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지역예선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1. 진출권 배당
4. 아시아
4.1. 1차 예선
4.1.1. 1조
4.1.2. 2조
4.1.3. 3조
4.1.4. 4조
4.1.5. 5조
4.1.6. 6조
4.1.7. 7조
4.1.8. 8조
4.1.9. 9조
4.1.10. 10조
4.2. 최종 예선
4.3. 지역 플레이오프
5. 아프리카
6. 오세아니아
7. 유럽
7.1. 플레이오프
8. 대륙간 플레이오프
8.1. UEFA vs AFC
8.2. OFC vs CONMEBOL


1. 진출권 배당[편집]


대륙진출권 수비고
남미4.5오세아니아와 대륙간 PO
북중미카리브3
아시아4.5개최국 대한민국과 일본 포함, 유럽과 대륙간 PO
아프리카5
오세아니아0.5남미와 대륙간 PO
유럽14.5전 대회 우승 팀 프랑스 포함, 아시아와 대륙간 PO
합계32


2. 남미[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1813414215+2743본선 진출
2파일:에콰도르 국기.svg에콰도르189452320+331본선 진출
3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89364215+2730본선 진출
4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189362923+630본선 진출
5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187651913+627PO 진출
6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187652015+527예선 탈락
7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184682133-1218예선 탈락
8파일:페루 국기.svg페루1844101425-1116예선 탈락
9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베네수엘라1851121844-2616예선 탈락
10파일:칠레 국기.svg칠레1833121527-1212예선 탈락


3. 북중미카리브[편집]


  • 코스타리카, 멕시코, 미국이 진출했다. #

4. 아시아[편집]



4.1. 1차 예선[편집]



4.1.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오만 국기.svg오만6510333+3016최종예선 진출
2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6411406+3413예선 탈락
3파일:라오스 국기.svg라오스6114340-374예선 탈락
4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6015229-271예선 탈락


4.1.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이란 국기.svg이란2200210+216최종예선 진출
2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타지키스탄2101162+143예선 탈락
3파일:괌 기.svg2002035-350예선 탈락
4파일:미얀마 국기(1974-2010).svg미얀마기권


4.1.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6510143+1116최종예선 진출
2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팔레스타인621389-17예선 탈락
3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6213811-37예선 탈락
4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홍콩6114310-74예선 탈락


4.1.4. 4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650194+515최종예선 진출
2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641193+613예선 탈락
3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611439-64예선 탈락
4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602438-52예선 탈락


4.1.5. 5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태국 국기.svg태국6510205+1516최종예선 진출
2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6411265+2113예선 탈락
3파일:스리랑카 국기.svg스리랑카6114820-124예선 탈락
4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키스탄6015529-241예선 탈락


4.1.6. 6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6420285+2314최종예선 진출
2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카자흐스탄6420202+1814예선 탈락
3파일:네팔 국기.svg네팔62041325-126예선 탈락
4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마카오6006231-290예선 탈락


4.1.7. 7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6420205+1514최종예선 진출
2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투르크메니스탄6402127+512예선 탈락
3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6222127+58예선 탈락
4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중화 타이베이6006025-250예선 탈락


4.1.8. 8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6402215+1612최종예선 진출
2파일:예멘 국기.svg예멘6321148+611예선 탈락
3파일:인도 국기.svg인도6321115+611예선 탈락
4파일:브루나이 국기.svg브루나이6006028-280예선 탈락


4.1.9. 9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중국 국기.svg중국6600253+2218최종예선 진출
2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6402167+912예선 탈락
3파일:몰디브 국기.svg몰디브6114819-114예선 탈락
4파일:캄보디아 국기.svg캄보디아6015222-201예선 탈락


4.1.10. 10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6600300+3018최종예선 진출
2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631299010예선 탈락
3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6123515-105예선 탈락
4파일:몽골 국기.svg몽골6015222-201예선 탈락


4.2. 최종 예선[편집]



4.2.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8521178+917본선 진출
2파일:이란 국기.svg이란8431107+315PO 진출
3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824289-110예선 탈락
4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8215910-17예선 탈락
5파일:태국 국기.svg태국8044515-104예선 탈락


