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좁을 애, 막을 액
부수
나머지 획수
, 10획
총 획수
13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アイ
일본어 훈독
せま-い
-
표준 중국어
à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隘는 '좁을 애'라는 한자로, '좁다', '가로막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좁다
중국어표준어ài
광동어aai3, ai3
객가어ai
민남어ài
오어e (T2)
일본어음독アイ
훈독せま-い
베트남어ải

유니코드에는 U+969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弓中廿金廿(NLTCT)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언덕 부)와 소리를 나타내는 (더할 익)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볏단 애)
  • (부쳐 보낼 애)
  • 𡺬(험할 애)
  • (목맬 액)
  • (조를 액)
  • (쥐붙이 액)
  • (도롱이벌레 의)
  • (시들어 죽을 의)
  • (목구멍 익)
  • (목덜미 살 익)
  • (빙그레할 익/시호 시)
  • (새김질할 익)
  • (여자의 자 익)
  • /(이물 익)
  • (넘칠 일)
  • (무게이름 일)
  • 𨢘(식혜 혜)
  • (익)
  • 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7:03:03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