르크메니스탄의 기권으로 인도와 키르기스스탄이 2경기를 치러 인도가 2차예선에 진출했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인도 국기.svg인도220090+962차예선 진출
2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 (H)200209-90탈락
3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투르크메니스탄00000000기권


3.4.2. 2차예선[편집]


2차예선에는 피파 랭킹 상위 5개 팀(북한, 일본, 호주, 중국, 대한민국)과 1차예선을 통과한 7개 팀이 3개의 조로 나뉘어 각 조의 1위와 2위 중 성적이 제일 좋은 1팀만이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 A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호주 국기.svg호주 (H)3300130+139최종예선 진출
2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320159-46
3파일:이란 국기.svg이란301203-31틸릭
4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대만301217-61탈락

  • B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북한 국기.svg북한321091+87최종예선 진출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120112+95
3파일:중국 국기.svg중국 (H)311153+24탈락
4파일:태국 국기.svg태국3003120-190탈락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콜린 벨호/2023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죽음의 조에서는 우리가 강팀을 상대로 무승부를 거두었지만 북한이 4포트인데 1위로 진출했다. 뭐 사실상 1포트지만.
  • C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3300110+119최종예선 진출
2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H)320142+26
3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310234-13탈락
4파일:인도 국기.svg인도3003113-120탈락

  • 조 2위 서열: 우즈베키스탄이 최종예선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H)320142+26
2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320159- 46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120112+95

3.4.3. 최종예선[편집]


최종예선은 추첨을 통해 두 팀씩 홈 앤드 어웨이로 맞붙으며, 각 경기에서 승리한 두 팀이 올림픽 출전권을 갖게 된다.
1차전 홈팀스코어 총합2차전 홈팀1차전2차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파일:호주 국기.svg호주--
파일:북한 국기.svg북한-파일:일본 국기.svg일본--

3.5. 아프리카 예선[편집]


대회2024 CAF 올림픽 여자축구 예선
일시2023년 7월 10일 ~ 18일 (1라운드)
2023년 10월 23일 ~ 31일 (2라운드)
2024년 2월 19일 ~ 28일 (3라운드)
2024년 4월 1일 ~ 9일 (4라운드)
예선 통과

아프리카 예선은 2022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모로코에서 제일 좋은 성적을 거둔 7개 팀[1]이 2라운드에 진출하고 나머지 팀들이 1라운드에서 맞붙는다. 여기까지는 아시아와 유사하나 포맷에 큰 차이가 있는데, 이쪽은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1라운드는 지역별로 포트를 나눠 서부 지역 국가끼리, 중앙/남부/동중부 지역 국가끼리 붙게 되었다. 모든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로 진행된다.

  • 1라운드
1차전 홈팀스코어 총합2차전 홈팀1차전2차전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기니비사우4-5파일:베냉 국기.svg베냉2-22-3
파일:기니 국기.svg기니0-7파일:가나 국기.svg가나0-30-4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부르키나파소2-3파일:말리 국기.svg말리0-12-2 (a.e.t)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경기 취소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시에라리온코트디부아르 부전승
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2-0파일:적도 기니 국기.svg적도 기니2-00-0
파일:우간다 국기.svg우간다4-3파일:르완다 국기.svg르완다3-31-0 (a.e.t)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에티오피아10-0파일:차드 국기.svg차드6-04-0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콩고경기 취소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탄자니아 부전승
파일:모잠비크 국기.svg모잠비크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 부전승

  • 2라운드
1차전 홈팀스코어 총합2차전 홈팀1차전2차전
파일:베냉 국기.svg베냉0-5파일:가나 국기.svg가나0-30-2
파일:말리 국기.svg말리경기 취소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잠비아 부전승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경기 취소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튀니지 부전승
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0-4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0-20-2
파일:우간다 국기.svg우간다2-3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2-00-3 (a.e.t)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에티오피아1-5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1-10-4
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3-0파일:보츠와나 국기.svg보츠와나2-01-0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1-3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 공화국1-10-2

  • 3라운드
1차전 홈팀스코어 총합2차전 홈팀1차전2차전
파일:가나 국기.svg가나-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
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
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 공화국--

  • 4(최종)라운드: 두 경기에서 각각 승리한 팀이 올림픽 출전권을 얻는다.
1차전 홈팀스코어 총합2차전 홈팀1차전2차전
파일:국기.svg-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파일:국기.svg--

3.6. 오세아니아 예선[편집]


대회2024 OFC 올림픽 여자 축구 예선
일시2024년 2월 5일 ~ 3월 10일
예선 통과
아직 진행 방식이 나오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03:57:40에 나무위키 2024 파리 올림픽/축구(여자)/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8강 진출팀 중 세네갈만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