4.2.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중국 국기.svg중국8611132+1119본선 진출
2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83231011-111PO 진출
3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83141314-110예선 탈락
4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8233101009예선 탈락
5파일:오만 국기.svg오만8134716-96예선 탈락


4.3. 지역 플레이오프[편집]


팀 1팀 21차전2차전합산
파일:이란 국기.svg이란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1-03-04-0


5. 아프리카[편집]


직행팀은 진하게로 표기

  • 1조(카메룬, 앙골라, 잠비아, 토고, 리비아)

  • 2조(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수단, 가나, 시에라리온)

  • 3조(세네갈, 모로코, 이집트, 알제리, 나미비아)

  • 4조(튀니지, 코트디부아르, 콩고 민주 공화국, 마다가스카르, 콩고)

  • 5조(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부르키나파소, 말라위, ~기니~[1])


6. 오세아니아[편집]


호주가 뉴질랜드를 시리즈 골 합 6-1로 이기며 대륙간 PO에 합류했다.

7. 유럽[편집]


직행팀은 진하게, PO진출팀은 기울임체로 표기, 프랑스는 지난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본선에 직행했다.#

  • 1조(러시아, 슬로베니아, 유고슬라비아, 스위스, 페로 제도, 룩셈부르크)
러시아가 8년 만에 직행했다. 한편 러시아가 두 구 유고연방 국가들의 운명을 갈라놓았는데, 슬로베니아가 러시아와 모두 비기며 승점을 까먹지는 않은 반면, 유고슬라비아는 1패를 떠안으면서 탈락했다. 그리고 이 대회가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으로 출전한 마지막 대회가 되었다.

  • 2조(포르투갈, 아일랜드, 네덜란드, 에스토니아, 키프로스, 안도라)
3강 3약이 명확히 나뉜 조에서 당시 루이 반 할 감독이 이끌던 네덜란드가 4강의 저주에 걸려 몰락한 반면, 네덜란드와 같이 유로 2000 4강에 진출했던 포르투갈이 16년 만에 직행했다.

  • 3조(덴마크, 체코, 불가리아, 아이슬란드, 북아일랜드, 몰타)
상위 3팀이 최종전까지 치열한 접전을 벌인 끝에 덴마크가 2연속 본선 직행에 성공한다. 체코는 몰타 원정에서 통한의 0-0 무승부를 기록한 것이 두고두고 발목을 잡아 승점 2점 차로 플레이오프에서 밀려났고, 불가리아는 체코와의 최종전 단두대 매치에서 0-6으로 참패하며 이후로는 월드컵 플레이오프 근처에도 근접하지 못하고 있다.

  • 4조(스웨덴, 터키[2], 슬로바키아, 마케도니아[3], 몰도바, 아제르바이잔)

  • 5조(폴란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노르웨이, 웨일스, 아르메니아)
1990년대의 강호였던 노르웨이가 예상치 못하게 몰락하면서 혼전 양상으로 흘러가다가 어느 순간부터 폴란드가 독주하면서 8차전에서 본선 직행을 확정지었다. 그리고 PO 마지막 한 자리를 놓고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접전이 되었지만 벨라루스가 웨일즈 원정에서 패배하며 우크라이나가 승자가 되었다.

  • 6조(크로아티아, 벨기에, 스코틀랜드, 라트비아, 산마리노)
상위 3팀이 마지막까지 치열한 접전을 벌였고 결국 마지막 경기에서 크로아티아가 벨기에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30분 앨런 보크시치의 골로 직행에 성공했다. 반면 스코틀랜드는 6,7차전인 크로아티아, 벨기에와의 2연전에서 1무 1패를 기록하며 결국 낙마했다.

  • 7조(스페인,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리히텐슈타인)

  • 8조(이탈리아, 루마니아, 그루지야[4], 헝가리, 리투아니아)
2강 3약의 조, 조지아가 헝가리에 비해 선전했고 이탈리아가 루마니아와의 맞대결을 모두 승리하며 직행했다.



