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회2회3회4회5회
ta-hash-start=w-0c4c93af131c294eb21bd79fd3c8b8f3[[파일:스웨덴 국기.svg
2011
스웨덴
ta-hash-start=w-1b0124e5f50d1b6eca46e55011f1b512[[파일:미국 국기.svg
2012
미국
ta-hash-start=w-1b0124e5f50d1b6eca46e55011f1b512[[파일:미국 국기.svg
2013
미국
ta-hash-start=w-5191411e7b2bbc04a8a5b91b04a34bd4[[파일:대만 국기.svg ta-hash-start=w-0e143c3bef0f7759c230664c4dc905f8[[파일:싱가포르 국기.svg ta-hash-start=w-d1cfd4f44b52974aeaf3a57804e8d86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대만 · 싱가포르 · 대한민국
ta-hash-start=w-5d9a8bf41762edc791eb6d353d7772b1[[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5
유럽
6회7회8회9회10회
ta-hash-start=w-1b0124e5f50d1b6eca46e55011f1b512[[파일:미국 국기.svg
2016
미국
ta-hash-start=w-1ba0846587744383fa518b7e642ff632[[파일:중국 국기.svg
2017
중국
ta-hash-start=w-d1cfd4f44b52974aeaf3a57804e8d86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대한민국
ta-hash-start=w-5d9a8bf41762edc791eb6d353d7772b1[[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9
유럽
ta-hash-start=w-1ba0846587744383fa518b7e642ff632[[파일:중국 국기.svg
2020
중국
11회12회13회14회15회
ta-hash-start=w-03e68135e0895efe7ac9d0abac64f8a0[[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2021
아이슬란드
ta-hash-start=w-5d4c2d20597f73dd33a058db352e3d57[[파일:멕시코 국기.svg ta-hash-start=w-1b0124e5f50d1b6eca46e55011f1b512[[파일:미국 국기.svg
2022
멕시코 · 미국
ta-hash-start=w-d1cfd4f44b52974aeaf3a57804e8d86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대한민국
ta-hash-start=w-c8bcfd3fedd67f9abb731ef4aca58448[[파일:영국 국기.svg
2024
영국
ta-hash-start=w-ec9ceed0f5eea723525c19d95f1dd2f6[[파일:국기.svg
2025
미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FunPlus Phoenix파일:DAMWON.png
DAMWON Gaming
Edward Gaming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결승 MVP
가오톈량
(FPX Tian)
김건부
(DWG Canyon)
이예찬
(EDG Scout)
파일:DWGWIN.jpg

파일:TAKE OVER.jpg
파일:Worlds 2020.png
{{{#fff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대회 기간2020년 9월 25일 ~ 10월 31일
주최라이엇 게임즈
주관
개최지
파일:중국 국기.svg

조 추첨식9월 15일 21시 (KST)
참가팀22개 팀[1]
패치 버전10.19 패치[2][3]
경기장플레이-인 스테이지 ~ 4강
상하이 미디어 테크 스튜디오
결승
상하이 푸동 스타디움
중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V
아프리카TV, OGN [1]
온라인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pn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wavve 아이콘.svg 파일:Jump AR 아이콘.webp
중계진캐스터
전용준, 성승헌
해설자
강승현, 김동준, 이현우, 김배인, 남태유
분석 데스크
윤수빈, 이정현, 허원석, 김배인, 남태유
통역 및 인터뷰어
박지선

[1] 경기 익일 재방송.
일정
[ 펼치기 · 접기 ]

플레이-인
스테이지
1라운드
9월 25일 ~ 9월 28일
2라운드
9월 29일 ~ 9월 30일
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10월 3일 ~ 10월 6일
2라운드
10월 8일 ~ 10월 11일
녹아웃
스테이지
8강
10월 15일 ~ 10월 18일
4강
10월 24일 ~ 10월 25일
결승
10월 31일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DAMWON Gaming
준우승Suning
결승 MVP김건부(DWG Canyon)

