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홍익대학교/학부/문과대학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홍익대학교/학부







||



1. 개요[편집]


문과대학(사색문대) / 文科大學, College of Liberal Arts

홍익대학교 문과대학
文科大學/College of Liberal Arts
학부일반대학원특수대학원부설연구소
- 국어국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신문방송학과
- 역사지리학과
- 국어국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사학과
- 광고홍보학과
없음- 인문과학연구소
홍익대학교에서 인문학을 다루는 단과대학으로, 서울캠퍼스에 소속되어 있다. 현재는 국어와 한국문학, 영어와 영미문학, 불어와 프랑스문학, 독어와 독일문학을 다루는 학과가 설치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커뮤니케이션학, 지리학, 역사학까지 다루었다.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의 출발점인 홍문대학관과 홍익대학관 모두 문과와 법과로 시작하였으므로, 역사적으로는 홍익대학교의 출발점으로도 볼 수 있으나, 60년대 학과 폐과 과정에서 문학부 소속의 국문학과와 영문학과, 지력학과, 신문학과 모두 폐지되었으므로, 그 역사가 끊긴 지점이 존재한다. 현재 문과대학은 불어불문학과와 독어독문학과가 가장 먼저 개설되었고 곧 이어 영어영문학과와 국어국문학과가 차례대로 설치되었다. 홍익대학교 인문사회관의 4층(영문학과, 불문학과, 독문학과) 전체와 5층 일부(국문학과)를 사용하며, 영문학과와 국문학과의 경우 사범대학의 영어교육과 및 국어교육과와 교수진을 일부 공유하기도 한다. 특이하게 서구 언어(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만 다루고, 한국어를 제외한 동아 언어(중국어, 일본어)는 다루지 않는다. 대학 자체에 전공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고 중국어와 일본어는 세종캠퍼스 상경대학 휘하의 글로벌경영학과에서 다룬다. 실제로 전공 대부분이 중국학과 일본학으로 특성상 언어학과 문학은 빠지고, 통번역과 회화 그리고 지역학을 위주로 공부하게 된다.

2. 학부[편집]



2.1. 국어국문학과[편집]


국어국문학과 / 國語國文學科, Dep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1946 : 홍문대학관 문과

- 1948 : 홍익대학관 문학과

- 1949 : 홍익대학 문학부 국문과

- 1954 : 홍익대학 문학부 국문학과

- 1961 : (폐과)

- 1988 : 홍익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가장 먼저 만들어졌고, 또 가장 나중에 만들어진 학과. 학교 설립(1948년)[1] 당시 학장이 국어학 전공자 정열모였으며, 이에 따라 당연히 문학과도 설치되어 있었다. 설립과 함께한 몇 안되는 학과이나 60년대에 군부에 의해 학교가 폐교 처리되며 함께 문을 닫게 되었다. 80년대 초반, 불문학과과 독문학과로 시작한 문과대학이 설립된 뒤에도 계속 복구되지 않다가 영문학과가 설립되고도 한참 뒤인 80년대 후반에 복구된 학과이다. 문과대학의 다른 학과(영문학, 불문학, 독문학)의 경우 교직이수를 통해 교사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나 국어국문학과는 교직이수가 불가능해 교사자격증을 취득할 수 없다.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육과정
[ 국어국문학과 개설 교과목 ]
분야과목명
국어학이론언어국어학개론 · 국어음운론 · 국어문법론 · 국어의미론
응용언어언어와 언어학 · 한국어의기원과역사 · 현대사회와한국어 · 언어와의사소통 · 맞춤법원리와글쓰기 · 한국어의문자와음운 · 한국어교육 · 논문작성법
고전문학이론국문학개론 · 학술답사 · 고전문학사1 · 고전문학사2 · 고전문학작가론 ·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
작품향가와 고려가요 · 시조와 가사 · 구비문학론 · 한국한문학 · 고전소설작품읽기 · 고전소설론
현대문학이론현대문학이론 · 현대문학사 · 현대문학작가연구 · 현대문학과스토리텔링
창작비평문예창작론1 · 문예창작론2 · 문예비평론 · 현대문학연습
작품현대문학작품읽기 · 현대시론 · 현대소설론 · 한국문학과 세계문학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그리고 국어학 비율이 1:1:1 정도로 고르게 편성되어 있다. 전공필수 과목으로는 국문학개론, 국어학개론, 논문작성법, 현대문학사, 고전소설론이 있다. 예전에는 고전소설론 대신 한국한문학강독이 필수였다가 개편이 되며 교체되었다. 공식적인 선수과목은 존재하지 않고, 더불어 각 과목이 수직적인 관계가 아닌, 수평적인 관계이므로 과목을 수강하는데 기초가 되는 과목은 없다고 봐도 된다. 따라서 타과생이나 복수전공생도 너무 크게 겁먹을 것 없이 자유롭게 관심 분야를 수강하면 된다. 너무 걱정이 된다면, 국문학개론과 국어학개론 정도를 수강하면 도움이 된다. 다만, 4학년 과목의 경우 그동안의 지식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으니 강의계획서를 참고해서 수강하도록 하자.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의 소속 교수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직위전공분야전공(학위)학위취득대학
김종규교수국어학(언어학박사)인디애나 대학교
이선영교수국어학(문학박사)서울대학교
정선희부교수고전문학(문학박사)이화여자대학교
송민호조교수국어국문학(문학박사)서울대학교
정연주조교수국어학(문학박사)고려대학교
남정희초빙교수고전문학(문학박사)이화여자대학교
전소영겸임교수국어국문학(문학박사)서울대학교
이소연강사국어국문학(문학박사)서강대학교


