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후쿠오카현 제1구

덤프버전 :


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후쿠오카 1구후쿠오카 2구후쿠오카 3구후쿠오카 4구후쿠오카 5구
이노우에 다카히로오니키 마코토고가 아쓰시미야우치 히데키쓰쓰미 가나메
후쿠오카 6구후쿠오카 7구후쿠오카 8구후쿠오카 9구후쿠오카 10구
하토야마 지로후지마루 사토시아소 다로오가타 린타로기이 다카시
후쿠오카 11구사가 1구사가 2구나가사키 1구나가사키 2구
다케다 료타하라구치 가즈히로오구시 히로시니시오카 히데코가토 간지
나가사키 3구나가사키 4구구마모토 1구구마모토 2구구마모토 3구
다니가와 야이치가네코 요조기하라 미노루사카모토 데쓰시
구마모토 4구오이타 1구오이타 2구오이타 3구미야자키 1구
가네코 야스시기라 슈지에토 세이시로이와야 다케시와타나베 소
미야자키 2구미야자키 3구가고시마 1구가고시마 2구가고시마 3구
에토 다쿠후루카와 요시히사미야지 다쿠마미타조노 사토시노마 다케시
가고시마 4구오키나와 1구오키나와 2구오키나와 3구오키나와 4구
모리야마 히로시아카미네 세이켄아라가키 구니오시마지리 아이코니시메 고사부로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이마무라 마사히로야라 도모히로야스오카 타케히로하마치 마사카즈이와타 가즈치카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요시카와 하지메다케이 슌스케아베 히로키요시다 노부히로후루카와 야스시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야마다 가쓰히코고쿠바 고노스케다무라 다카아키긴조 야스쿠니미야자키 마사히사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이나토미 슈지오자토 야스히로신지 나가토모야마모토 고세이요시다 구미코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후쿠오카현 제1구
福岡県第1区
||
파일:shuinsen_Fukuoka1.svg
선거인 수449,646명 (2020)
상위 도도부현후쿠오카현
하위 행정구역후쿠오카시 히가시구/하카타구
국회의원

이노우에 다카히로




1. 개요[편집]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의 동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하카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이노우에 다카히로.



2. 상세[편집]


후쿠오카시의 중심 중 하나인 하카타구가 속하는 곳으로 후쿠오카현 제2구와 같이 후쿠오카시 도심을 관할하는 지역구이다. 후쿠오카 현청, 현의회 청사가 이 지역구 내에 있다.

이 지역구 내에는 하카타역, 후쿠오카 공항이 있어 한국대구 동구 갑, 부산 서구·동구와 같이 지역 관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하카타항 국제터미널을 통해 부산과 연결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캐널시티 하카타, 규슈대학, JR 큐슈 등 주요 기관들 역시 이 선거구 내에 있다.

대도시 지역이라는 특성도 있고, 대학생들의 비율 역시 높아 과거에는 민주당 등 야당의 지지도가 강했으나, 46회 총선을 기점으로 자민당이 우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후쿠오카현 제1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마츠모토 류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이노우에 다카히로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무소속

[1]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구
후쿠오카시 히가시구, 하카타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마츠모토 류74,537표1위


46.6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시다 토지56,748표2위
자유민주당

35.5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오가 사와코21,839표3위


13.67%낙선
日本新進야마구치 미노루6,629표4위
일본 신진당

4.15%낙선
유효표 수187,209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구
후쿠오카시 히가시구, 하카타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츠모토 류82,241표1위


46.3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시다 토지68,483표2위
자유민주당

38.58%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오가 사와코19,690표3위


11.09%낙선
파일:덕주회.png이시다 미카7,101표4위

자유연합

4.00%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구
후쿠오카시 히가시구, 하카타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츠모토 류92,969표1위


54.5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토미나가 타이스케53,611표2위
자유민주당