1. 개요
3. 참가팀
4. 일정
5. 대회 진행
7. 공식 스폰서십
7.1. 글로벌 파트너
7.2. 지역 공식 파트너
7.3. 지역 특별 파트너
9. 기념 스킨
9.1. 챔피언십 르블랑(Championship LeBlanc)
11. 여담
11.1. ESPN 선정 TOP 20 플레이어
11.2. ESPN 선정 라인별 TOP 5 플레이어
11.3. ESPN 선정 팀 파워 랭킹
11.4. 번외: 제8회 다데상?
11.5. 드롭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쟁취하라 | Take Over | 所向无前2020 World Championship Moments and Memories | 기억의 순간들
2020년 9월 25일부터 10월 31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제10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 대표 선발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선발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참가팀[편집]


  •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 LPL, LEC, LCK[4] 1~3시드팀 + LCS 1·2시드팀 + PCS 1시드팀 = 12팀
  •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팀: LPL, LEC 4시드팀 + LCS 3시드팀 + PCS 2시드팀 + 나머지 6리그의 1시드팀 = 10팀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
그룹 스테이지 풀 1그룹 스테이지 풀 2그룹 스테이지 풀 3
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 LPL
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JDG Old logo.png파일:Suninglogo_square.png
Top EsportsJD GamingSuning
파일:lec 심볼.svg LEC
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Fnatic 로고.svg파일:rogue_old.png
G2 EsportsFnaticRogue
파일:LCK white.png LCK
파일:DAMWON.png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
DAMWON GamingDRXGen.G
파일:2019_lcs.png LCS파일:PCS_white.png PCS
파일:TSM_Logo.png파일:FlyQuest_only_logo.png파일:Machi E-Sports.png
TSMFlyQuestMachi E-Sports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출전팀
    • LPL - LGD Gaming(2회 출전)[5]
    • LEC - Fnatic(8회 출전)[6]
    • LCK - Gen.G(6회 출전)[7]
    • LCS - TSM(8회 출전)[8]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연속 출전팀
    • LPL - 없음[9]
    • LEC - G2 Esports(5년 연속 출전)
    • LCK - DAMWON Gaming(2년 연속 출전)
    • LCS - Team Liquid(3년 연속 출전)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우승팀
    • LCK - Gen.G(2회 우승)[10]
    • LPL - 없음
    • LEC - Fnatic(1회 우승)[11]
    • LCS - 없음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첫 출전팀
    • LPL - Top Esports, JD Gaming, Suning
    • LEC - Rogue[12]
    • LCK - 없음
    • LCS - FlyQuest


3.1. 로스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로스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일정[편집]


진행 방식 안내

||
플레이-인그룹
(9/25 ~ 9/28)
녹아웃
(9/29 ~ 9/30)
그룹
(10/3 ~ 10/11)
A조B조C조D조
녹아웃8강
(10/15 ~ 10/18)
4강
(10/24 ~ 10/25)
결승
(10/31)
결산 | 논란 및 사건 사고




5. 대회 진행[편집]


