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율

덤프버전 : (♥ 0)

분류

1. 개요
2. 성인 흡연률[1]
3. 가구 소득별 흡연률[2]
4. 지역별 흡연률[3]
5. 세계 각국의 흡연률[4]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이 문서에서 말하는 흡연담배만을 한정한다. 즉 담배를 피는 전체 인구에 대한 통계를 말한다.

다만, 혈액검사모발검사, 소변검사와 같은 정밀 검사를 하는게 아니라 단순히 설문조사로 도출한 통계이기 때문에 실제 흡연률과 큰 차이가 날 수 있으며 이 통계조사를 무조건 신뢰할 수는 없다. 특히 청소년이나 여성 조사대상자의 경우 흡연과 관련해서 거짓 응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5] 그 차이는 더 크다.#

파일:현재흡연율(~2020).png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현재흡연률 통계

2. 성인 흡연률[6][편집]


19세이상의 흡연률 (단위: %)
연도남성여성전체
1998년66.36.535.1
2001년60.95.230.2
2005년51.75.728.8
2007년45.15.325.3
2008년47.87.427.8
2009년47.07.127.3
2010년48.36.327.5
2011년47.36.827.1
2012년43.77.925.8
2013년42.26.224.1
2014년43.25.724.2
2015년39.45.522.6
2016년40.76.423.9
2017년38.16.022.3
2018년36.77.522.4
2019년35.76.721.5


3. 가구 소득별 흡연률[7][편집]


가구 소득별 흡연률 (단위: %)
연도일반 가구저소득 가구전체 가구
2007년62.2654.9960.75
2008년63.9060.6163.27
2009년65.7757.8364.28
2010년62.5056.1061.30
2011년22.4620.3222.08
2012년21.7421.0721.63
2013년21.6618.8721.17
2014년20.1415.0119.29
2015년20.1615.4819.41
2016년19.8615.3419.11
2017년19.6016.3019.07
2018년18.5016.5318.20
2019년19.1514.2818.36


4. 지역별 흡연률[8][편집]



4.1. 서울특별시[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4.6
2009년24.7
2010년23.7
2011년23.0
2012년23.0
2013년22.6
2014년21.4
2015년20.4
2016년20.5
2017년20.0
2018년19.8
2019년17.8


4.2. 부산광역시[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6.9
2009년27.4
2010년25.5
2011년25.2
2012년24.5
2013년24.3
2014년23.4
2015년21.7
2016년21.7
2017년21.7
2018년21.1
2019년19.0


4.3. 대구광역시[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5.5
2009년26.1
2010년25.0
2011년25.1
2012년25.2
2013년24.4
2014년23.6
2015년21.2
2016년20.7
2017년20.8
2018년21.7
2019년19.8


4.4. 인천광역시[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6.3
2009년26.8
2010년27.0
2011년26.0
2012년25.9
2013년24.5
2014년25.6
2015년24.0
2016년24.7
2017년22.7
2018년22.9
2019년20.7


4.5. 광주광역시[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1.5
2009년22.5
2010년22.7
2011년23.2
2012년23.7
2013년22.5
2014년23.1
2015년19.5
2016년19.7
2017년21.6
2018년21.1
2019년19.6


4.6. 대전광역시[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5.9
2009년25.8
2010년24.5
2011년22.3
2012년23.9
2013년23.4
2014년22.2
2015년21.1
2016년21.0
2017년20.9
2018년22.7
2019년18.9


4.7. 울산광역시[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7.7
2009년27.6
2010년25.3
2011년24.6
2012년23.3
2013년23.2
2014년22.5
2015년21.2
2016년22.2
2017년20.9
2018년20.2
2019년19.0


4.8. 세종특별자치시[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12년27.3
2013년21.9
2014년22.8
2015년17.9
2016년18.1
2017년17.8
2018년17.5
2019년15.9


4.9. 경기도[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5.6
2009년26.4
2010년24.9
2011년24.8
2012년24.5
2013년24.4
2014년23.4
2015년22.0
2016년22.1
2017년21.0
2018년20.9
2019년19.9


4.10. 강원도[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8.3
2009년28.5
2010년28.0
2011년26.2
2012년26.2
2013년25.6
2014년25.4
2015년24.4
2016년22.8
2017년23.0
2018년24.8
2019년21.0


4.11. 충청북도[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4.6
2009년26.7
2010년25.3
2011년25.9
2012년25.8
2013년25.5
2014년25.0
2015년22.2
2016년22.5
2017년23.2
2018년23.2
2019년22.2


4.12. 충청남도[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5.5
2009년27.4
2010년25.1
2011년26.0
2012년24.2
2013년23.7
2014년24.0
2015년23.4
2016년22.8
2017년22.3
2018년23.9
2019년21.5


4.13. 전라북도[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3.6
2009년22.6
2010년23.1
2011년22.5
2012년23.1
2013년23.4
2014년22.4
2015년21.1
2016년21.7
2017년20.6
2018년21.1
2019년18.9


4.14. 전라남도[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2.5
2009년24.6
2010년23.6
2011년22.9
2012년23.3
2013년22.2
2014년22.6
2015년21.1
2016년22.5
2017년21.0
2018년21.2
2019년21.1


4.15. 경상북도[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7.1
2009년27.2
2010년27.0
2011년26.1
2012년25.4
2013년23.9
2014년24.2
2015년23.5
2016년23.7
2017년22.4
2018년23.2
2019년21.2


4.16. 경상남도[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5.8
2009년26.8
2010년25.7
2011년24.8
2012년24.1
2013년23.4
2014년24.1
2015년21.4
2016년21.7
2017년21.4
2018년20.9
2019년18.9


4.17. 제주특별자치도[편집]


연도흡연율 (단위: %)
2008년27.3
2009년28.3
2010년27.4
2011년27.7
2012년26.0
2013년26.0
2014년24.8
2015년21.3
2016년26.7
2017년23.1
2018년21.8
2019년20.6


5. 세계 각국의 흡연률[9][편집]



우리나라는 23위이며, 남태평양과 발칸반도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의외로 담배의 원산지인 남미는 흡연률이 낮은 편이다. 칠레가 29.2%로 남미 1위이고 대부분의 나라가 10%대이다. 볼리비아는 10%이하이다.

주요 선진국의 경우 OECD/보건의료 항목을 참고 바람.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4:10:16에 나무위키 흡연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료 출처[2] 가자료 출처[3] 지역별 흡연률[4] WHO Web, 2020 [5] 청소년이나 여성의 흡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매우 나빠 흡연 사실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6] 자료 출처[7] 가자료 출처[8] 지역별 흡연률[9] WHO Web,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