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2 Masters Copenhagen/그룹 스테이지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2 Masters Copenhagen


1. 개요
2. A조
2.1. 1경기 LLL 1 : 2 KRU
2.1.1. 경기 내용
2.2. 2경기 OPTC 0 : 2 GLD
2.2.1. 경기 내용
2.3. 승자전 GLD 2 : 0 KRU
2.3.1. 경기 내용
2.4. 패자전 OPTC 2 : 1 LLL
2.4.1. 경기 내용
2.5. 최종전 KRU 0 : 2 OPTC
2.5.1. 경기 내용
3. B조
3.1. 1경기 DRX 2 : 0 NTH
3.1.1. 경기 내용
3.2. 2경기 FPX 2 : 1 XIA
3.2.1. 경기 내용
3.3. 승자전 DRX 2 : 1 FPX
3.3.1. 경기 내용
3.4. 패자전 XIA 1 : 2 NTH
3.4.1. 경기 내용
3.5. 최종전 FPX 2 : 0 NTH
3.5.1. 경기 내용
4. 총평


1. 개요[편집]


A조B조
파일:Guild_Esports.png파일:600px-OpTic_Gaming.png파일:FPX 로고 2021.svg파일:Xerxia.png
파일:LOUD 로고.svg파일:KRU_Esports.png파일:Northeption.png파일:DRX 로고(2020~2022).svg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2 Masters Copenhagen의 경기 진행 중 그룹 스테이지 일정 및 결과에 대해 정리한 문서이다.

2. A조[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그룹 스테이지 A조 대진표
조 4강승자전
GLD
EMEA 3시드
파일:Guild_Esports.png2파일:Guild_Esports.png2
OPTC
NA 2시드
파일:600px-OpTic_Gaming.png0
KRÜ
LATAM 2시드
파일:KRU_Esports.png2파일:KRU_Esports.png1
LLL
BR 1시드
파일:LOUD 로고.svg1
패자전최종전
4강 패자파일:LOUD 로고.svg1파일:600px-OpTic_Gaming.png 2
4강 패자파일:600px-OpTic_Gaming.png2
승자전 패자파일:KRU_Esports.png0


이번 대회 죽음의 조.
저번 마스터스 우승팀준우승팀이 한 조에 있고, 브라질의 강자인 KRU, EMEA 지역의 신흥강자인 GLD까지 있는 승패를 예측하기 힘든 조이다.

2.1. 1경기 LLL 1 : 2 KRU[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A조 4강 1경기
(2022. 7. 11. 01:00)
LOUD12KRÜ Esports
×××
패자전 이동결과승자전 진출

2.1.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LLL, bteam=KRU,
aban=바인드, bban=스플릿, aban2=브리즈, bban2=어센트,
p_apic=프랙처, p_bpic=헤이븐, p_cpic=아이스박스,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수비)]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1, teamD=KRU, teamA=LLL,
dScore=10,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헤이븐, set=2, teamD=LLL, teamA=KRU,
dScore=9,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아이스박스, set=3, teamD=LLL, teamA=KRU,
dScore=10, aScore=<b>13 )]

2.2. 2경기 OPTC 0 : 2 GLD[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A조 4강 2경기
(2022. 7. 11. 05:00)
Guild Esports20OpTic Gaming
-××-
승자전 진출결과패자전 이동

2.2.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GLD, bteam=OPTC,
aban=프랙처, bban=헤이븐, aban2=바인드, bban2=브리즈,
p_apic=아이스박스, p_bpic=스플릿, p_cpic=어센트,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수비)]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아이스박스, set=1, teamD=OPTC, teamA=GLD,
dScore=11,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스플릿, set=2, teamD=GLD, teamA=OPTC,
dScore=<b>16, aScore=14 )]
이 경기로 저번 마스터스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패자전(...) 에서 만나는 진풍경이 연출되었다.