[ 플레이-인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Team_Liquid_2020.png
TL41TB-1st
2
파일:Legacy_Esports.png
LGC32TB-1st
3
파일:Papara_SuperMassive.png
SUP22-
4
파일:MAD_Lions_no_text.png
MAD23TB-4th
5
파일:INTZ_2019.png
ITZ14TB-4th
파랑색: 그룹 스테이지 직행 |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2R 진출
연두색: 플레이-인 녹아웃 1R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PSG Talon 아이콘(2020-2021).svg
PSG41TB-1st
2UOL32TB-1st
3
파일:Rainbow7logo.png
R722-
4
파일:LGD_Gaming_Logo_no_text.png
LGD23TB-4th
5
파일:300px-V3_esportslogo_square.png
V314TB-4th
파랑색: 그룹 스테이지 직행 |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2R 진출
연두색: 플레이-인 녹아웃 1R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1라운드 (9/29)2라운드 (9/30)
R7
B조 3위
파일:Rainbow7logo.png0
LGC
A조 2위
파일:Legacy_Esports.png0
LGD
B조 4위
파일:LGD2017.png3파일:LGD2017.png3
SUP
A조 3위
파일:Papara_SuperMassive.png3
UOL
B조 2위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3
MAD
A조 4위
파일:MAD_Lions_no_text.png2파일:Papara_SuperMassive.png0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파란색: 그룹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그룹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Suninglogo_square.png
SN52TB
2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43TB
3
파일:Team_Liquid_2020.png
TL33-
4
파일:Machi E-Sports no text.png
MCX152R 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DAMWON.png
DWG511R 전승
2
파일:JD_Gaming.png
JDG42-
3
파일:PSG Talon 아이콘(2020-2021).svg
PSG241R 전패
4
파일:Rogue_notext.png
RGE152R 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C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512R 전승
2
파일:Fnatic 로고.svg
FNC42-
3
파일:LGD_Gaming_Logo_no_text.png
LGD33-
4
파일:TSM_Logo.png
TSM06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D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TES 로고 2019.svg
TES511R 전승
2
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X42-
3
파일:FlyQuest_only_logo.png
FLY33-
4UOL06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8강 3경기 (10/17)
TES
D조 1위
파일:TES 로고 2019.svg3
FNC
C조 2위
파일:Fnatic 로고.svg2

4강 2경기 (10/25)
파일:TES 로고 2019.svg1
파일:Suninglogo_square.png3

FINALS (10/31)
파일:Suninglogo_square.png1
파일:DAMWON.png3
||
8강 2경기 (10/16)
SN
A조 1위
파일:Suninglogo_square.png3
JDG
B조 2위
파일:JDG Old logo.png1
||
8강 4경기 (10/18)
GEN
C조 1위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0
G2
A조 2위
파일:G2 Esports 로고.svg3

4강 1경기 (10/24)
파일:G2 Esports 로고.svg1
파일:DAMWON.png3
||
8강 1경기 (10/15)
DWG
B조 1위
파일:DAMWON.png3
DRX
D조 2위
파일:DRX 로고(2020~2022).svg0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월드 챔피언십 우승




6. 결과 및 총평[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결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공식 스폰서십[편집]



7.1. 글로벌 파트너[편집]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파일:alienware.png파일:Secretlab 로고.svg
마스터카드에일리언웨어시크릿 랩[13]
파일:스테이트팜 로고.svg파일:OPPO 로고.svg파일:레드불 로고.svg
스테이트팜[14]OPPO레드불
파일:AXE 로고(2016-2021).svg파일:게티이미지 로고.svg파일:Cisco 로고.svg
AXE[15]게티이미지[16]Cisco
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파일:BOSE 로고.svg파일:메르세데스-벤츠 로고.svg
스포티파이BOSE메르세데스-벤츠[17]


7.2. 지역 공식 파트너[편집]


파일:2020 롤드컵 파트너1.png


7.3. 지역 특별 파트너[편집]


파일:2020 롤드컵 파트너2.png


8. 공식 영상[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공식 영상#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념 스킨[편집]



9.1. 챔피언십 르블랑(Championship LeBlanc)[편집]


파일:leblanc_Championship.jpg
가격1350RP
(기간 한정)
동영상#

다른 챔피언십 스킨들과는 달리 현대적인 느낌을 살려낸 색다른 챔피언십 스킨이다. 이전까지 황금색과 비취색을 섞어서 냈지만, 10주년이라 그런지 비취색의 보색인 분홍색~보라색 계열과 스펙트럼의 연장선상에 있는 남색 계열을 주로 썼다.

월드 챔피언십이 10주년을 맞았기 때문에, 귀환과 스킬 이펙트에 10을 나타내는 로마 숫자 X가 등장한다.