2.2. 독어독문학과[편집]


독어독문학과 / 獨語獨文學科, Dept. of German Language and Literature

- 1981 : 홍익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과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육과정
[ 개설 교과목 ]
분야과목명
독일어학기초독일어1기초독일어2기초독문법1기초독문법2
작문/회화기초독일어회화1기초독일어회화2실용독일어회화1실용독일어회화2
독일어작문1독일어작문2독일어연습1독일어연습2
시사독일어회화심화독일어회화독일어번역연습1독일어번역연습2
독일어어휘와문장비즈니스독일어독일의이슈 & 법과정치(융합PBL)
독일문학독일문학의이해독일고전문학독일문학사1독일문학사2
독일동화문학독일근대문학독일현대문학신화와독일문학
독일문학이론독일통일과문학독일연극과영화독일문학과영상예술
독일지역학독일과유럽지역학현대독일사회의이해문화학입문독일의예술과문화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의 소속 교수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직위전공분야전공(학위)학위취득대학
전동열교수독문학(문학박사)하인리히-하이네 뒤셀도르프 대학교
김경희부교수독일문학/문화학(문학박사)만하임 대학교
김진아부교수음악학(철학박사)뮌스터 대학교
이순예조교수독문학(문학박사)빌레펠트 대학교
아이리스 브로스조교수심리학(심리학석사)베를린자유대학교
김숙영초빙교수예술사학(철학박사)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오민정초빙교수독일현대문학(문학박사)괴팅건 대학교
윤순식초빙교수독어독문학(문학박사)서울대학교
김동조강사독어독문학(문학박사)부산대학교
박미리강사독문학(문학박사)자를란트 대학교
진숙영강사현대독일문학(문학박사)본 대학교

2.3. 불어불문학과[편집]


불어불문학과 / 佛語佛文學科, Dept. of French Language and Literature

- 1981 : 홍익대학교 문과대학 불어불문학과

과학철학을 연구하는 한국의 몇 안되는 학자 중 한 명인 진형준 교수가 근무하는 곳. 하지만 정작 본인이 미학자라고 알려져 있어서 스트레스를 받는 듯 하다. 과의 가장 큰 행사는 3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불문인의 밤. 매해 10월 첫째주 주말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한 프랑스 원어 뮤지컬이 공연된다.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육과정
[ 학과 개설 교과목 ]
분야과목명
프랑스어학프랑스어1프랑스어2프랑스어발음과문법프랑스언어학의이해
고급프랑스어심화프랑스어DELF/DAlF프랑스어프랑스어구문의이해
프랑스어와사고프랑스어커뮤니케이션언어의의미와정보비즈니스프랑스어
작문/회화생활프랑스어회화프랑스어회화중급프랑스어회화고급프랑스어작문연습
프랑스문학프랑스문학산책프랑스문학과역사프랑스어권명작산책프랑스문학작품의이해
프랑스어문학비평현대프랑스문학과스토리텔링프랑스문학과대중예술
프랑스지역학프랑스학1프랑스문화사텍스트와미디어프랑스어프랑스어와비주얼문화
프랑스인문학과사회프랑스인문학과예술프랑스어텍스트와이미지프랑스와유럽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불어불문학과의 소속 교수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직위전공분야전공(학위)학위취득대학
박상준교수프랑스언어학(언어학박사)소르본 대학교
김설아조교수커뮤니케이션학(신문방송학박사)파리 팡테옹 아사스 대학교
김예경조교수미학예술학(미술학박사)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
벤자민 주아노조교수역사와문명(시민사회학박사)파리사회과학고등연구원
스테판 부아조교수사진학(이학석사)프로방스 대학교
김종명초빙교수언어학(철학박사)퀘백 대학교(몬트리올)
황의조초빙교수불어불문학(문학박사)파리 제8대학교
류은영강사프랑스문학과문화(문학박사)파리 제3대학교
최인령강사인지언어학(언어학박사)파리 제8대학교

