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비단 사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10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サ, シャ
일본어 훈독
うすぎぬ
표준 중국어
shā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紗는 '비단 사'라는 한자로, '비단', '성글게 짠 천'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비단
중국어표준어shā
광동어saa1
객가어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sa[文] / se[白]
오어hso (T1)
일본어음독サ, シャ
훈독うすぎぬ
베트남어sa
유니코드에는 U+7D1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女火火竹(VFFH)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가는실 멱)과 소리를 나타내는 (적을 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비단 견)
  • (비단 금)
  • (비단 기)
  • (비단 단)
  • (비단 릉)
  • (비단 백)
  • (비단 비)
  • (비단 증)
  • (비단 채)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개미누에 묘)
  • //(묘할 묘)
  • (애꾸 묘)
  • 𦕈(애꾸눈 묘)
  • (허구리 묘)
  • (가는실 사, 가는그물 묘)
  • 𩡾(걸어가는모양 사)
  • (구두 사)
  • /(모래 사)
  • (문절망둑 사)
  • (사탕 사)
  • 𩨡(적을 선)
  • 𨈘(칠한모양 소)
  • 𢆷(작을 요)
  • (머뭇거릴 주)
  • (나무끝 초)
  • (노략질할 초)
  • (떠들 초, 울 묘)
  • 𤰬(밭갈 초)
  • 𦨖(배흔들리는모양 초)
  • 𩚙(보릿가루 초)
  • (볶을 초)
  • (분초 초)
  • (뽑을 초)
  • (뿔숟가락 초)
  • (작은모양 초/묘)
  • (재빠를 초, 가냘플 묘)
  • 𧘡(보맷부리 표)
  • 𥘤(소맷부리 표)
  • 𤤉(보)
  • 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0:32:2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문독[白] 백독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