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70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덤프버전 : (♥ 0)


1. 개요
2. 개편 노선 목록


1. 개요[편집]


1970년 4월 1일부로 시행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개편에 대하여 소개하는 문서이다. 당시 개편에서는 <좌석버스, 급행버스, 일반버스> 등 3개 등급으로 운영했던 노선들을 <급행버스, 일반버스, 시영버스>의 새로운 형태의 등급으로 바꾸는 방식의 '대개편'이 시행되었다. 기존에 운행하던 좌석버스들은 전부 입석(도시형)으로 전환되었다.

이 때 시행되었던 개편이 2004년 7월 1일 서울 대중교통 개편까지 유지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1] 34년 간 수 많은 노선의 신설과 폐선, 개편 등으로 상당수의 흔적이 사라졌다.

1970년 개편 당시에는 차후 신설될 노선들을 대비해 일부러 중간중간에 공번을 두었지만, 이마저도 70년대 중반 이후 다 차버리는 바람에 '-1, -2'와 같은 파생번호가 쓰이게 되었다. 정릉 기점으로 시계방향으로 부여하는 규칙도 기종점 변경, 좌석버스 신설 및 도시형 전환, 노선권 매각, 업체들의 자의적인 번호 부여 등등으로 인해 금방 무의미해졌으며 거기에 시영버스 출신 노선을 의미하는 200번대, 70년대 중후반 이후 사용된 순수 신설노선 전용 번호대인 300번대, 어린이대공원 경유 노선 번호대인 500번대, 80년대 신설된 좌석버스 번호대인 700번대[2], 지하철 연계 순환버스 800번대가 한데 뒤섞여 10년만에 분류가 완전히 무너져내렸다.