2.3. 승자전 GLD 2 : 0 KRU[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A조 승자전
(2022. 7. 12. 03:30)
Guild Esports21KRÜ Esports
×××
플레이오프 진출 결과최종전 이동
이번 경기에서 이기는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첫번째 그룹 스테이지 팀이 된다.

2.3.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KRU, bteam=GLD,
aban=스플릿, bban=헤이븐, aban2=어센트, bban2=브리즈,
p_apic=바인드, p_bpic=프랙처, p_cpic=아이스박스,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수비)]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바인드, set=1, teamD=GLD, teamA=KRU,
dScore=12, aScore=<b> 14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2, teamD=KRU, teamA=GLD,
dScore=6, aScore=<b> 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아이스박스, set=3, teamD=KRU, teamA=GLD,
dScore=14, aScore=<b> 16 )]
이번 경기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첫번째 팀은 GLD로 정해졌다. GLD는 지옥의 조 A조에서 이름있는 팀들을 누르고 플레이오프에 제일 먼저 진출하였다.

2.4. 패자전 OPTC 2 : 1 LLL[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A조 패자전
(2022. 7. 13. 04:00)
LOUD12OpTic Gaming
×××
탈락결과최종전 진출

저번 마스터스 결승전 매치업을 이번 마스터스 예선 패자전에서 보게되었다(...)[1] 이번 경기의 승패로 두팀 중 한팀은 광탈하게 된다.

2.4.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LOUD, bteam=OPTC,
aban=헤이븐, bban=아이스박스, aban2=바인드, bban2=브리즈,
p_apic=어센트, p_bpic=프랙처, p_cpic=스플릿,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수비)]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1, teamD=OPTC, teamA=LOUD,
dScore=8,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2, teamD=OPTC, teamA=LOUD,
dScore=<b>13, aScore=8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바인드, set=2, teamD=LOUD, teamA=OPTC,
dScore=12, aScore=<b>14 )]

1세트는 OPTC이 말렸다고 봐도 될정도로 샷싸움에서 꽤 밀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2세트에서는 돌아온 Marved와 Yay가 해주며 13:8 로 이기고, 3세트는 연장전 26라운드(LOUD 12 : 13 OPTC)에서 aspas의 페인트탄이 하필 앞에 있는 saadhak한테 맞아버리면서 팀킬을 하고,[2] 그게 스노우볼이 굴러가
14:12로 승리를 거두었다. 반명 LOUD는 이번 마스터스 두번째 탈락팀이 되며 대회를 마무리짓게 되었다.

2.5. 최종전 KRU 0 : 2 OPTC[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A조 최종전
(2022. 7. 14. 03:00)
OpTic Gaming20KRÜ Esports
-××-
플레이오프 진출결과탈락
A조의 마지막 플레이오프행 티켓을 두고 OPTC과 KRU가 격돌한다. 둘다 현재 경기력은 만만치 않은 팀들이기 때문에 OPTC은 Marved와 Yay가 해주고, KRU는 keznit과 Nagzet이 해준다면 승패를 예측할 수 없는 박빙의 승부가 될것으로 보인다.

2.5.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OPTC, bteam=KRU,
aban=아이스박스, bban=프랙처, aban2=브리즈, bban2=어센트,
p_apic=스플릿, p_bpic=헤이븐, p_cpic=바인드,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수비)]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1, teamD=KRU, teamA=OPTC,
dScore=7,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2, teamD=KRU, teamA=OPTC,
dScore=6, aScore=<b>13 )]

이상할 정도로 OPTC이 일방적으로 압승을 거뒀다. OPTC은 1세트 중반부부터 Marved가 미친 에임을 보여주면서 1세트를 가져왔고, 분위기에 힘입어 2세트까지 가져오며 플레이오프행 마지막 티켓을 거머쥘수 있게 되었다.