9.2. DAMWON Gaming 스킨[편집]


파일:DAMWON.png
2020 시즌[20]
파일:2021_DWG.jpg
케넨
(Nuguri)
니달리
(Canyon)
트위스티드 페이트
(ShowMaker)

(Ghost)
레오나
(BeryL)

10.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논란 및 사건 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여담[편집]


파일:2020WORLDS.jpg

중국에서 개최되었던 2017 월드 챔피언십 기간 동안, 리그 오브 레전드는 전통적인 주요 스포츠 이벤트에 필적할 만큼 획기적인 신규 시청자 수를 기록했습니다. 8,000만명 이상의 시청자가 4강 경기를 시청해주셨고, 결승전이 열렸던 새 둥지 모양의 베이징 국가체육장에는 40,000명에 달하는 팬들이 빼곡히 들어차며 입장권이 매진되었습니다.

2020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지난 중국에서의 성공적 개최를 이어갈 수 있기를 바라며, 리그 오브 레전드에 대한 최대 규모의 팬 기반과 열정을 가진 지역 중 하나인 중국 팬 여러분들 앞에서 제10회 월드 챔피언십을 개최하는 만큼 2020년이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에 기념비적인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11.1. ESPN 선정 TOP 20 플레이어[편집]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포지션최종 성적
1줘딩knight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Mid_icon.png
MID
4강 탈락
2정지훈Chovy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Mid_icon.png
MID
8강 탈락
3허수ShowMaker파일:DAMWON.png파일:Mid_icon.png
MID
우승
4장싱란Zoom파일:JD_Gaming.png파일:Top_icon.png
TOP
8강 탈락
5라스무스 뷘터Caps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Mid_icon.png
MID
4강 탈락
6위원보JackeyLove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Bot_icon.png
BOT
4강 탈락
7서진혁Kanavi파일:JD_Gaming.png파일:Jungle_icon.png
JGL
8강 탈락
8박재혁Ruler파일:Gen.G 로고.svg파일:Bot_icon.png
BOT
8강 탈락
9바이자하오369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Top_icon.png
TOP
4강 탈락
10김건부Canyon파일:DAMWON.png파일:Jungle_icon.png
JGL
우승
11곽보성Bdd파일:Gen.G 로고.svg파일:Mid_icon.png
MID
8강 탈락
12장하권Nuguri파일:DAMWON.png파일:Top_icon.png
TOP
우승
13마르틴 한센Wunder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Top_icon.png
TOP
4강 탈락
14레꽝주이SofM파일:Suninglogo_square.png파일:Jungle_icon.png
JGL
준우승
15한왕호Peanut파일:LGD2017.png파일:Jungle_icon.png
JGL
그룹 스테이지 탈락
16오스카르 보데렉Selfmade파일:Fnatic 로고.svg파일:Jungle_icon.png
JGL
8강 탈락
17이동욱LokeN파일:JD_Gaming.png파일:Bot_icon.png
BOT
8강 탈락
18쑤한웨이Xiye파일:LGD2017.png파일:Mid_icon.png
MID
그룹 스테이지 탈락
19홍하오쉬안Karsa파일:TES 로고 2019.svg파일:Jungle_icon.png
JGL
4강 탈락
20마르틴 라르손Rekkles파일:Fnatic 로고.svg파일:Bot_icon.png
BOT
8강 탈락

올해는 따로 라이엇이 TOP 20을 선정하지 않았다.

작년에 겨우 말석 한자리를 차지했던 LCS는 아예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한국인의 수는 작년과 같이 9명이고 LEC는 시드권이 한장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2명이 줄었다. 또한 서포터가 한 명도 없고 1~5위가 한 명 빼고 모두 미드 라이너라는 것도 특징이다.

리그별로 보면 LPL 10명, LCK 6명, LEC 4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한국인은 9명.[35]

2015년부터 이어진 유서깊은 4위 잔혹사 징크스는 올해도 적중했는데,[36] 4위에 든 줌이 소속된 징동이 8강에서 탈락하고 만다. 그리고 1위로 선정된 나이트가 있는 TES도 결국 4강에서 탈락하면서[37] 2016년부터 이어져온 'ESPN 선정 랭킹 1위는 우승을 못 한다'는 징크스 역시 그대로 이어지게 되었다.


