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유니콘스/2000년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1996199719981999
태평양2위
6위1위
{{{#ffffff LG전}}}
[[1998년 한국시리즈|{{{#FAB93D }}}]]
5위
20002001200220032004
1위
{{{#ffffff 삼성전}}}
{{{#ffffff 두산전}}}
[[2000년 한국시리즈|{{{#FAB93D }}}]]
3위
4위
1위
{{{#ffffff SK전}}}
[[2003년 한국시리즈|{{{#FAB93D }}}]]
1위
{{{#ffffff 삼성전}}}
[[2004년 한국시리즈|{{{#FAB93D }}}]]
200520062007파일:현대 유니콘스 심볼(1996~2007).png
7위3위
6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현대 유니콘스 2000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4월5월6월7월8월9~10월

현대 유니콘스 2000 시즌 성적
순위승률1위와의 승차
1[1] / 4912400.6950.0

1. 개요
8. 포스트시즌
8.1. 플레이오프
8.2. 한국시리즈
9. 총평
9.1. 투수
9.2. 타자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현대 유니콘스의 2000 시즌을 정리한 문서.

2. 4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0년/4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5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0년/5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6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0년/6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7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0년/7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8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0년/8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9~10월[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현대 유니콘스/2000년/9~10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포스트시즌[편집]



8.1. 플레이오프[편집]


2000년 플레이오프
삼성 라이온즈 VS 현대 유니콘스
경기경기 시간경기장원정경기 결과방송사
1차전10월 19일 (목) 18:00수원 야구장X삼성 3 : 8 현대 O없음
2차전10월 20일 (금) 18:00X삼성 0 : 6 현대 O
3차전10월 22일 (일) 14:00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O현대 4 : 1 삼성 X
4차전10월 23일 (월) 18:00O현대 8 : 0 삼성 XKBS 위성 2TV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BO 플레이오프/2000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2. 한국시리즈[편집]


2000년 한국시리즈
두산 베어스 VS 현대 유니콘스
경기경기 시간경기장원정경기 결과방송사
1차전10월 30일 (월) 18:00수원 야구장X두산 0 : 3 현대 OSBS
2차전10월 31일 (화) 18:00X두산 2 : 8 현대 OMBC
3차전11월 2일 (목) 18:00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O현대 8 : 1 두산 XKBS1
4차전11월 3일 (금) 18:00X현대 0 : 6 두산 OSBS
5차전11월 4일 (토) 14:00X현대 5 : 9 두산 OMBC
6차전11월 6일 (월) 18:00수원 야구장O두산 5 : 4 현대 XKBS1
7차전11월 7일 (화) 18:00X두산 2 : 6 현대 OSBS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00년 한국시리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총평[편집]


프로야구 40년 역사상 최고의 시즌으로 꼽힌다. 현대 유니콘스의 2000 시즌과 비교할 만한 시즌으로는 삼성 라이온즈의 1985 시즌, 해태 타이거즈의 1993 시즌, SK 와이번스의 2008 시즌, 두산 베어스의 2016 시즌 정도가 있다.

특히 이 시즌 해태 타이거즈를 상대로 17승 2패로 압살, 전신 태평양 시절인 1993년의 1승 17패의 수모를 그대로 되돌려줬다.

9.1. 투수[편집]


18승 투수 3명으로 간단히 요약된다. 작년 20승을 기록했던 정민태는 이 해에도 18승을 기록하며 허벅지 부상 때문에 부진할 것이라는 예상을 완전히 깨부수었다. 임선동은 그동안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다가 이 해 포텐셜이 폭발하면서 18승을 기록,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는 영예를 안게 된다. 김수경 역시 18승을 기록하며 공동 다승왕에 올랐다.

9.2. 타자[편집]


박경완, 박재홍, 박종호, 박진만 성이 같은 4명의 박씨가 '밀레니엄 4박'이라 불리며 역대 최강의 센터라인을 구축하였다. 톰 퀸란은 이 해 정규시즌에는 타율 2할3푼6리로 부진한 편이었지만 한국시리즈 7차전에서 결정적인 활약을 해내며 한국시리즈 우승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0. 둘러보기[편집]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15:23:35에 나무위키 현대 유니콘스/2000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드림리그는 1위 전체로 따져도 동일하게 최종 순위는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