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나이족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우데게족

나나이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중국 원형.png 중국의 민족
[ 펼치기 · 접기 ]

한족
汉族
55개 소수 민족
몽골족
(멍구족)
蒙古族
회족
(후이족)
回族
티베트족
(짱족)
藏族
위구르족
(웨이우얼족)
维吾尔族
묘족
(먀오족)
苗族
이족
(이족)
彝族
장족
(좡족)
壮族
포의족
(부이족)
布依族
조선족
(한민족)
朝鲜族
만주족
(만족)
满族
동족
(둥족)
侗族
요족
(야오족)
瑶族
백족
(바이족)
白族
토가족
(투자족)
土家族
합니족
(하니족)
哈尼族
카자흐족
(하싸커족)
哈萨克族
태족
(다이족)
傣族
여족
(리족)
黎族
율속족
(리쑤족)
傈僳族
와족
(와족)
佤族
사족
(서족)
畲族
고산족
(가오산족)
高山族
납호족
(라후족)
拉祜族
수족
(수이족)
水族
둥샹족
(뚱샹족)
东乡族
납서족
(나시족)
纳西族
경파족
(징포족)
景颇族
키르기스족
(커얼커쯔족)
柯尔克孜族
토족
(투족)
土族
다우르족
(다워얼족)
达斡尔族
무로족
(무라오족)
仫佬族
강족
(창족)
羌族
포랑족
(부랑족)
布朗族
살라르족
(싸라족)
撒拉族
모남족
(마오난족)
毛南族
흘로족
(거라오족)
仡佬族
시버족
(시보족)
锡伯族
아창족
(아창족)
阿昌族
보미족
(푸미족)
普米族
타지크족
(타지커족)
塔吉克族
노족
(누족)
怒族
우즈베크족
(우쯔볘커족)
乌孜别克族
러시아족
(어뤄쓰족)
俄罗斯族
어웡키족
(어원커족)
鄂温克族
덕앙족
(더앙족)
德昂族
보안족
(바오안족)
保安族
유고족
(위구족)
裕固族
징족
(징족)
京族
타타르족
(타타얼족)
塔塔尔族
독룡족
(두룽족)
独龙族
오르촌족
(어룬춘족)
鄂伦春族
나나이족
(허저족)
赫哲族
문파족
(먼바족)
门巴族
납파족
(뤄바족)
珞巴族
기낙족
(지눠족)
基诺族
5대 화교
복건
(푸젠)
福建
광동
(광둥)
广东
해남
(하이난)
海南
조주
(차오저우)
潮州
객가
(커자)
客家



파일:러시아 국장.svg 러시아의 민족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인타타르
크림 타타르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바시키르인추바시인
체첸인
인구시인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계 러시아인
아바르인모르드바인카자흐
아제르바이잔인다르긴인우드무르트인마리인오세트인
벨라루스인체르케스인
카바르딘인
쿠미크인야쿠트인레즈긴인
부랴트인독일계 러시아인우즈벡투바인코미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로마니페르시아인, 타지크
이란계 러시아인
칼미크인라크인
조지아인아슈케나짐몰도바인한국계 러시아인
,고려인,
,사할린 한인,
타바사란인
터키인노가이인키르기스코미인알타이인
흑해 그리스인하카스인카렐인폴란드인
폴란드계 러시아인
사모예드족
야지디에벤키, 에벤족투르크멘사미족루툴인
아굴인리투아니아인한티인
만시인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우데게족
카렐인
잉그리아 핀인
라트비아인에스토니아인
벱스인
축치인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가가우즈인쇼르인케레크압하스인나나이족
아시리아인아랍인나가이바크돌간인러시아 흑인
파슈툰인니브흐우디인인도계 러시아인샵수그인
위구르인케트인세르비아인이텔멘족몽골인
몽골계 러시아인
쿠만딘인헝가리인울치족텔레우트인탈리시인
체코인유카기르부하라 유대인, 산악 유대인, 카라임타트인카라칼파크인
차후르인슬로바키아인









1. 개요
2. 분포
3. 생활 환경
4.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파일:nanay.jpg

나나이족은 퉁구스족 계통에 속하는 러시아중국소수민족 중 하나이며, 학자들로부터 과거 금나라 건국의 주체였던 흑수말갈의 후예로 유력하게 꼽히고 있다.