11.2. ESPN 선정 라인별 TOP 5 플레이어[편집]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최종 성적
1장싱란Zoom파일:JD_Gaming.png8강 탈락
2바이자하오369파일:TES 로고 2019.svg4강 탈락
3장하권Nuguri파일:DAMWON.png우승
4마르틴 한센Wunder파일:G2 Esports 로고.svg4강 탈락
5천쩌빈Bin파일:Suninglogo_square.png준우승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최종 성적
1서진혁Kanavi파일:JD_Gaming.png8강 탈락
2김건부Canyon파일:DAMWON.png우승
3레꽝주이SofM파일:Suninglogo_square.png준우승
4한왕호Peanut파일:LGD2017.png그룹 스테이지 탈락
5오스카르 보데렉Selfmade파일:Fnatic 로고.svg8강 탈락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최종 성적
1줘딩knight파일:TES 로고 2019.svg4강 탈락
2정지훈Chovy파일:DRX 로고(2020~2022).svg8강 탈락
3허수ShowMaker파일:DAMWON.png우승
4라스무스 뷘터Caps파일:G2 Esports 로고.svg4강 탈락
5곽보성Bdd파일:Gen.G 로고.svg8강 탈락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최종 성적
1위원보JackeyLove파일:TES 로고 2019.svg4강 탈락
2박재혁Ruler파일:Gen.G 로고.svg8강 탈락
3이동욱LokeN파일:JD_Gaming.png8강 탈락
4마르틴 라르손Rekkles파일:Fnatic 로고.svg8강 탈락
5탕환펑huanfeng파일:Suninglogo_square.png준우승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최종 성적
1쭤밍하오LvMao파일:JD_Gaming.png8강 탈락
2조건희BeryL파일:DAMWON.png우승
3류민석Keria파일:DRX 로고(2020~2022).svg8강 탈락
4후숴제SwordArt파일:Suninglogo_square.png준우승
5노르만 카이저Kaiser파일:MAD_Lions_no_text.png플레이-인 스테이지 2R 탈락

1위는 전부 LPL 선수가 뽑혔으며 비율은 LPL이 12명으로 48%, LCK가 8명으로 32%, LEC가 5명으로 20%이다. 북미 멸망 우승후보 세 팀 TES, DWG, JDG 중 카사, 위옌자, 고스트, 야가오만 들지 못했다. 또 쑤닝은 미드 라이너 앤젤을 제외하고 모두 5위 안에 들었다.

그러나 서포터 5위에 들었던 MAD의 카이저가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광탈하고 마는 대참사가 일어났다. 또한 포지션 별 1위에 뽑힌 선수 전원이 TES, JDG 소속이었는데 모두 결승에 오르지 못했고, 바텀에서는 아예 순위에도 들지 못한 고스트가 우승, 5위 후안펭이 준우승으로 가장 좋은 평가를 받게 되었다.