  • 9조(잉글랜드, 독일, 핀란드, 그리스, 알바니아)
당시 녹슨 전차라고 불리던 독일이 잉글랜드와 같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운명을 가른 것은 득실차였다. 독일은 홈에서 잉글랜드에게 1-5로 대역전패를 당하는 바람에 결국 본선직행에 실패하고 PO로 떨어졌다. 핀란드는 독일 홈과 원정에서 비기는 등 선전했으나 아깝게 벽을 넘지 못했다. 잉글랜드는 웸블리 스타디움[5]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독일에 0-1로 패배하며 케빈 키건 감독이 경질되고 스벤예란 에릭손 체제에서 순항하다가 마지막 경기인 그리스와의 홈경기에서 1-2로 끌려갔으나 데이비드 베컴이 후반 추가시간에 극적인 프리킥 동점골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여담으로 오토 레하겔이 이 무렵 그리스의 새로운 감독이 됐는데 3년 후 유로에서 대형 사고를 칠줄은 아무도 몰랐다.

7.1. 플레이오프[편집]


  • 아일랜드는 대륙간 PO에 배정되어 이란과 대결하여 승리한 덕분에 진출했다.
팀 1팀 21차전2차전
벨기에체코1-01-0
우크라이나독일1-11-4
슬로베니아루마니아2-11-1
오스트리아터키0-10-5

8. 대륙간 플레이오프[편집]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4팀이 진출하는 현행 방식이 처음 도입되었다. 다만 지금과 달리 유럽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참여했고, 이 때 이후 유럽팀은 더 이상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참여하지 않는다. 유럽의 경우 조 2위 9팀 중 무작위로 추첨된 한 팀을 대륙 간 플레이오프로 보내고, 나머지 8팀은 2팀씩 짝을 이뤄 서로 맞붙는 대륙 내 플레이오프에 참여했다.

우연히도 2위 팀 중 최상위 팀인 2조 2위 아일랜드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 참여 팀이 4팀에 2장의 본선진출권이 걸려있어 어떤 대륙의 팀과 만나게 되느냐 또한 중요한 사항이 되었다. 2001년 8월 열린 FIFA 총회에서 대진이 발표되었고, 유럽 vs 아시아, 오세아니아 vs 남미로 대진이 짜였다. 아시아, 오세아니아로써는 굉장히 힘든 대진표였고, 실제 결과도 남미와 유럽팀이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플레이오프 진출팀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2 VS 1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유럽 지역예선 2조 2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아시아 플레이오프 승자)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1 VS 3
(Agg)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오세아니아 예선 1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남미 예선 5위)

경기결과
경기일자홈 팀스코어원정팀경기 장소
1차전2001.11.10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2 - 0파일:이란 국기.svg이란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더블린 랜스다운 로드
득점자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이언 하트 (44' / PK)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로비 킨 (50')
2차전2001.11.15파일:이란 국기.svg이란1 - 0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득점자파일:이란 국기.svg 야히야 골모하마디 (90')
경기일자홈 팀스코어원정팀경기 장소
1차전2001.11.20파일:호주 국기.svg호주1 - 0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파일:호주 국기.svg 멜버른 크리켓 그라운드
득점자파일:호주 국기.svg 케빈 머스캣 (78' / PK)
2차전2001.11.25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3 - 0파일:호주 국기.svg호주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몬테비데오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득점자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다리오 실바 (14')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리차르드 모랄레스 (7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리차르드 모랄레스 (90')

아일랜드와 우루과이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FIFA 월드컵 지역예선/대륙간 플레이오프 문서의 r10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8.1. UEFA vs AFC[편집]


팀 1팀 21차전2차전합산
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파일:이란 국기.svg이란2-00-12-1


8.2. OFC vs CONMEBOL[편집]


팀 1팀 21차전2차전합산
파일:호주 국기.svg호주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1-00-31-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0:31:37에 나무위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치권의 개입으로 인한 실격[2] 현 튀르키예[3] 당시에는 국명을 변경하기 이전이었다.[4] 조지아로 국명을 바꾼건 2008년 이후.[5] 리노베이션 이전 마지막 경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