스스로는 나니(Nani) 혹은 허전(Hezhen 혹은 허저나이 Hejenai)이라고 하는데, 나니는 사람이라는 뜻이고 허전은 동쪽 사람이란 뜻이다. '나나이족'이라는 러시아어 명칭은 앞의 이름을, '허저족'이라는 중국어 명칭은 뒤의 이름을 음차한 것. 원래는 아무르 강 상류 쪽의 나나이인들은 하류의 나나이인들을 허전이라고 부르고 하류 쪽의 나나이인들은 상류의 나나이인들을 골디라고 불렀는데 만주인들이 허전이란 명칭을 차용한 것.

언어로는 나나이어를 쓰고 있지만, 현대에 들어서면서 러시아어중국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 언어학적으로 근연 관계인 만주족, 시버족에 비해 고아시아 인종의 특징이 많이 나타난다. 체질적으로는 한국인과 외형이 가장 유사하고 유전적으로도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이웃인 만큼 매우 유사하다.

KBS 한국사전의 대무예를 다룬 편에서는 나나이족을 흑수말갈로 비정했다.[1]


2. 분포[편집]


러시아아무르 강 주변에는 1만여 명이 살고 있는데 이는 나나이족이라고 한다. 하바롭스크 지방에 나나이족들이 거주하는 나나이스키 군이 존재하지만, 현재는 나나이족보다 러시아인이 더 많다. 그래도 러시아 거주 나나이 족 중 40% 정도가 나나이스키 군에 거주한다.# 중국에는 2000년 통계 기준 4,600여 명만이 살고 있다. 주로 헤이룽장성에 분포하나 적은 숫자 탓에 민족 차치 구역이 없고 3개의 민족향(民族鄕)만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중국에 거주하는 허저족(나나이족)은 타 민족과의 통혼율이 3분의 2가 넘으며, 러시아 내 거주하는 나나이족의 경우 산업화 부적응으로 실업률이 40%가 넘는다. 이들이 주로 거주하는 하바롭스크 지방의 3D 직장우즈베크 또는 키르기스 출신의 중앙아시아 무슬림들이 장악한 관계로 이들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별로 없다. 여러모로 미래가 암담하다.


3. 생활 환경[편집]


파일:saxan_jikio_kim.jpg파일:sicachialyan_jikio_kim.jpg
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의 나나이족 마을 시카치알랸에서 나나이 전통 잉어요리인 사잔을 끓이고 있는 나나이족 남성.러시아 하바롭스크 지방의 나나이족 자치마을 시카치알랸의 민가.[2]
혁철족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은 어업, 수렵등의 천연자원이 굉장히 풍부해서 어업을 주업으로 한다. 독특한 어로기술을 갖고 있는데, 오랫동안 어렵에 종사한 경험을 바탕으로 물고기 종류별 습성을 잘 이해하고 있고, 어로의 시기 및 장소를 잘 선택한다. 또한 물고기 종류에 따른 어획도구도 다양한데 ‘차’(叉), ‘구’(鉤) 및 그물(罔) 등 3가지 종류가 있다.

물고기 및 동물 껍질로 의복을 제작하는데 소박하지만 아름답고 또한 신기하게도 보온성이 뛰어나고 가벼우며 서리가 붙지 않는다고 한다. 오늘날에는 과거의 물고기 껍질 대신 면직물로 대체되고 있다.

아르세니예프의 자전적 소설이자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소련 영화로도 제작된 "데르수 우잘라"는 러시아군 장교와 한 나나이족 사냥꾼의 우정을 그린 작품으로 나나이인들의 가치관에 대한 내용이 드러나 있다.

4. 출신 인물[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15:31:58에 나무위키 나나이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출처[2] 아무르강 근처에서 어업을 생업으로 삼고있는 전형적인 현대 나나이족의 주거양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