11.3. ESPN 선정 팀 파워 랭킹[편집]


순위지역배정최종 성적
1파일:TES 로고 2019.svgTop Esports파일:LPL_2020.png
그룹 스테이지4강 탈락
2파일:DWG_square.pngDAMWON Gaming파일:LCK_2018_logo.png
그룹 스테이지우승
3파일:JD_Gaming.pngJD Gaming파일:LPL_2020.png
그룹 스테이지8강 탈락
4파일:G2 Esports 로고.svgG2 Esports파일:LEC.png
그룹 스테이지4강 탈락
5파일:Gen.G 로고.svgGen.G Esports파일:LCK_2018_logo.png
그룹 스테이지8강 탈락
6파일:Fnatic 로고.svgFnatic파일:LEC.png
그룹 스테이지8강 탈락
7파일:Suninglogo_square.pngSuning파일:LPL_2020.png
그룹 스테이지준우승
8파일:DRX 로고(2020~2022).svgDRX파일:LCK_2018_logo.png
그룹 스테이지8강 탈락
9파일:Rogue.pngRogue파일:LEC.png
그룹 스테이지그룹 스테이지 탈락
10파일:LGD2017.pngLGD GAMING파일:LPL_2020.png
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 스테이지 탈락
11파일:TSM_Logo.pngTeam SoloMid파일:LCS2020.png
그룹 스테이지그룹 스테이지 탈락
12파일:MAD_Lions_no_text.pngMAD Lions파일:LEC.png
플레이-인 스테이지플레이-인 스테이지 2R 탈락
13파일:FlyQuest_only_logo.pngFlyQuest파일:LCS2020.png
그룹 스테이지그룹 스테이지 탈락
14파일:Team_Liquid_2020.pngTeam Liquid파일:LCS2020.png
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 스테이지 탈락
15파일:Machi E-Sports.pngMachi E-Sports파일:97879897789897897.png
그룹 스테이지그룹 스테이지 탈락
16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Unicorns of Love파일:LCL2020_logo.png
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 스테이지 탈락
17파일:Papara_SuperMassive.pngPapara SuperMassive파일:TCL small.png
플레이-인 스테이지플레이-인 스테이지 2R 탈락
18파일:Rainbow7logo.pngRainbow7파일:LLA 2020.png
플레이-인 스테이지플레이-인 스테이지 2R 탈락
19파일:PSG Talon 로고(2020-2021).svgPSG Talon파일:97879897789897897.png
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 스테이지 탈락
20파일:INTZ_2019.pngINTZ e-Sports파일:CBLOL_2020_Logo.png
플레이-인 스테이지플레이-인 스테이지 1R 탈락
21파일:Legacy_Esports.pngLegacy Esports파일:OPL.png
플레이-인 스테이지플레이-인 스테이지 2R 탈락
22파일:300px-V3_esportslogo_square.pngV3 Esports파일:LJL_2020_logo.png
플레이-인 스테이지플레이-인 스테이지 1R 탈락

MAD의 탈락 및 PSG 탈론이 그룹 스테이지에 진출한 것을 빼면 15팀은 맞췄으며, 그룹 스테이지 내에서 1, 2위 팀들간의 순위변동은 있을지언정, 8강은 이변없이 파워랭킹 8위 이내의 팀들이 모두 진출에 성공했다. 또한, 4강에도 한 팀을 제외하고[38] 1~4위의 팀이 진출하면서 8위 이내의 파워 랭킹은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결승전은 파워랭킹 2위인 담원과 파워랭킹 7위인 쑤닝이 맞붙어 2위인 담원이 우승했다.


11.4. 번외: 제8회 다데상?[편집]


비공식 제8회 다데상 수상자: TES JackeyLove

다데상 항목 참조.


11.5. 드롭[편집]


서머 시즌 동안 LEC와 LCS에서 각종 전리품을 뿌린 경험을 바탕으로 월즈 중에도 특정 상황 발생시 드롭이라는 시청보상을 뿌린다. 드롭은 라이엇 공식 이스포츠 채널에서 유튜브 혹은 트위치로 롤 계정을 연동하고 시청해야 획득할 수 있으며, 다음 상황 발생시 시청중인 시청자들에게 지급된다.

