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밀턴급

덤프버전 : (♥ 0)

파일:1920px-Ensign_of_the_United_States_Coast_Guard.svg.png 미국 해안경비대 경비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 펼치기 · 접기 ]

트레저리급 → 해밀턴급레전드급



운용국 둘러보기 ▼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현대의 스리랑카 해군 함정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고속정미히카따급, 아비따 2세 / 라나자야급 / 프라따파급, P440급, P470급, 세드릭급, 콜롬보급, 웨이브 라이더급, 트리니티 마린급
미사일 고속정난디미뜨라급
초계함사유랄라급, 가자바후급
원양초계함사무두라급, 사유라, 사가라급
호위함파라크라마바후급
상륙정L820급, 라나비자야급
상륙함LSM샤크티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나이지리아 해군기.svg 현대의 나이지리아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초계정샬다그 Mk.2급, 만타급, 디펜더급, 세드릭급, {투즐라급}
원양초계함썬더급, 센테너리급, 키안와급
호위함오부마R, 아라두급
상륙함LST암베급R, 카다급, {LST 100}
소해함나이지리아R, 오후에급
예비함루완 야로R, 아마리야급, 아겅구급, 마쿠르디급, 프로스페리티급, 오크포쿠급, 라나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필리핀 국기.svg 현대의 필리핀 해군 함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SS{호라이즌 페이즈3 잠수함 사업}
구잠정카가얀급R | 카마린스 수르급R
고속정PK
PG
아체로급 | 토마스 바틸로급D·R | 카기팅안급R | 학생급D·R | PGM-39급R | PGM-33급 | 제너럴 에밀리오 아기날도급R | 타를라크급 (초대/1948)R
PC
PB
FB
마리아노 알바레즈급D | 호세 안드라다급 | 알베르토 나바레테급 | 스위프트 Mk.3급 | MPAC Mk.(1~3) | 966Y형D | 드 해빌랜드 9209급R | 아브라급R | 스위프트 Mk.1 & 2급R | 얀가급R
원양초계함(OPV){HDP-2200+} | 델 필라급D | 하신토급
초계함PC콘라도 얍급D | 말바르급 | 리잘급R
PCG{HDC-3100}
호위구축함(DE)다투 칼란티아우급R | 에드솔급R | 버클리급R
호위함PF안드레스 보니파시오급R
FF호세 리잘급
상륙정LCH이바탄급
LCU마노보급 | 물개급 | 타그바누아급 | LCU Mk.6급
LSSLLCS(L) Mk.3급
LCILC-601급
상륙함LPD{LPD 추가사업} | 타를라크급 (2대/2016)
LST바콜로드 시티급 | 다바오 오리엔탈급 | LST-1급R | LST-491급R
LSM바타네스급R
전투지원함급유함(AOR)레이크 칼리라야급R
수리함 (ARL)아켈로스급R
지원정레이크 부히급 (AF, 급유정) | 레이크 불루안급 (AW, 청수정) | 예인정 YT
연구함그레고리오 벨라스케스 | 포트 산 안토니오급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D: 공여받은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파일:uscgc-hamilton-with-harpoon.png
Hamilton-class cutter
1. 개요
2. 설명
3. 목록
4. 제원
5.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



1. 개요[편집]


해밀턴급은 레전드급이 등장하기 전까지 미국 해안경비대에서 가장 큰 배였다. 해안경비대의 전신조직중 하나인 revenue cutter service를 최초로 창설한 재무장관의 이름으로 명명했기 때문에 세크러테리급(Secretary-class)으로 불리기도 한다. 2022년 기준 미국에서는 다 퇴역하였고, 스리랑카 해군이나 필리핀 해군 등 여러나라에서 원양초계함으로 운용한다.


2. 설명[편집]


냉전 당시에 개발된 해밀턴급은 CODOG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미국 함선이다. 수색 및 구조, 연구 등의 임무를 맡지만 보통 항모전단과 함께 움직였다. 상부 구조물은 강철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졌으며, 내구성과 설계가 우수해 웬만한 공격에도 오래 부상할 수 있다. 한창 소련 해군원자력 잠수함이 판을 칠 때 나온 배라 무장이 좀 과한 면이 있다.

