홋카이도 제8구

덤프버전 : (♥ 0)

||
파일:shuinsen_Hokkaido8.svg
선거인 수357,202명 (2022)
상위 도도부현홋카이도
하위 행정구역오시마 종합진흥국, 히야마 진흥국
국회의원

오사카 세이지




1. 개요[편집]


홋카이도하코다테시, 호쿠토시오시마 종합진흥국 산하 행정구역들 및 히야마 진흥국 산하 행정구역들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입헌민주당 소속 오사카 세이지.


2. 상세[편집]


'민주왕국’이라고 불리는 민주당 계열 강세 지역구로, 자민당이 지역구를 차지한 적이 46회 총선 딱 한번 밖에 없고, 이후 바로 빼았겼을 정도로 민주당이 우세를 보이고 있다.

홋카이도의 최남단 선거구이며, 하코다테시를 제외하면 전부 농촌 지역이다. 농촌 지역 중 전통적으로 민주당이 강세를 보인 몇 안되는 지역이다.

현역 의원인 오사카 세이지는 48회 총선 당시 무소속으로 출마했다가 당선 직후 입헌민주당의 추가 공인을 받았다. 중의원 당선 이전에는 니세코정의 기초단체장을 3회 연임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홋카이도 제8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하치로 요시오[1]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가네타 세이이치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오사카 세이지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마에다 가즈오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오사카 세이지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무소속

[2]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8구
하코다테시, 오시마 지청 관내,
히야마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하치로 요시오110,305표1위


47.53%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고코94,700표2위


40.81%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하시 가다이27,058표3위


11.66%낙선
유효표 수232,063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8구
하코다테시, 오시마 지청 관내,
히야마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치로 요시오123,638표1위


47.27%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고코111,551표2위


42.6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라다 유코26,345표3위


10.07%낙선
유효표 수261,534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8구
하코다테시, 오시마 지청 관내,
히야마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네다 세이이치106,709표1위


42.2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겐지74,482표2위


29.49%낙선
마에다 가즈오55,400표3위

무소속

21.9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후시키다 마사요시15,980표4위


6.33%낙선
유효표 수252,571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8구
하코다테시, 오시마 지청 관내,
히야마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네다 세이이치134,963표1위


49.8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사토 겐지114,141표2위
42.1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에카와 가즈오21,891표3위
8.08%낙선
유효표 수270,995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8구
하코다테시, 오시마 지청 관내,
히야마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사카 세이지171,114표1위
62.6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쿠시마 게이시로58,046표2위
21.24%낙선
사토 겐지40,090표3위
14.67%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니시노 아키라4,075표4위
1.06%낙선
유효표 수273,325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8구
하코다테시, 오시마 지청 관내,
히야마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에다 가즈오107,937표1위
47.5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사카 세이지77,402표2위
34.09%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기타데 미카25,793표3위
11.3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하시 가다이15,953표4위
9.32%낙선
유효표 수227,085표투표율
59.22%
선거인 수

워낙 자민당이 역대급으로 압승하고, 민주당이 역대급으로 참패했기에 이 선거구도 예외는 아니었다. 2004년부터 홋카이도 최남단인 마쓰마에 정장을 8년간 지낸 자민당 마에다 가즈오 후보가 여유롭게 이겼다. 소선거구 제도 출범 이후 지금까지 자민당이 유일하게 이 지역구에서 이긴 선거이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8구
하코다테시, 호쿠토시, 오시마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히야마 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사카 세이지97,745표1위
47.3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에다 가즈오91,351표2위
[3]44.22%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라다 유코17,465표3위
8.46%낙선
유효표 수206,561표투표율
54.59%
선거인 수386,040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8구
하코다테시, 호쿠토시, 오시마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히야마 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오사카 세이지125,771표1위
55.4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에다 가즈오101,243표2위
[4]44.60%낙선
유효표 수227,014표투표율
59.48%
선거인 수381,321인

오사카 세이지 의원은 무소속 후보로 출마, 당선 직후 입헌민주당의 추가공인을 받았다.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8구
하코다테시, 호쿠토시, 오시마 종합진흥국 관할구역,
히야마 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오사카 세이지112,857표1위
[5]52.6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에다 가즈오101,379표2위
[6]47.32%낙선
유효표 수214,236표투표율
60.08%
선거인 수361,180인

입헌민주당 오사카 세이지 의원과 자민당 마에다 가즈오 전 의원이 4번째로 맞붙는다. 현재까지는 오사카 의원이 2승 1패로 앞서있다. 입헌민주당과 자민당 이외의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이 등록하지 않아 이번에도 1대1 승부가 펼쳐진다.

마에다 전 의원은 낙선 이후에도 자민당 지역구 지부장직을 계속 유지하며 차기 총선을 준비해왔다. 계속 오사카 세이지와의 표 차이가 벌어지는 바람에 지난 총선에는 석패율 제도로도 구제받지 못했는데, 이번에 이러한 추세를 극복할지도 관심사이다.

개표 결과 입헌민주당 오사카 세이지 후보가 5.4% 차이로 신승을 거두고 5선 도전에 성공했다. 자민당 마에다 가즈오 후보는 친자민당 성향인 스즈키 나오미치 홋카이도 지사의 높은 인기등을 등에 업고, 지난 선거에 비해 지역구에서 10% 넘게 벌어졌던 격차를 줄이는데는 성공했다. 하지만 다른 지역구에서 자민당 후보가 더 적은 표차로 패하는 바람에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부활하지 못하고 다시 한 번 낙선했다.

당선 후 연설하는 오사카 세이지 의원

2023년, 자민당의 마에다 가즈오 전 의원이 제20회 통일지방선거에서 홋카이도 도의원으로 체급을 낮춰 출마해 당선되었다. 따라서 다음 중의원 선거에서는 출마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오사카와 마에다의 맞대결은 오사카의 3승 1패로 마무리될 확률이 높아졌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입헌민주당에서는 오사카 세이지 의원의 6선 도전이 예상된다.

자유민주당에서는 지난 총선에 출마한 마에다 가즈오 전 의원이 홋카이도의회 의원으로 당선되면서 새로운 후보를 구해야 한다. 미쓰비시 그룹에서 13년간 근무했던 무코야마 준이 새로 지역구 지부장이 선임되었고, 총선 출마가 예상된다.

[1] 이후 홋카이도 제4구로 지역구를 옮겼다.[2] 무소속 당선 후

의 추가공인을 받음. 즉, 명목상은 무소속이지만 선거 당시

의 당적을 가지고 있었다.
[3] 추천[4] , 추천[5] 홋카이도 연합 지지[6]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