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선수단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width=20%> 모기업 관련 정보 ||파일:소프트뱅크 그룹 로고.svg 소프트뱅크 그룹 ||
|| 일본시리즈 우승
★★★★★★★★★★
||1959 · 1964 · 1999 · 2003 · 2011 · 2014 · 2015 · 2017 · 2018 · 2019 · 2020 ||
|| 리그 우승
(21회)
||1946 · 1948 · 1951 · 1952 · 1953 · 1955 · 1959 · 1961 · 1964 · 1965 · 1966 · 1973 · 1999 · 2000 · 2003
2010 · 2011 · 2014 · 2015 · 2017 · 2020 ||
||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1회)
||1973전기 ||
||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7 · 2009 · 2010 · 2011 · 2012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2 · 2023 ||
|| 시즌별 요약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현역 선수 경력 ||야나기타 유키/선수 경력 ||
||<|2> 경기장 ||1군 후쿠오카 PayPay 돔 · 2군 HAWKS 베이스볼 파크 지쿠고 · 과거 오사카 구장 · 헤이와다이 야구장 ||
||지방 홈구장 키타큐슈 시민 구장 · 리브와쿠 후지사키다이구장 · 헤이와리스 구장 ·선 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 ||
|| 홈 중계 채널 ||파일:스포츠라이브 로고.png 스포츠 라이브+ ||
|| 주요 인물 ||감독 후지모토 히로시 · 선수회장 이마미야 켄타 · 주장 쿠리하라 료야 ||
||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10.2 결전 ||
|| 틀 문서 ||<bgcolor=#0000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1. 개요
2. 코칭스태프
2.1. 1군
2.2. 2군
2.3. 3군
2.4. 4군
3. 투수 엔트리
4. 포수 엔트리
5. 내야수 엔트리
6. 외야수 엔트리


1. 개요[편집]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재적 중인 선수들을 정리한 문서.

역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OB 선수들은 본 문서가 아닌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역대 선수 항목에서 정리한다.


2. 코칭스태프[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000000> 감독 || 90 코쿠보 히로키 ||
||<bgcolor=#000000> 1군 || 95 나라하라 히로시(수석코치) · 94 쿠라노 신지(수석투수코치 겸 수석코디네이터) · 72 나카타 켄이치(투수코치)
72 와카타베 켄이치(투수코치) · 78 무라카미 타카유키(타격코치) · 93 무라마츠 아리히토(타격코치)
80 혼다 유이치(내야수비·주루·작전코치) · 87 이데 타츠야(외야수비·주루·작전코치) · 84 타카야 히로아키(배터리코치) ||
||<bgcolor=#000000> 2군 || 74 마츠야마 히데아키(2군 감독) · 76 테라하라 하야토(투수코치) · 77 요시모토 료(타격코치) · 88 아카시 켄지(타격코치)
82 타카타 토모키(내야수비·주루코치) · 96 키도코로 류마(외야수비·주루코치) · 83 시미즈 마사우미(배터리코치) ||
||<bgcolor=#000000> 3군 || 85 오가와 히로시(3군 감독) · 86 사쿠모토 마사히로(투수수석코치) · 97 마키타 카즈히사(투수코치) · 75 오미치 노리요시(타격코치)
91 카네코 케이스케(내야수비·주루코치) · 98 타카나미 후미카즈(외야수비·주루코치) · 95 요시츠루 켄지(배터리코치) ||
||<bgcolor=#000000> 4군 || 011 사이토 카즈미(4군 감독) · 012 카와고에 히데타카(투수수석코치) · 013 모리카사 시게루(타격코치)
014 사사가와 타카시(내야수비·주루코치) · 016 마토야마 테츠야(배터리코치) · 017 모리야마 료지(투수 재활코치)
019 세키가와 코이치(야수 코디네이터) · 020 호시노 쥰(투수 코디네이터) · 022 모리 히로유키(배터리 코디네이터) ||
||<-2><bgcolor=#fcc800,#fcc8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
||<bgcolor=#ffffff,#1f2023><:><-3>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
||<-2><height=30><bgcolor=#ffffff,#1f2023>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2.1. 1군[편집]



