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남자 개인전)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
,
,
,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바둑 남자 개인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픽토그램.svg
종목바둑
참가 인원18명
참가국9개국
대국 규정제한 시간 각자 1시간, 30초 초읽기 3회
계가중국룰 덤 7집반
기간2023년 9월 24일(일) ~ 9월 28일(목)
경기장항저우 체스 협회

1. 개요
2. 출전 선수
3. 경기 진행
3.1. 예선
3.1.1. 1라운드
3.1.2. 2라운드
3.1.3. 3라운드
3.1.4. 4라운드
3.1.5. 5라운드
3.1.6. 6라운드
3.1.7. 예선 결과
3.2. 결선 토너먼트
3.2.1. 8강
3.2.2. 준결승
3.2.3. 동메달 결정전
3.2.4. 금메달 결정전
4. 대회 결과



1. 개요[편집]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종목 남자 개인전 부문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남자 개인전은 9개국 18명의 선수가 출전했으며, 진향 방식은 18명의 선수들이 9명씩 2개조로 편성. 각 조 6라운드 스위스 시스템으로 진행해 상위 4명씩 총 8명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금메달을 가린다.


2. 출전 선수[편집]


선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신진서, 박정환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커제, 양딩신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이치리키 료, 시바노 도라마루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중화 타이베이쉬하오훙, 라이쥔푸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선옌헝, 루환츄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천나이선, 천즈쉬안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창푸캉, 리쑹카이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쉬원리, 펑사칸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커제후이, 캉잔빈


3. 경기 진행[편집]


대국 시간은 한국 시간 기준.


3.1. 예선[편집]



3.1.1. 1라운드[편집]


  • 2023년 9월 24일 오전 10시 30분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A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쉬하오훙191수 흑 불계승리쑹카이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천즈쉬안169수 흑 불계승쉬원리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진서201수 흑 불계승양딩신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커제후이131수 흑 불계승선옌헝파일:마카오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시바노부전승X
B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정환180수 백 불계승커제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이치리키155수 흑 불계승창푸캉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라이쥔푸280수 흑 1집반승천나이선파일:홍콩 국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루환츄218수 백 불계승펑사칸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캉잔빈부전승X


3.1.2. 2라운드[편집]


  • 2023년 9월 24일 오후 4시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A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진서278수 흑 불계승천즈쉬안파일:홍콩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양딩신105수 흑 불계승쉬원리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선옌헝260수 백 12집반승쉬하오훙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일본 국기.svg시바노141수 흑 불계승커제후이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리쑹카이부전승X
B파일:중국 국기.svg커제215수 흑 불계승라이쥔푸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태국 국기.svg펑사칸241수 백 6집반승캉잔빈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창푸캉161수 흑 불계승루환츄파일:마카오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천나이선162수 백 불계승이치리키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정환부전승X


3.1.3. 3라운드[편집]


  • 2023년 9월 25일 오전 10시 30분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A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쉬하오훙124수 백 불계승신진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천즈쉬안214수 백 불계승양딩신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리쑹카이245수 백 불계승시바노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쉬원리311수 흑 반집승커제후이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선옌헝부전승X
B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정환237수 흑 12집반승캉잔빈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커제169수 흑 불계승이치리키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창푸캉124수 백 불계승라이쥔푸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홍콩 국기.svg천나이선151수 흑 불계승루환츄파일:마카오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펑사칸부전승X


3.1.4. 4라운드[편집]


  • 2023년 9월 25일 오후 4시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A파일:일본 국기.svg시바노166수 백 불계승신진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양딩신247수 흑 불계승쉬하오훙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태국 국기.svg쉬원리278수 흑 3집반승선옌헝파일:마카오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커제후이175수 흑 불계승리쑹카이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천즈쉬안부전승X
B파일:일본 국기.svg이치리키256수 백 불계승박정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캉잔빈254수 백 불계승커제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라이쥔푸235수 흑 11집반승펑사칸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천나이선191수 흑 불계승창푸캉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루환츄부전승X


3.1.5. 5라운드[편집]


