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회/선덕여왕

덤프버전 : (♥ 0)

||
파일:도미네이션즈 커버.jpg
[ 펼치기 · 접기 ]

의무컨셉고문관
리더성군로버트 더 부르스
탐험가붉은 에이리크
정복자알렉산더 대왕
성녀잔 다르크
사무라이검사미야모토 무사시
왕족스파르타의 왕레오니다스
신라의 여왕선덕여왕
흑요석 뱀이츠코아틀
외교관변호사 C.E. 레이샬럿 레이
브리시티 불독윈스턴 처칠
은동고와 마탐바의 여왕은징가 음반데
나일강의 여왕클레오파트라
전사전쟁의 신관우
추장레드 클라우드
줄루 왕샤카 줄루
전략가쩐흥다오
카르타고의 힘한니발
제독제독이순신
해적정일수
학자발명가알프레드 노벨
정치인페리클레스
등불을 든 여인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혁명가저항의 여왕부디카
건국의 아버지조지 워싱턴



1. 개요
2. 협의회 의석 주개
3. 협의회 의석 전쟁개
4. 추가 정보


1. 개요[편집]


Queen Seondeok

신라의 여왕

-

백성들의 신뢰를 얻는 것보다 힘든 것은 그들을 저버리는 일이다.


Queen Regnant of Silla

-

Gaining people's trust might be harder than gaining all creation.


2. 협의회 의석 주개[편집]


고문관 등급박격포 보병 데미지바주카 데미지기관총 보병 데미지영웅 데미지미사일 격납고 데미지
일반+5%N/AN/AN/AN/A
고급+8%+6%
희귀+10%+8%+9%
특급+13%+10%+12%+11%
전설+16%+13%+15%+14%-12%

3. 협의회 의석 전쟁개[편집]


고문관 등급수비병 소환 시간수비병 HP수비병 데미지방공 시설 피해 및 HP모든 방어 타워 데미지 및 HP
일반-5%N/AN/AN/AN/A
고급-6%+7%
희귀-7%+9%+10%
특급-9%+11%+13%6%
전설-12%+14%+16%+8%+8%

4. 추가 정보[편집]


덕만 공주는 595년 왕족으로 태어났습니다. 당시 한반도는 신라, 백제, 고구려 등 세 개의 왕국으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덕만 공주의 아버지 진평왕은 13살이 되던 579년부터 신라를 통치했습니다. 덕만 공주가 왕위를 물려받은 경위에 대해서는 사료마다 주장이 엇갈립니다. 화랑세기에 의하면 덕만 공주는 진평왕의 사위와 왕위 계승을 두고 경쟁했다고 합니다. 반면 삼국유사는 진평왕에게 아들이 없었으며 덕만 공주가 유일한 후계자였기 때문에 그러한 경쟁은 없었다고 주장합니다. 그 경위와 이유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지만, 진평왕이 632년 세상을 떠나면서 덕만 공주가 신라의 첫 여왕으로 즉위해 선덕여왕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점에는 두 문헌 모두 동의합니다.

논란의 여지가 있긴 하지만, 선덕여왕은 백제와 고구려 등 침략자들로부터 신라를 지키고 강한 공격적 위협을 유지하기 위해 중국 당나라와 동맹을 맺었습니다. 또한 강력한 가문들 간의 혼인을 주선하였으며, 이는 삼국 통일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신라의 군주로서 선덕여왕은 백성들의 생계를 우선시했습니다. 왕위에 오른 직후 그녀는 왕실 관리와 조사관을 파견해 빈곤층, 고아, 노인, 과부의 생활 조건을 조사하고 개선했습니다. 평민들에게는 세금 면제 혜택이 주어졌고, 중산층은 세금이 감면되었습니다. 신라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조치로 인해 선덕여왕은 백성들의 호의와 지지를 받게 되었습니다.

선덕여왕은 647년 알려지지 않은 질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선덕여왕은 당대에는 일반적으로 홀시당했던 하층민을 포함해 백성들의 안위를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여긴 성군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Princess Deokman was born into royalty in 595. At this point in time, modern-day Korea was split into three kingdoms; Silla, Baekje and Goguryeo. Her father, King Jinpyeong, had reigned over Silla since 579 when he was 13 years old. There is conflicting information regarding Princess Deokman’s inheritance of the Crown. According to the Hwarang Segi texts, Princess Deokman competed with King Jinpyeong’s son-in-law for the claim to the Crown. The Samguk Yusa texts claim that there was no competition, and because King Jinpyeong had no son, Princess Deokman was his obvious successor. Despite the differences in how and why, it is agreed that King Jinpyeong died in 632, and thus Princess Deokman became the first Queen Regnant of Silla and took the name Queen Seondeok to reflect her new position.

Though controversial, Queen Seondeok formed an alliance with the Chinese Tang Dynasty in an effort to protect Silla from invading forces, mainly from Baekje and Goguryeo, while also maintaining a formidable offensive threat. She also arranged marriages between families of great power, which would benefit Silla in the future.

As the ruler of Silla, the livelihood of her people was Seondeok’s highest priority. Soon after being crowned, she sent royal staff and inspectors to study and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poor, orphans, the elderly and widows. Tax exemptions were given to peasants, and the taxes for the middle-class were lowered. Fast and effective methods to improve life for the citizens of Silla earned Seondeok her people’s favor and support.

Queen Seondeok died of an unknown illness in 647. She is remembered as a benevolent Queen who put the well-being of her people above all else, including lower-class citizens, who were normally ignored during this time period.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0:06:13에 나무위키 협의회/선덕여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