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계

최근 편집일시 : (♥ 0)

분류

태양계 천문학·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 펼치기 · 접기 ]

태양계
태양햇빛 · 태양상수 · 흑점(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지구 구형론(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자북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구자기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Earthrise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월식(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소행성체소행성(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플루토이드) · 혜성(크로이츠 혜성군)
별똥별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크레이터 · 천체 충돌)
우주 탐사심우주 · 우주선(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천문학 가설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벌칸 · 티케 · 니비루)
음모론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행성(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골디락스 존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 천문학 관련 정보



파일:external/408b2aed9f75b269e632fc0d4d364737b89a3b8787e8c106906dfa26c051a470.jpg
케플러-47 행성계와 태양계의 비교
1. 개요
2. 상세
2.1. O형 주계열성의 행성 형성
2.2. 떠돌이 행성
2.2.1. 사유
2.2.1.1. 형성 초기
2.2.1.2. 모항성의 죽음 이후
2.3. 진화
2.3.1. 형성 과정
2.3.2. 죽는 과정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Planetary System

행성계란 한 항성, 혹은 항성계 주위를 핵융합 반응을 통해 스스로 을 내지 못하는 행성, 왜행성, 소행성, 혜성 등의 천체가 공전하고 있는 체계를 말한다. 지구 역시 태양을 중심으로 형성된 행성계의 구성원이다.

행성계의 구성원에는 항성의 중력에 영향을 받는 모든 천체가 포함되기 때문에 행성과 그에 부속된 위성 및 띠뿐만 아니라 우주에 떠다니는 조그마한 유성체 등도 모두 포함한다. 태양계를 기준으로 하면 카이퍼 벨트, 산란 분포대, 오르트 구름까지 모두 해당된다.

일상이나 나무위키 등에서 행성계를 항성계라 잘못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1] 항성계는 항성이 2개 이상인 다중성계를 뜻하는 말로 항성끼리 서로 중력으로 엮여 있는 체계를 뜻한다.

2. 상세[편집]



2.1. O형 주계열성의 행성 형성[편집]


광증발효과(photoevaporation effect)가 큰 O형 항성 근처에서는 원시행성의 형성이 힘들어 행성계가 발생하기 힘들 것으로 생각된다.

2.2. 떠돌이 행성[편집]


떠돌이 행성(rogue planet)의 경우 독자적인 위성계를 갖추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데 아직 관측적 증거는 없다.

2.2.1. 사유[편집]



2.2.1.1. 형성 초기[편집]

떠돌이 행성은 주로 형성 초기 또는 별이 죽어 탈출하는 경우로 나뉜다. 형성 초기에는 미행성이 너무 많아 서로 중력간섭을 하게 되는데, 이들의 경우 서로 스윙바이를 하여 튕겨져 나간다.

2.2.1.2. 모항성의 죽음 이후[편집]

모항성이 백색 왜성이 된 이후 행성들은 모항성의 중력이 감소함에 따라 행성계 밖으로 탈출하게 된다. 이 경우엔 위성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2.3. 진화[편집]



2.3.1. 형성 과정[편집]


행성계의 형성 과정
[ 펼치기 · 접기 ]

원시 성운N
O
N
E
외부 충격에 의해 성운 수축
보크 구상체
행성
항성
미행성 형성원시 항성 형성(프로토스타)



미행성이 서로 뭉쳐짐황소자리 T형 별
전주계열성


행성 형성
초기 주계열성
주계열성N
O
N
E




2.3.2. 죽는 과정[편집]


주계열성 이후 항성의 진화
[ 펼치기 · 접기 ]

거성으로의 팽창
거성초거성극대거성
청색거성청색초거성청색극대거성
황색거성황색초거성황색극대거성
적색거성적색초거성적색극대거성
질량에 따라 각각 다르게 죽어감
행성상성운초신성
||
† 죽은 뒤 남은 잔해
백색왜성중성자별블랙홀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6:32:21에 나무위키 행성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뉴스 기사에서도 빈번히 잘못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