함의 원래 분류 명은 Cutter인데 미국 해안경비대는 선체 길이 65피트(약 20m)를 기준으로 그 보다 크면 Cutter, 작으면 Boat로 분류한다. [1] 본래 로얄 네이비에서 세관의 함정을 ship이 아닌 cutter로 명명했고 이에 따른 전통으로 보인다. 미국의 최초의 세관조직을 해밀턴이 발족했을때 조직 이름이 revenue cutter service였다. 다만 cutter는 본래는 큰 배에 딸린 작은 배를 칭할 수도 있기 때문에, 고속단정 같은 것도 통상적으로 말할 때는 커터라고 하기 때문에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3. 목록[편집]


WHEC-722 MorgenthauWHEC-726 John MidgettWHEC-720 ShermanWHEC-724 Douglas Munro
WHEC-716 DallasWHEC-719 BoutwellWHEC-715 HamiltonWHEC-725 Jarvis
WHEC-723 RushWHEC-718 ChaseWHEC-721 GallatinWHEC-717 Mellon


4. 제원[편집]


만재 배수량3,250미터톤
전장115미터
전폭13미터
흘수4.6미터
발전기2 × 디젤식 제너럴 모터스 8-645
1 × 가스식 솔라 모델 101506-2001
추진 장치2 × 페어뱅크스 - 모스 38TD8-1/8-12 디젤 엔진(7,000마력)
2 × 프랫 & 휘트니 FT4A-6 가스 터빈(36,000마력)
최고 속력29노트(약 54km/h)
최장 항해일45일
탑승 인원167~186명
전자 장비AN/SPS-40E 대공 수색 레이더
AN/SPS-78 대함 수색 레이더
AN/WLR-1H 전자전 지원 장비
Mk.56/92 사격 통제 장치
전자전 장비2 × Mk.36 SRBOC[2] 채프 발사기
무장1 × 76mm 오토멜라라 Mk.75 함포
2 × 4연장 하푼 경사발사대[3][4]
2 × 25mm 부시마스터 Mk.38 체인건
1 × 20mm Mk.15 Block I CIWS
6 ×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함재기유로콥터 MH-65 돌핀
격납고
헬리데크



5. 각종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 미국 영화 월드 인베이젼에서 도입부에 외계인들이 투사한 물체에 맞고 격침되는 장면이 나오고 끝(?)이다. 그래도 이 장면 덕분에 이 영화에서는 미국의 당시 5대 군종이 다 나오게 됐다.

  • 데프콘 3권 중 <캘리포니아의 악몽> 에피소드에서 먼로(Munro) 함 장교 두 명의 시점에서 본 장면이 나오는데, 샌디에이고 항구의 수송선들을 습격한 박위함도 이 녀석이 대잠능력이 없다는 걸 알았기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다른 배들만 노렸다.
옆에 있던 페리급 호위함 루벤 제임스가 박위함의 하푼에 맞고[5] 전투불능이 된 직후 뒤늦게 견시가 잠망경을 발견하지만, 내항에서 달려오던 구축함 킨케이드와 먼로의 자매함 멜론이 박위함이 설치했던 기뢰에 격침당하자 아무것도 못하고 도망친다. 이후 박위함의 언급을 보면 먼로 역시 기뢰밭으로 들어가서 격침된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3:45:48에 나무위키 해밀턴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한민국 해경은 배수량 200톤 기준으로 함과 정으로 구분[2] Super Rapid Bloom Offboard Countermeasures[3] 초도함 및 일부 함정 90년대까지 장비.[4] 아마 하푼의 원 목적인 수면부상한 소련 잠수함을 때려잡기 위해 장비한듯 하다.[5] 하푼 미사일을 본 먼로함 장교들은 한국 잠수함이 화학무기가 든 미사일을 샌디에이고 시내에 쏴버린 걸로 착각하고 경악했다. 물론 미사일들이 자신들(의 옆에 있는 호위함)을 향해 달려들자 대함미사일임을 깨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