3. B조[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그룹 스테이지 B조 대진표
조 4강승자전
FPX
EMEA 2시드
파일:FPX 로고 2021.svg2파일:FPX 로고 2021.svg1
XIA
APAC 2시드
파일:Xerxia.png1
NTH
JP 1시드
파일:Northeption.png0파일:DRX 로고(2020~2022).svg2
DRX
KR 1시드
파일:DRX 로고(2020~2022).svg2
패자전최종전
4강 패자파일:Xerxia.png 1파일:Northeption.png 0
4강 패자파일:Northeption.png2
승자전 패자파일:FPX 로고 2021.svg2



대한민국의 DRX, EMEA의 FPX, 일본의 Northeption, APAC의 Xerxia가 있는 그나마 쉬운 조이다.
한가지 이점이 있다면 굉장히 강한 팀으로 평가받던 FPX가[3] 챌린저스 2에서 조금 부족한 기량을 보여주며 2시드로 올라왔고, 또 비자 문제가 겹쳐 주전 멤버 한명이 빠지고 용병이 들어와 전력 손실도 피하지 못할것으로 보인다.

3.1. 1경기 DRX 2 : 0 NTH[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B조 4강 1경기
(2022. 7. 10. 22:00)
Northeption02DRX
××--
패자전 이동결과승자전 진출
마스터스 코펜하겐의 개막전이자 세번째 한일전이다.

3.1.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NTH, bteam=DRX,
aban=아이스박스, bban=프랙처, aban2=스플릿, bban2=브리즈,
p_apic=어센트, p_bpic=바인드, p_cpic=헤이븐,
1attack=공격, 2attack=수비, 3attack=공격)]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1, teamD=NTH, teamA=DRX,
dScore=8,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바인드, set=2, teamD=NTH, teamA=DRX,
dScore=<b>1, aScore=13 )]
결과는 DRX의 압승이었다. 어센트에서는 DRX도, NTH도 긴장한 부분이 없지않아 있었지만, 2세트 바인드에서는 원래의 DRX의 실력을 화려하게 뽐내며 13대 1 압승을 거두었다.

3.2. 2경기 FPX 2 : 1 XIA[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B조 4강 2경기
(2022. 7. 12. 00:00)
XERXIA12FunPlus Phoenix
×××
패자전 이동결과승자전 진출

3.2.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XIA, bteam=FPX,
aban=프랙처, bban=아이스박스, aban2=스플릿, bban2=브리즈,
p_apic=바인드, p_bpic=어센트, p_cpic=헤이븐,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공격)]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바인드, set=1, teamD=FPX, teamA=XIA,
dScore=<b>14, aScore=12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2, teamD=XIA, teamA=FPX,
dScore=<b>13, aScore=9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헤이븐, set=3, teamD=FPX, teamA=XIA,
dScore=<b>13, aScore=10 )]

이번 경기에서 FPX가 승리를 거두며 승자전에서 DRX를 만나게 되었다. FPX는 엄청난 헤드샷률과 에임으로 승부를 본 반면, XIA는 Surf의 엄청난 오퍼 에임과 택틱으로 승부를 가리려고했지만, 순간순간 자잘한 실수들 때문에 중요한 라운드 몇개를 놓친 나머지 결국 승리를 내주고 말았다.

3.3. 승자전 DRX 2 : 1 FPX[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B조 승자전
(2022. 7. 12. 22:00)
DRX21FunPlus Phoenix
×××
플레이오프 진출 결과최종전 이동
이번 경기에서 승리하는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2번째 그룹 스테이지 팀이 된다. FPX는 스킬 택틱보단 개인의 기량으로 승부를 보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든 침착하게 정보를 따내며 그 정보에 따라서 행동한다면 DRX도 이길확률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다.