  • 2023년 9월 26일 오전 10시 30분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A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진서195수 흑 불계승커제후이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양딩신167수 흑 불계승시바노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쉬하오훙245수 흑 6집반승천즈쉬안파일:홍콩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리쑹카이263수 백 불계승선옌헝파일:마카오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위치리치부전승X
B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정환193수 흑 불계승라이쥔푸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중국 국기.svg커제185수 흑 불계승펑사칸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캉잔빈260수 백 불계승천나이썬파일:홍콩 국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루환츄295수 백 20집반승이치리키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창푸캉부전승X


3.1.6. 6라운드[편집]


  • 2023년 9월 26일 오후 4시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A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진서115수 흑 불계승위치리치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선옌헝196수 백 불계승양딩신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시바노140수 백 불계승쉬하오훙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홍콩 국기.svg천즈쉬안242수 흑 불계승리쑹카이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커제후이부전승X
B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창푸캉136수 백 불계승박정환파일: 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천나이선266수 백 17집반승커제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펑사칸108수 백 불계승이치리키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마카오 국기.svg루완츄194수 백 불계승캉잔빈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라이쥔푸부전승X


3.1.7. 예선 결과[편집]


  • 범례 : O = 승리 / X = 패배 / 부 = 부전승 / = 예선 통과 / = 탈락
  • 순위 산정 : 승점(승리시 2점, 패배시 0점) → 총점 → 승자승
A조
순위선수라운드승점총점
123456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진서OOOOOO1242
2파일:중국 국기.svg양딩신XOOOOO1042
3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쉬하오훙OOXXOO840
4파일:일본 국기.svg시바노 도라마루OOXXX638
5파일:태국 국기.svg쉬원리XXOOX638
5파일:홍콩 국기.svg천즈쉬안OXXXO638
7파일:싱가포르 국기.svg커제후이OXXOX630
8파일:마카오 국기.svg선옌헝XXXOX432
9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리쑹카이XXXXX230

B조
순위선수라운드승점총점
123456
1파일:중국 국기.svg커제OOOOOO1242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정환XOOOO1038
3파일:일본 국기.svg이치리키 료OOXXOO838
4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라이쥔푸OXOOX836
5파일:홍콩 국기.svg천나이선XXOOOX640
6파일:싱가포르 국기.svg캉잔빈OXXXO634
7파일:태국 국기.svg펑사칸OXXXX436
8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창푸캉XOXXX434
9파일:마카오 국기.svg루완츄XXXXX228


3.2. 결선 토너먼트[편집]


참고로 2:0으로 되어있어서 3판 2선승제 아니냐고 오해할 수 있는데, 전부 단판이다. 아시안게임 규정상 승리가 2점이라 공식적으로 대진 결과가 저렇게 써진 것이다.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바둑 토너먼트 대진표 (남자 개인전)
8강4강메달 결정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 : 0 라이쥔푸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0 : 2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금메달 결정전
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0 : 2 쉬하오훙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쉬하오훙 2 : 0 박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노 도라마루 0 : 2 커제 파일:중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 커제 2 : 0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딩신 0 : 2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동메달 결정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진서 2 : 0 이치리키 료 파일:일본 국기.svg


3.2.1. 8강[편집]


  • 2023년 9월 27일 오후 4시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진서279수 흑 2집반승라이쥔푸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정환215수 백 1집반승쉬하오훙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일본 국기.svg시바노166수 백 불계승커제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양딩신248수 백 불계승이치리키파일:일본 국기.svg


3.2.2. 준결승[편집]


  • 2023년 9월 28일 오전 10시 30분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진서278수 백 불계승쉬하오훙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중국 국기.svg커제210수 백 불계승이치리키파일:일본 국기.svg


3.2.3. 동메달 결정전[편집]


  • 2023년 9월 28일 오후 4시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진서135수 흑 불계승이치리키파일:일본 국기.svg


3.2.4. 금메달 결정전[편집]


  • 2023년 9월 28일 오후 4시 대국
선수명결과선수명
파일:중국 국기.svg커제263수 흑 1집반승쉬하오훙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4. 대회 결과[편집]



대만의 쉬하오훙이 한국 2위 박정환, 한국 1위 신진서, 중국 2위 커제를 차례대로 잡아내며 이변을 만들고 우승을 차지 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22:56:15에 나무위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남자 개인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