2.4. 영어영문학과[편집]


영어영문학과/英語英文學科, Dep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 1949 : 홍익대학 문학부 영문과

- 1954 : 홍익대학 문학부 영문학과

- 1961 : (폐과)

- 1985 : 홍익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 교육과정
홍익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육과정
[ 개설 교과목 ]
분야과목명
영어학영문법영어학입문영어음성학영어담화와정보
영어의미론영문학특강응용영어학개론영어음운론
영어와시사이해영미문화강독영어사
작문/회화영어작문과회화1영어작문과회화2심화영어작문과회화1심화영어작문과회화2
통번역통번역입문통번역연습고급통번역영어문장구조
영미문학영문학입문영문학사(19세기~)영미단편소설영문학사(~19세기)
미국문학사영미문학배경영화와서사셰익스피어
영미문학작가론현대영미소설포스트모던영미드라마영미시특강
영미시의이해현대영미드라마19세기 영미소설영미문학비평
  • 소속 교수
홍익대학교 영어영문학과의 소속 교수
[ 소속 교원 명단 ]
성명직위전공분야전공(학위)학위취득대학
김사향교수언어학(언어학박사)캘리포니아 대학교(LA)
김준년교수영미소설(문학박사)오리건 대학교
김현순교수음운론/음성학(언어학박사)코넬 대학교
박일형교수영미희곡(문학박사)서식스 대학교
박한상교수음성학(언어학박사)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염재일교수통사론(언어학박사)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이종우교수르네상스영문학/영미시(문학박사)버밍엄 대학교
임태연조교수19~20세기영미소설(문학박사)워싱턴 대학교
조충환조교수미국소설/영화(문학박사)뉴욕주립대학교(버팔로)
박현주강사통번역학(통번역학박사)한국외국어대학교

2.5. 지리역사학과(폐과)[편집]


지력학과/地歷學科, Dept. of Geography and History

1949 : 홍익대학 문학부 사학과

1955 : 홍익대학 문학부 사학과/지리학과

1958 : 홍익대학 문학부 지력과 역사학전공/지리학전공

1961 : (폐과)

지력의 뜻은 지리와 역사를 합친 것으로, 당시 대학가에서 지리학과와 사학과를 통합 운영한 것이 유행하였는데 홍익대도 이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하위에 지리학전공과 역사학전공을 두었다는 기록도 있는데, 현재로 보면 트랙제도 정도로 지리와 역사의 세부 전공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49년 문학부[2]에 신설되었다가 1961년 폐과된 학과로 현재는 대학원 사학과가 명맥을 잇고 있다.

2.6. 신문방송학과(폐과)[편집]


신문학과/新問學科, Dept. of Communications

1954 : 홍익대학 문학부 신문학과

1961 : (폐과)

대한민국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커뮤니케이션학과로 현재까지 존속되었다면 유서 깊은 학과가 되었을 테지만... 61년 폐과되었다. 현재는 일반대학원 광고홍보학과에서 명맥을 잇고 있다. 학부에 광고홍보학부가 있는 세종캠퍼스는 되려 대학원 과정에 '광고홍보커뮤니케이션학과'라는(...) 명칭을 달고 있다.
[1] 1947년 설립된 학교(홍익대학관, 인수자)가 1946년 설립된 학교(홍문대학관, 피인수자)를 합병하면서 역사가 역으로 길어진 것으로 본격적으로는 47년에 설립되어 48년부터 운영되었다. 이상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기업이나 은행 등에서 역사가 더 오래된 단체를 인수한 경우 설립일을 앞당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2] 당시 홍익대는 현재(단과대학-학부-학과)와 다르게 학부-학과의 2단 구성을 취하였다. 당시의 홍익대학은 종합대학이 아니었기 때문에 계열별로 단과대학을 못만들고 학부제를 이루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0:36:25에 나무위키 홍익대학교/학부/문과대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