3.3.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DRX, bteam=FPX,
aban=스플릿, bban=바인드, aban2=어센트, bban2=아이스박스,
p_apic=헤이븐, p_bpic=프랙처, p_cpic=브리즈,
1attack=공격, 2attack=공격, 3attack=공격)]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헤이븐, set=1, teamD=DRX, teamA=FPX,
dScore=8,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2, teamD=FPX, teamA=DRX,
dScore=6,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브리즈, set=3, teamD=FPX, teamA=DRX,
dScore=6, aScore=<b>13 )]

1세트는 초반 몇라운드는 잘 풀어가는 듯 했으나, Shao가 미친 에임으로 29킬을 해주고, 후반전에 상대방의 에임 기량에 말리면서 8:13 으로 패배했다.

2세트는 피스톨과 2라운드를 내주긴 했다만, 3라운드부터 Rb의 빠른 속공으로 타이밍을 뺏고, 그 타이밍을 노려 팀원들이 트레이드를 해주며 전반전을 9:3 으로 앞서나갔다. 후반전 들어 조금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긴 했으나 이변은 없었고 결국 13:6 으로 승리했다.

3세트는 돌아온 stax와 BuZz의 에임, 좋은 트레이드와 티키타카로 손쉽게 13:6 승리를 거두었다.

유럽의 강팀 FPX를 2:1로 꺾고, 플레이오프로 진출하는 DRX이다. 물론 스이게츠가 비자문제로 오지 못한것도 있지만, 스이게츠가 없더라도 확실히 강팀인 FPX를 꺾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GLD에 이어 두번째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3.4. 패자전 XIA 1 : 2 NTH[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B조 패자전
(2022. 7. 13. 01:00)
Northeption21XERXIA
×××
최종전 진출 결과탈락

3.4.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NTH, bteam=XIA,
aban=아이스박스, bban=프랙처, aban2=브리즈, bban2=어센트,
p_apic=스플릿, p_bpic=헤이븐, p_cpic=바인드,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수비)]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스플릿, set=1, teamD=XIA, teamA=NTH,
dScore=<b>13, aScore=9)]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헤이븐, set=2, teamD=XIA, teamA=NTH,
dScore=8,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바인드, set=1, teamD=NTH, teamA=XIA,
dScore=<b>15, aScore=13)]

전체적으로 에임은 비등비등했지만, 중요할때마다 Meteor와 Blackwiz가 해주며 NTH가 1세트는 몰라도 2세트 분위기는 완전히 NTH쪽으로 넘어갔고. XIA는 헤이븐때 킬조이의 봉쇄낭비, 무리한 2대4 리테이크 시도 등 자잘한 실수들이 많이 나와 헤이븐을 내주고, 바인드까지도 연장 접전 끝에 내주며 이번 마스터스 첫번째 탈락팀이 되었다.

3.5. 최종전 FPX 2 : 0 NTH[편집]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B조 최종전
(2022. 7. 14. 00:00)
Northeption02FunPlus Phoenix
××--
탈락결과플레이오프 진출

B조의 플레이오프행 마지막 티켓을 걸고 NTH와 FPX가 격돌한다. 제르시아와의 경기에서 경기력은 확실히 좋아진 것을 보았고, 택틱만 잘 맞는다면 NTH도 비빌만하다. FPX는 스킬 활용이 적다는 단점은 있지만, 세계 탑급 수준의 에임이라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이길만한 경기이다.

3.5.1. 경기 내용[편집]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FPX, bteam=NTH,
aban=아이스박스, bban=바인드, aban2=스플릿, bban2=헤이븐,
p_apic=프랙처, p_bpic=어센트, p_cpic=브리즈,
1attack=수비, 2attack=공격, 3attack=수비)]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프랙처, set=1, teamD=NTH, teamA=FPX,
dScore=9, aScore=<b>13 )]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2, teamD=NTH, teamA=FPX,
dScore=9, aScore=<b>13 )]

결국 NTH가 FPX에게 지며 탈락하고 말았다. 스킬 택틱은 좋았지만, 교전 능력. 특히 원거리 교전 능력에서 심하게 말리며 2:0 으로 탈락하였다. 이로써 일본의 챔피언스 시드권은 가장 많은 서킷 포인트를 기록한 ZETA DIVISION이 가져가게 되었다.[4] 반면 FPX는 B조 마지막 플옵행 티켓을 거머쥐고 Fnatic을 만나러 간다.