31.4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시마 히사요15,940표3위


9.35%낙선
후지모토 유타카4,179표4위

무소속

2.45%낙선
이토 케이코3,711표5위

무소속

2.18%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구
후쿠오카시 히가시구, 하카타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츠모토 류99,939표1위
47.2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노부히코92,891표2위
43.93%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시모토 에이이치18,611표3위
8.80%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구
후쿠오카시 히가시구, 하카타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츠모토 류123,441표1위
52.7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엔도 노부히코88,648표2위
37.9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우치다 유타카18,046표3위
7.7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미야자키 도슈3,753표4위
1.60%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구
후쿠오카시 히가시구, 하카타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노우에 다카히로96,706표1위
48.33%당선[2]
파일:다함께당 로고.png타케우치 쿄세이45,014표2위
22.50%낙선[3]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츠모토 류36,632표3위
18.31%낙선[4]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히에지마 도시카즈15,992표4위
7.99%낙선
이누마루 가쓰코5,762표5위
2.88%낙선
유효표 수150,855표투표율
52.55%
선거인 수

현직 의원인 민주당 마츠모토 류 의원은 환경부장관, 동일본대지진 부흥 장관직 등 내각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으며 체급을 키워나가고 있었다.

하지만 2011년 7월 3일, 부흥 담당상 취임 이후 닷소 다쿠야 이와테현 지사와 무라이 요시히로 미야기현 지사와의 면담 자리에서 두 지사를 향해 폭언을 하고 해당 면담 내용을 보도한 TBS 테레비에 대해 협박의 뉘앙스를 담은 발언을 하는 등 숱한 논란을 일으키며 일본 국민들의 공분을 샀고, 결국 사죄의 뜻을 표하며 장관직에서 사퇴했다.

마츠모토 의원의 논란은 각종 논란과 지진 대응 미흡 등으로 인해 신뢰를 잃어가던 민주당 정권에 크나큰 불신을 안겨주었고, 자신도 2012년 46회 중의원 선거 당시 3위로 낙선하며 몰락하고 만다.

마츠모토 의원은 낙선 직후 정계에서 은퇴했고, 2018년 폐암으로 향년 67세의 나이에 사망했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구
후쿠오카시 히가시구, 하카타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이노우에 다카히로59,712표1위
36.34%당선[5]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야마모토 고세이42,960표2위
26.15%낙선
신카이 유우지31,087표3위
18.9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히에지마 도시카즈18,906표4위
11.51%낙선
카나이데 고우코18,906표5위
11.51%낙선
みらい아카시 켄타로4,883표6위
2.97%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43.18%
선거인 수407,501인

현직의원인 이노우에 다카히로는 고가 마코토 전 운수대신의 비서였던 신카이 유우지 후보와의 공천 문제로 인해 무소속으로 입후보 (자민당 추가공인), 당선되었다.

한편 이때 무소속 후보로 출마해 낙선한 신카이 후보는 9년뒤 치러진 제20회 통일지방선거 후쿠오카시의회 선거에서 참정당 소속으로 입후보 해 당선되었다.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구
후쿠오카시 히가시구, 하카타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노우에 다카히로97,777표1위
49.17%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야마모토 고세이51,063표2위
25.68%낙선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이시이 헤데토시35,870표3위
18.0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치카와 다카히코14,158표4위
7.12%낙선
유효표 수198,868표투표율
47.92%
선거인 수433,508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후쿠오카현 제1구
후쿠오카시 히가시구/하카타구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노우에 다카히로99,430표1위
47.5%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쓰보타 스스무53,755표2위
25.7%낙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야마모토 고세이37,604표3위
18.0%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무라 다쿠지18,487표4위
8.8%낙선
총 선거인수453,215인투표율
47.56%
유효표209,276표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 지역구의 선거인수가 가장 선거인수가 적은 지역의 2배를 초과하게 되어 히가시구 일부를 4구로 넘기게 되었다.

자유민주당 이노우에 다카히로 의원이 재출마할 것으로 보이며, 일본 유신회에서도 석패율 비례대표 야마모토 고세이 의원이 재출마할 예정이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새 후보를 냈다. 다지마 가나메 의원이 정책 담당 비서였던 마루오 게이스케 후보가 공천받았다.

공산당에서는 후보가 바뀌어 와타누키 히데히코 전 후쿠오카시의원이 출마하며, 사회민주당에서는 무라타 슌이치 후보가 출마한다.
[1] 자민당 추가 공인을 받은 뒤 입후보.[2] 추천[3] 추천[4] 추천[5] 추가공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