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배수량-길이별/1950년~현대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항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배수량-길이별 목록


1. 개요
2. Full length decks(함 전체 갑판)이 장착된 군함
2.1. 배수량별 목록: 1950년 ~ 현대
2.1.1. 10,000톤 미만
2.1.2. 10,000톤 이상 ~ 15,000톤 미만
2.1.3. 15,000톤 이상 ~ 20,000톤 미만
2.1.4. 20,000톤 이상 ~ 25,000톤 미만
2.1.5. 25,000톤 이상 ~ 30,000톤 미만
2.1.6. 30,000톤 이상 ~ 40,000톤 미만
2.1.7. 40,000톤 이상 ~ 50,000톤 미만
2.1.8. 60,000톤 이상 ~ 70,000톤 미만
2.1.9. 70,000톤 이상 ~ 80,000톤 미만
2.1.10. 80,000톤 이상 ~ 90,000톤 미만[1]
2.1.11. 90,000톤 이상 ~ 100,000톤 미만
2.1.12. 100,000톤 이상
2.2. 길이별 목록: 1950년 ~ 현대
2.2.1. 150m 미만
2.2.2. 150m 이상 ~ 200m 미만
2.2.3. 200m 이상 ~ 250m 미만
2.2.4. 250m 이상 ~ 300m 미만
2.2.5. 300m 이상
3. 함 길이 중 절반만 갑판으로 사용하는 헬기항모, 강습상륙함, 순양함, 구축함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이 문서는 1950년에서 현재까지 건조한 수평 갑판이 있는 항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을 배수량과 길이 순으로 정리하는 문서이다. 단 강습상륙함의 경우 LPD 형태의 병기는 제외한다. 이것들처럼 갑판의 절반만 헬기모함의 갑판으로 사용하는 것들은 별도의 항목에 기술한다. 갑판의 절반만 항모의 용도로 사용하는 군함에는 모스크바급 헬기 항공모함, 시라네급 헬기구축함, 유자오급 강습 상륙함 등이 있다. 이것들 이외에 진짜 LPD는 LPD 항목에 기술한다.

비행갑판(Flight deck)은 갑판의 형태와 출현 시기에 따라 Early flight decks(초기 비행 갑판), Full length decks(함 전체 갑판)[2], Armoured flight deck(장갑 갑판)[3] 등으로 나뉜다.

2013년, 국가별 함 전체 길이의 수평갑판을 보유한 항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의 수량
구분미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영국스페인호주태국한국러시아브라질인도중국터키
보유 수량20척4척0척5척6척2척1척0척1척2척2척1척2척1척0척
추가계획9척0척0척3척1 ~ 2척2척0척2척0척1척7척0척6척2 ~ 5척1척[4]

신흥국들, 특히 브릭스에서 브라질을 제외한 3개국들은 항모나 준 항모에 가까운 LHD 등을 급속하게 보충하는 중이다.

2013년, 미국 vs 세계[5]: 함 전체 길이의 수평갑판을 보유한 항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의 수량
구분미국미국을 제외한 세계
보유 수량20척26척
추가계획9척25척 ~ 29척

질에서는 미국이 압도적이지만 단순 숫자상으로는 미국을 제외한 세계의 규모가 더 크다. 특히 추가계획에서는 세계의 각국들이 상당량을 건조하는 중이다. 미래에는 세계 각국들의 항모, 준항모, 경항모 총합이 미국을 압도할 것으로 예측된다.

2013년, 지역별 함 전체 길이의 수평갑판을 보유한 항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의 수량
구분미국유럽아시아오세아니아남미
보유 수량20척14척11척1척
추가계획9척12척13척 ~ 17척0척

지역별로는 아시아의 추가 건조량 폭이 가장 크다.

2013년, 국가별 함 전체 길이의 수평갑판을 보유한 항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의 상세
구분미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일본영국스페인호주태국한국러시아브라질인도중국터키
10만톤 이상 ~ 11만톤 미만10척(+7척): 니미츠급 항공모함,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
8만톤 이상 ~ 9만톤 미만(+6척): 러시아차기항모
6만톤 이상 ~ 7만톤 미만(+2척):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1척: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1척): 비샬 항공모함1척(+2~5척): 랴오닝급, 중국차기항모
4만톤 이상 ~ 5만톤 미만9척(+2척):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1척: 샤를 드 골급1척(+1척): 비크라마디티야함, 비크란트급
3만톤 이상 ~ 4만톤 미만1척: 타라와급 강습상륙함1척: 콘테 디 카보우르급1척: 상파울로급
2만5천톤 이상 ~ 3만톤 미만1척(+1~2척): 이즈모급1척: 후안 카를로스 1세급(+2척): 캔버라급1척: 센타우르급 항공모함
2만톤 이상 ~ 2만5천톤 미만3척: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2척: 인빈시블급, 오션급1척(+1척): 미스트랄급 강습상륙함
1만5천톤 이상 ~ 2만톤 미만2척: 휴우가급2척: 독도급
1만톤 이상 ~ 1만5천톤 미만3척: 오오스미급 수송함1척: 차크리 나루에벳
1만톤 미만3척: 산 조르지오급 강습상륙함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질에서는 미국이 압도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은 10척의 10만톤급 항모만 계산해도 100만톤에 이른다. 참고로 대한민국 해군의 모든 함정의 배수량을 더해도 19만여톤에 불과하다. 주변 해군들의 국가별 총 배수량합들도 미국의 10여척의 항공모함과 비교하면 엇비슷하거나 부족하다. 해상자위대는 45만톤, 인민해방군 해군은 135만톤, 러시아 해군은 96만톤이기 때문이다. 미해군의 군함 총톤수는 시퀘스터 등의 경제적인 문제로 미래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기준의 자료에서는 미해군의 군함 총톤수가 320만톤이었다.[6]