드롭 획득시 알림이 뜨며, 드롭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12. 둘러보기[편집]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6:53:42에 나무위키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본래 24개 팀이였지만 VCS 리그가 불참함에 따라 2장을 소멸시켜 22개 팀이 되었다.[2] 패치 버전은 10.19이나 요네와 사미라는 사용 불가.[3] 그룹 스테이지 A조 1위 순위결정전에서 식물 삭제 버그가 발생해 그 버그를 수정한 핫픽스 버전으로 8강부터 진행된다. [4] 원래는 LCS처럼 LCK 3시드 팀도 플레이-인에서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VCS 2팀이 불참하게 되면서 LCK 3시드도 그룹 스테이지에서 시작하게 되었다.[5] 2015, 2020[6] 2011, 2013~2015, 2017~2020[7] 2013, 2014, 2016~2018, 2020[8] 2011~2017, 2020[9] 4팀 모두 전년도 월즈 불참[10] 2014, 2017[11] 2011[12] MAD Lions는 스플라이스의 역사를 계승한다.[13] 싱가포르 게임 의자 제조 회사[14] 미국 보험 및 금융 회사[15] 유니레버 소유의 바디케어 제품 브랜드[16] 미국 이미지 회사[17] LPL 메인 스폰서를 계기로 처음 참여, 선수 이동 차량 제공[18] 레인우드그룹은 중국 내 레드불 제조 회사이기도 하다.[19] 중국명으로는 상하이 푸둥발전은행.[20] 전 시즌과 마찬가지로 뉴클리어와 호잇이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면서 식스맨이 없는 월즈 우승팀 스킨이 되었다[21] 간혹 혹자들은 이를 두고 'LCK가 5년 연속 우승할 때는 3장만 주더니 LCK가 겁이 나서 견제하려고 저런다'라고 하는데 이는 아무 상관도 없는 이야기다. 앞서 언급했듯이 LMS와 LST가 PCS로 통합되었는데 이유가 다음과 같다. LMS가 선수 유출, 흥행 문제, 그리고 가장 결정적으로 승부조작으로 리그가 망해버렸고, LST와 리그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시드권 2장이 비게 되었는데 2017년에 개설된 규칙에 따라 최근 2년간 국제전 성적에서 LCK가 LEC와 LPL에 명백히 밀렸기에 저 둘에게 시드권을 한 장씩 더 준 것이다.[22] 단독 개최는 아니고 8강 이후의 대진이 대한민국에서 진행되었다.[23] 당연한 얘기지만 초대, 2대 대회는 제외하고다.[24] 여러모로 리그 참가팀 수가 17팀이나 되는 LPL에서 월즈 진출을 향한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엿볼 수 있는 부분이며 실제로 LPL은 4대리그 중 유일하게 2019년 스프링부터 2020년 서머까지 우승팀이 전부 다른 리그이다.[25] 2017년 롱주(現 DRX), 2018년 IG, 2019년 담원[26] 2018년 아프리카, 2019년 T1, 2020년 담원[27] 엑스페케(2011), 토이즈(2012), 페이커(2013, 2015, 2016), (2014), 이지훈(2015), 크라운(2017), 루키(2018), 도인비(2019)[28] 사이어나이드(2011), 릴볼즈(2012), 뱅기(2013, 2015, 2016), 댄디(2014), 블랭크(2016), 앰비션, 하루(2017), (2018), 티안(2019)[29] 2013년 SKT 우승[30] 2017년 삼성 우승[31] 2018년 IG 우승[32] 2017년 삼성 우승. 이 네 명 중 유일하게 우승 당시와 동일한 팀으로 월즈에 왔다.[33] 4대리그의 순서대로라면 LCK 차례라서 한국에서 개최될 가능성이 높지만 베트남리그인 VCS의 약진과 새로 합류하게된 아랍리그의 흥행과 홍보를 위해 개최지가 변경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34] 이번에 월즈에 출전한 Legacy Esports는 내년까지 팀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35] 쵸비, 쇼메이커, 카나비, 룰러, 캐니언, 비디디, 너구리, 피넛, 로컨[36] 2015년 IG(카카오) 조별리그 탈락, 2016년 EDG(클리어러브) 8강, 2017년 롱주(칸) 8강, 2018년 아프리카(기인) 8강, 2019년 RNG(우지) 조별리그 탈락[37] 물론 나이트 입장에서는 억울한 것이 재키러브가 강속구 쓰로잉을 시전하고 369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파워랭킹 1위다운 활약에도 불구하고 팀원의 쓰로잉에 고통받은 것에 가깝다.[38] 이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 8강에서 LPL간의 내전이 벌어져 8강에서 무조건 한 팀은 떨어져야 했기 때문에 이 점은 감안해야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