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도쿄 올림픽/축구(여자)

덤프버전 : (♥ 0)

||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_White.svg
올림픽 여자축구
파일:2020 도쿄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svg

1. 개요
2. 경기장
3. 진출국
4. 조편성
4.1. 시드 배정
4.2. 추첨 결과
5. 대회 진행
5.1. 조별리그[12강]
5.1.4. 조 3위 간 서열
5.2. 토너먼트
6. 최종 순위
7. 총평



1. 개요[편집]


2020 도쿄 올림픽축구 종목 중 여자축구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경기장[편집]




  • 개최 경기장의 상세 소재지, 명칭, 규모 등은 다음과 같다.
도시경기장규모비고
도쿄도
쵸후시
도쿄 스타디움[1]49,970석종합운동장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요코하마 국제종합경기장[2]72,327석종합운동장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3]63,700석축구전용구장
이바라키현
가시마시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4]42,000석축구전용구장
미야기현
미야기군[5]
미야기 스타디움49,133석종합운동장
홋카이도
삿포로시
삿포로 돔[6]41,484석축구, 야구장 겸용
돔경기장
2020 도쿄 올림픽 여자축구는 개최지 도쿄를 포함하여 총 6개 도시, 7개 경기장에서 열린다. 이 중, 도쿄에 위치한 두 경기장을 제외한 나머지 5개 경기장은 지난 2002 FIFA 월드컵을 치룬 경기장이기도 하다. 여자축구 4강전 2경기는 요코하마, 가시마에서 개최되며, 동메달 결정전은 가시마, 결승전 및 시상식은 요코하마 국제종합경기장에서 개최된다.


3.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기간티켓 수
개최국파일:일본 국기.svg일본-2013년 9월 7일[7]1
남미
(CONMEBOL)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2018 여자 코파 아메리카2018년 4월 4일 ~ 22일1
파일:칠레 국기.svg칠레아프리카-남미 플레이오프2021년 4월 10일 ~ 13일1
오세아니아
(OFC)
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2018 여자 OFC 네이션스컵2018년 11월 18일 ~ 12월 1일1
유럽
(UEFA)
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2019 FIFA 여자 월드컵2019년 6월 7일 ~ 7월 7일3
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
파일:영국 국기.svg영국
북중미
(CONCACAF)
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2020 CONCACAF 올림픽 여자축구 예선2020년 1월 28일 ~ 2월 9일2
파일:미국 국기.svg미국
아프리카
(CAF)
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2020 CAF 올림픽 여자축구 예선2020년 3월 5일 ~ 10일1
아시아
(AFC)
파일:호주 국기.svg호주2020 AFC 올림픽 여자축구 예선2020년 3월 6일 ~ 11일2
파일:중국 국기.svg중국2021년 4월 8일 ~ 13일


4. 조편성[편집]



4.1. 시드 배정[편집]


  • 괄호 안의 숫자는 2021년 4월 FIFA 여자 랭킹이다.
포트 1포트 2포트 3'''{{{#fff
포트 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1)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5)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8)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2)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1)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6)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9)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3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3)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7)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4)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104)
같은 대륙의 국가는 같은 조에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포트 1의 네덜란드는 포트 2에서는 브라질밖에 만날 수 없고, 포트1의 일본은 포트 3에서 캐나다밖에 만날 수가 없다. 따라서 조추첨 전부터 네덜란드 vs 브라질, 일본 vs 캐나다의 대진은 확정되었다.


4.2. 추첨 결과[편집]



순번E조F조G조
1일본중국스웨덴
2캐나다브라질미국
3영국잠비아호주
4칠레네덜란드뉴질랜드


5. 대회 진행[편집]



5.1. 조별리그[12강][편집]



5.1.1. E조[편집]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영국 국기.svg영국21041+37
2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12043+15
3파일:일본 국기.svg일본1112204
4파일:칠레 국기.svg칠레00325-30
8강 진출 | 탈락


5.1.2. F조[편집]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210218+137
2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21093+67
3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012715-81
4파일:중국 국기.svg중국012617-111
8강 진출 | 탈락


5.1.3. G조[편집]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30092+79
2파일:미국 국기.svg미국11164+24
3파일:호주 국기.svg호주11145-14
4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003210-80
8강 진출| 탈락


5.1.4. 조 3위 간 서열[편집]


순위국가득점실점득실차승점
1E파일:일본 국기.svg일본1112204
2G파일:호주 국기.svg호주11145-14
3F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012715-81
8강 진출| 탈락

조 3위 추가진출E1 상대G1 상대
E FF3E3
E GG3E3
F GG3F3
최종 시나리오 | 제외된 시나리오


5.2. 토너먼트[편집]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 대진표 (여자)
8강전준결승전동메달, 금메달 결정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3 (ET) 4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가시마 스타디움)
7/30 18:0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0 : 1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8/2 20:00
금메달 결정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 (ET) 1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2 pen. 3)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8/6 21:00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3 : 1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7/30 19:0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 (ET) 2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2 pen. 4)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7/30 20:0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0 : 1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시마 스타디움)
8/2 17:00
동메달 결정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 : 4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가시마 스타디움)
8/5 17:00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0 (ET) 0 브라질 파일:브라질 국기.svg
(4 pen. 3)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7/30 17:00
◀ 남자 토너먼트 보기




5.2.1. 8강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0 도쿄 올림픽/축구(여자)/8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2. 준결승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0 도쿄 올림픽/축구(여자)/준결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3. 동메달 결정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0 도쿄 올림픽/축구(여자)/동메달 결정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4. 금메달 결정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0 도쿄 올림픽/축구(여자)/금메달 결정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최종 순위[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8]비고
1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624064+210파일:올림픽 금메달.svg 금메달
2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6510144+1016파일:올림픽 은메달.svg 은메달
3파일:미국 국기.svg미국62221211+18파일:올림픽 동메달.svg 동메달
4파일:호주 국기.svg호주62131113-274위
5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42202310+1388강
6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422093+68
7파일:영국 국기.svg영국421175+27
8파일:일본 국기.svg일본411235-24
9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3012715-81조별리그
10파일:중국 국기.svg중국3012617-111
11파일:칠레 국기.svg칠레300325-30
12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3003210-80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우승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번째 우승


7. 총평[편집]


12강 조별리그까지 했을 때는 2010년대 무렵 시작된 유럽 여자 축구의 초강세가 절정을 찍었다고 봐도 무방했으나, 토너먼트부터는 유럽이 전체적으로 조별리그의 화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사상 첫 4강에 올랐고 동메달 결정전에서 미국과 경기에서 접전끝에 패했다.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2:01:47에 나무위키 2020 도쿄 올림픽/축구(여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2강] A B [1] FC 도쿄도쿄 베르디 홈 구장[2] 요코하마 F. 마리노스 홈 구장[3]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홈 구장[4] 가시마 앤틀러스 홈 구장[5] 센다이시와 가깝다.[6] 콘사도레 삿포로 홈 구장[7] 도쿄 올림픽 개최 확정일[8] 승부차기 승리 및 패배는 무승부로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