2. 개편 노선 목록[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1947-1996).svg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970년 개편 노선
급행버스 / 일반버스||
기존 번호개편 번호기점종점
71번 (좌석)1번정릉동연희동
72번 (좌석)2번서강
71번 (입석)3번
11번 (급행)7번수유리홍익대학교
13번 (급행)8번망원동
13번 (입석)9번서울역
12번 (급행)13번의정부시의정부시
14번
16번 (입석)15번도봉동종로5가
12번 (입석)18번창동후암동
11번 (좌석)19번쌍문동마포구
15번 (입석)20번서울역
13번 (좌석)23번삼양동용산동
15번 (좌석)24번영등포
17번 (좌석)25번미아국민학교효창동
10번 (급행)26번삼양동시흥군 안양읍
17번 (입석)27번서울역
10번 (좌석)31번장위동북아현동
12번 (좌석)32번후암동
11번 (입석)33번
23번 (좌석)37번이문동염리동
23번 (입석)38번석관동원효로
35번 (좌석)39번경희대학교서울역
25번 (좌석)43번상계동
24번 (좌석)45번불암동종로5가
26번 (좌석)48번망우리응암동
56번 (입석)49번중랑교문화촌[3]
22번 (급행)50번면목동연희동
57번 (입석)51번문화촌
21번 (좌석)54번전농동마포구
22번 (좌석)55번답십리봉천동
22번 (급행)56번이촌동
22번 (입석)57번효창동
91번 (입석)60번마장동구평동
33번 (좌석)62번성수동동교동
36번 (좌석)63번경마장효자동
37번 (급행)64번뚝섬서울역
36번 (입석)65번
31번 (좌석)68번천호동서울역
37번 (좌석)69번
31번 (급행)70번
31번 (입석)71번
56번 (좌석)74번옥수동홍은동
57번 (좌석)75번갈현동
45번 (급행)76번금호동신길동
41번 (입석)78번한남동서울역
38번 (좌석)79번금호동보광동
42번 (입석)80번보광동서울역
81번응봉동
81번 (좌석)84번중앙대학교경동중학교
82번 (좌석)85번동작동성북동
82번 (급행)86번남성동홍릉
81번 (급행)87번동작동중곡동
83번 (급행)88번중화동
81번 (입석)89번남성동신흥사
62번 (좌석)92번상도동창신동
42번 (좌석)95번신림동미아동
65번 (입석)96번중앙청
39번 (좌석)98번신길동마장동
41번 (좌석)99번농대앞[4]
91번 (좌석)101번대림동독립문
89번 (급행)103번시흥군 안양읍중앙청
89번 (좌석)104번삼청동
83번 (급행)107번동작동중화동
80번 (좌석)109번영등포영등포
87번 (좌석)110번양남동청계6가
87번 (입석)111번중앙청
86번 (좌석)112번문래동을지로6가
86번 (급행)113번약수동
86번 (입석)114번서울역
84번 (좌석)118번구로동을지로6가
84번 (급행)119번중앙청
84번 (입석)120번
85번 (좌석)123번오류동청계6가
85번 (급행)124번중앙청
85번 (입석)125번
80번 (급행)128번화곡동중곡동
88번 (좌석)129번김포군중앙청
88번 (급행)130번
20번 (입석)132번홍릉합정동
21번 (입석)133번노고산회기동
78번 (입석)135번염리동구평동
75번 (좌석)136번서강[5]쌍문동
72번 (입석)137번자유센터
61번 (좌석)139번봉원동동대문
61번 (급행)141번남가좌동마장동
64번 (입석)142번상도동
53번 (좌석)145번화전동서울역
52번 (급행)146번수색동이문동
53번 (입석)147번서울역
55번 (좌석)150번북가좌동봉천동
51번 (급행)152번역촌동역촌동[A]
51번 (입석)155번갈현동옥수동
52번 (입석)156번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고양군 신도면 구파발리[A]
51번 (급행)157번갈현동답십리동
158번갈현동[A]
56번 (급행)161번문화촌장위동
57번 (급행)162번수유리
26번 (입석)164번홍릉양주군 진접면 장현리
27번 (입석)165번양주군 미금면 금곡리
서울특별시 시영버스 (200번대)
103번 (입석)207번시흥동시청
115번 (입석)209번영등포구청한양대학교
113번 (입석)215번도봉동서울역
113번 (좌석)
102번 (좌석)228번화곡동용두동
102번 (입석)229번개화동영등포구청
111번 (좌석)233번구평동공무원아파트 [6]
104번 (입석)243번상계동서울역
104번 (좌석)
105번 (입석)271번거여동시청
108번 (입석)272번송파동서울역
109번 (입석)273번광주군 동부면 신장리을지로5가
110번 (입석)274번하일동 [7]서울역
116번 (입석)275번광주군 중부면 수진리천호동
106번 (입석)288번원지동시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9:12:20에 나무위키 1970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체계가 유지되었다는 얘기지 노선이 유지되었다는 얘기는 아니다.[2] 좌석버스(미니버스) 제도 시행 초창기인 1977년에는 두자리 수 번호를 사용했으나, 대략 80년대 초반 이후에는 차량 대형화와 도시형버스와 노선이 비슷한 좌석버스의 확대 등등의 사유로 700번대까지 사용하게 되었다.[3] 서대문구 홍제3동 일대에 있는 마을로, 인왕산 자락에 있는 산동네이다. 과거 제일여객 등의 차고지가 위치해 있었다.[4] 1970년 당시 '농대앞'은 두 장소로 유추해볼 수 있는데, 한 곳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했던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서울시립대학교의 당시 명칭인 서울농업대학이다. 그러나 당시의 교통상황을 볼 때 시외버스와 기차로만 갈 수 있던 수원까지 서울시 시내버스가 운행되었을 확률은 매우 낮아 후자의 확률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교통이 매우 발달한 현재에도 서울 시내버스는 의왕시까지만 운행한다.[5] 지금의 서강대역 인근을 말하며, 6716번처럼 루프형 회차 방식으로 운행했다.[A] A B C 명동을 경유한 뒤 서울역에서 회차하는 방식이었다.[6] 현재 이촌동 한가람아파트[7] 게내(고덕천)의 아래쪽에 있었다고 하여 '하일리'였으며, 과거 경기도 광주군 구천면 하일리였다. 1963년 서울특별시 성동구 하일동으로 편입되었으며, 1979년 현재 행정구역인 강동구 하일동으로 분리되었다. 2000년대 들어 강동지역 재개발 붐에 맞추어 '하(下)'라는 글자가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아 2000년 강일동으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