2.2. 2군[편집]


마지막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출신 타자[1]이자 전문 내야 유틸리티로 뛰어온 선수. 백업, 대타로 나오면 수비뿐만 아니라 타격력도 좋은데 주전으로만 나오면 타격력이 저하되거나[2] 여러 차례 부상을 입는 등[3] 주전 경쟁에서 밀려서 백업이나 대타 위주로 나오다가 1루수2루수 자리 등에 공백이 생기면 임시적으로 주전 라인업에 드는 식으로 은퇴하는 2022년까지 뛰어왔다.

2.3. 3군[편집]



2.4. 4군[편집]



3. 투수 엔트리[편집]



||
[ 펼치기 · 접기 ]



4. 포수 엔트리[편집]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4 시즌 포수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2 미네이 히로키 · 19 카이 타쿠야 · 22 마키하라 코타 · 45 타니가와라 켄타 · 62 우미노 타카시
64 요시다 켄고 · 65 휴지타 유타로 · 79 와타나베 리쿠 ||
||<-2><bgcolor=#fcc800,#fcc8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
||<bgcolor=#ffffff,#1f2023><:><-3>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
||<-2><height=30><bgcolor=#ffffff,#1f2023>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5. 내야수 엔트리[편집]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4 시즌 내야수
||


6. 외야수 엔트리[편집]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4 시즌 외야수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3 콘도 켄스케 · 7 나카무라 아키라 · 9 야나기타 유키 · 24 쿠리하라 료야 · 28 애덤 워커 · 31 마사키 토모야
32 야나기마치 타츠루 · 37 이쿠미 · 44 사사가와 요시야스 ||
||<-2><bgcolor=#fcc800,#fcc8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
||<bgcolor=#ffffff,#1f2023><:><-3>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
||<-2><height=30><bgcolor=#ffffff,#1f2023>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1] 투수 쪽은 아직 와다 츠요시가 현역으로 뛰고 있어서 다이에 출신 마지막 타자로써의 타이틀만 보유하고 있다.[2] 유일하게 100안타 이상을 치고 규정타석을 채운 2012시즌의 성적이 타율 .254에 OPS .601이다. 통산 OPS가 .647인데 정작 유일하게 규정타석까지 채운 시즌에 평균치보다 좋지 못한 성적을 기록한 것.[3] 대표적인 부상 경력이 2년 연속으로 부상당한 2017, 2018시즌. 그래도 2017년에는 103경기 290타수에 나오며 어느 정도 1군 자리를 꿰찼고, 2018년에도 시즌 후반과 포스트시즌에 대폭발하면서 짧게나마 테이블 세터로 활약했다.[4] 사실 고졸이라서 망했다는 의견들은 말 그대로 설레발. 쥰페이와 동갑내기인 대졸 선수들이 2019년 드래프트에서 지명되고, 대졸+사회인 테크를 타는 동갑내기들은 2021년 드래프트가 되어야 드래프트에 참가 가능한 판이니...[5] 주전 포수로 타격은 좋지 않으나 수비에서는 리그 원탑인 선수. 도루저지 하나로 일본시리즈 MVP까지 오른 포수이다.[6] 에초에 육성선수로 입단한 선수 대다수가 1군에서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3~4년 안에 방출된 사례가 허다한걸 감안해야한다.[7] 팬들 사이에서 농담조로 하는 말이지만 아사무라 히데토한테 라쿠텐보다 좋은 조건을 제시하지 못한 것도 마키하라가 포스트시즌 때 워낙 잘해서 구단 수뇌부가 낚이는 바람에 이 돈 주고 오면 감사고 아님 말고로 소프트뱅크가 나온 거 아니냐는 말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문서의 r1658
, 11.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문서의 r16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1:29:10에 나무위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선수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