4. 총평[편집]



  • 패자전 탈락자 - LOUD, Xerxia Esports
8강 진출팀보다 꼴찌팀이 더더욱 예상외인 그룹 스테이지의 가장 큰 이변이다.
A조의 라우드는 전 마스터스 준우승팀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최소 4위는 하지 않겠느냐는 사람들의 예상을 완전히 무너뜨리고 1:2, 1:2 패배를 당하면서 이번 마스터스를 마무리짓게 되었다. 두 경기 다 첫세트는 이기고 나머지 두세트를 다 내준 것이기 때문에 뒷심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오고있다.
B조의 Xerxia는 충분히 잠재력이 있는 팀인데도 패자전에서 접전끝에 NTH에게 패배하며 이번 마스터스를 마무리짓게 되었다.
이팀도 두 경기 다 첫세트는 내주고 나머지 두세트를 진 경우라서 뒷심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다.

  • 최종전 탈락자 - Northeption, KRU Esports
아쉽다만 조금 보완이 필요한 팀들이다.
노셉션은 일본팀 치고 꽤 강한 모습을 보였다만, 결국 유럽의 FPX를 꺾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하고 말았다.
KRU는 첫경기때 LOUD를 잡아내는 의외의 모습을 보였지만, 결국 최종전에서 패배하며 2연속 마스터스 예선 광탈이 되었다.

  • 최종전 승자 - FunPlus Phoenix, OpTic Gaming
두 팀다 조금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극복하고 올라왔다.
FPX는 첫경기에서 조금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지만 이겼고, 또 승자전에서 패배했지만 본인들의 강점인 에임을 필두로 플옵에 진출했다.
OPTC은 첫경기를 0:2 로 패배하는 모습을 보여서 굉장히 걱정되는 분위기였지만, 패자조에서 만난 LOUD를 다시 한번 꺾고, 최종전에서도 승리하면서 플옵행 마지막 티켓을 가져갔다.

  • 승자전 승자 - Guild Esports, DRX
어느정도 예상은 갔지만 이정도일줄은 몰랐던 팀과 원래 플옵은 잘나가던 팀이 진출한다.
A조의 Guild는 신흥강자임에도 불구하고 디펜딩 챔피언인 OPTC을 2:0으로 이기고, 전 마스터스 준우승팀 LOUD를 꺾은 KRU Esports도 2:1 로 승리하면서 가장 빠르게 플옵에 진출한 팀이 되었다.
B조의 DRX는 항상 8강은 잘가는 팀이기에 걱정하는 분위기는 없었지만, 유럽의 강팀 FPX를 꺾고 갔다는 것이 크다. 또 그동안 꽁꽁 숨겨왔던 브리즈, 프랙처도 확실히 강하다는 것을 입증해 탑 시드팀을 긴장하게 만들었다.

  • 지역별 요약
    • 라틴 아메리카
이번 마스터스는 라틴 아메리카의 흑역사로 남게 된다. 탑 시드로 진출한 Leviathan을 제외하고 LOUD, KRU Esports가 예선 광탈을 하며
  • 아시아
  • EMEA
  • 북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8:43:32에 나무위키 2022 VALORANT Champions Tour Stage 2 Masters Copenhagen/그룹 스테이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 마스터스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예선 패자전에서 만난 첫번째 사례가 되었다.[2] 어떻게 된거냐면, 페인트탄을 맞는 그 타이밍에 상대 페이드의 포박(Q)스킬이 들어와 76피에다 갑옷이 2 남았었던 saadhak의 피가 순식간에 1이 되어버리고, 페인트탄을 한대맞고 처치당하였다.[3] EMEA 스테이지 1을 씹어먹으며 1위로 올라섰지만, 비자 문제로 마스터스 레이캬비크에 진출하지 못했다.[4] 노셉션은 LCQ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