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두꺼비/새우 하
부수
나머지 획수
, 9획
총 획수
15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カ, ガ
일본어 훈독
えび, がま
표준 중국어
xiā,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蝦는 '두꺼비/새우 하'라는 한자로, '두꺼비' 또는 '새우'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두꺼비/새우
중국어표준어xiā,
광동어haa1
객가어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文] / hê[白]
오어ho (T1), hoe (T1)[1]
일본어음독カ, ガ
훈독えび, がま
베트남어

유니코드에는 U+876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中戈口卜水(LIRYE)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벌레 훼)와 음를 나타내는 (빌릴 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4. 유의자[편집]


  • (두꺼비 섬)
  • (새우 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거짓 가)
  • (고울 가)
  • (나무이름 가)
  • (물이름 가)
  • //(수퇘지 가)
  • (이를 가, 멀 하)
  • (창자에생긴병 가)
  • (틈/겨를 가)
  • 𩩱[⿰骨叚](허리뼈 가)
  • (힘있을 가)
  • (경개 하)
  • (데울 하)
  • (목구멍 하)
  • 𨉣[⿰身叚](몸굽은모양 하)
  • (발밑 하)
  • (붉을 하)
  • (새우 하)
  • (숫돌 하)
  • /𩋥[⿰革叚](신뒤축끈 하)
  • (신발 하)
  • (적부루마 하)
  • (천천히볼 하)
  • (클 하)
  • 𨺽[⿰⻖叚](티 하)
  • (허물 하)
  • 𪖲[⿰鼻叚](콧숨 합)
  • 𦣯[⿰臣叚](가)
  • 𧪕[⿰言叚](하)
  • 𡺁[⿰山叚]
  • 𢱈[⿰扌叚]
  • 𢝄[⿰忄叚]
  • 𤗜[⿰片叚]
  • 𦖲[⿰耳叚]
  • 𫇝[⿰舟叚]
  • 𪕰[⿰鼠叚]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3:05:05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1] 지소형(指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