2. Full length decks(함 전체 갑판)이 장착된 군함[편집]



2.1. 배수량별 목록: 1950년 ~ 현대[편집]



2.1.1. 10,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TS_San_Giusto.jpg
2005년, 이탈리아산 조르지오급 강습상륙함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이탈리아산 조르지오급7,650톤 ~ 8,280톤1987년21


2.1.2. 10,000톤 이상 ~ 15,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ITS_Giuseppe_Garibaldi_%28C_551%29.jpg
이탈리아주세페 가리발디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JS_Kunisaki_%28LST-4003%29_and_USNS_Mercy_%28T-AH-19%29_in_the_South_China_Sea%2C_-14_Jun._2010_a.jpg
일본오오스미급 수송함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태국차크리 나루에벳11,486톤1997년 3월 27일25.2
이탈리아주세페 가리발디급 항공모함13,850톤10,100톤1998년 3월 11일30
일본오오스미급 수송함14,000톤8,900톤1998년 3월 11일22


2.1.3. 15,000톤 이상 ~ 20,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media.defenseindustrydaily.com/SHIP_LPH_ROKS_Dokdo_Profile_Docked_lg.jpg
한국독도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Helicopter_carrier_Hy%C5%ABga_%2816DDH%29.jpg
일본휴우가급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스페인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급16,700톤15,912톤1988년 5월 30일26
미국이오지마급18,474톤11,000톤1961년 8월 26일22
대한민국독도급18,850톤14,340톤2007년 7월 3일23
일본휴우가급19,000톤13,950톤2009년 3월 18일30

2.1.4. 20,000톤 이상 ~ 25,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Mistral_IMG_6856.jpg
프랑스미스트랄급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영국인빈시블급20,710톤16,970톤1980년 7월 11일28
프랑스/이집트미스트랄급21,300톤16,500톤2006년 2월18.8
영국브라질오션급22,500톤1998년 9월 30일18


2.1.5. 25,000톤 이상 ~ 30,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LHD_Juan_Carlos_I_%28L-61%29-02.jpg
스페인후안 카를로스 1세급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일본이즈모급 항공모함27,000톤19,000톤2015년 3월30
스페인/호주후안 카를로스 1세급/캔버라급27,079톤26,000톤2009년 9월 22일21
영국/인도센토어급 항공모함[7]28,700톤22,000톤1953년 9월 1일28


2.1.6. 30,000톤 이상 ~ 40,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Cavour_%28550%29_-_Civitavecchia_harbour%2C_Italy_-_June_2011.jpg
이탈리아콘테 디 카보우르급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이탈리아카보우르급 항공모함[8]30,000톤27,100톤2008년 3월 27일29
프랑스/브라질클레망소급 항공모함32,800톤24,200톤1961년 11월 22일32


2.1.7. 40,000톤 이상 ~ 50,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LHD8_Sea_Trial.jpg
미국와스프급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인도비크란트급40,000톤2018년28
미국타라와급 강습상륙함40,069톤1976년 ~ 1980년24
프랑스샤를 드골급 항공모함42,500톤38,000톤2001년 5월27
미국와스프급 강습상륙함41,150톤1989년24
러시아/인도비크라마디티야함[9]45,400톤2013년 11월30
미국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45,700톤2013년20


2.1.8. 60,000톤 이상 ~ 70,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INS_Vikrant_CGI.png
2013년 8월 21일, 인도의 비샬급 갑판 디자인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인도비샬급65,000톤2025년미정
러시아/중국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랴오닝급[10]67,500톤55,200톤1990년/2012년32


2.1.9. 70,000톤 이상 ~ 80,000톤 미만[편집]


파일:38480186591_e42bbd303b_b.jpg
영국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11]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영국퀸 엘리자베스급[12]70,600톤65,000톤2016년30
프랑스PA2[13]75,000톤미정26

2.1.10. 80,000톤 이상 ~ 90,000톤 미만[14][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9px-USS_Constellation_%28CV-64%29_aerial_Battle_E.jpg
1986년 8월 1일, 미국의 USS Constellation (CV-64)/키티호크급 항공모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ss_john_f_kennedy_cv-67.jpg
2003년 11월 11일, 미국키티호크급 항공모함/USS John F. Kennedy (CV-67)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미국포레스탈급 항공모함81,101톤59,650톤1955년 10월 1일33[15]
미국키티호크급 항공모함81,780톤경하 60,933톤1961년 4월 21일34[16]
미국케네디급 항공모함[17]82,655톤경하 60,728톤1968년 9월 7일34


2.1.11. 90,000톤 이상 ~ 100,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SS_Enterprise_%28CVN-65%29.jpg
2004년 6월 14일, 미해군의 USS Enterprise (CVN-65)/엔터프라이즈급 항공모함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미국엔터프라이즈급 항공모함94,781톤93,284톤1961년 11월 25일30


2.1.12. 100,000톤 이상[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SS_Nimitz_in_Victoria_Canada_036.jpg
미국니미츠급 항공모함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속력
미국니미츠급 항공모함114,000톤97,000~100,000톤[18]1975년 ~ 2009년30
미국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112,000톤101,600톤2017년 ~30


2.2. 길이별 목록: 1950년 ~ 현대[편집]



2.2.1. 150m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an_Giorgio_L9892.jpg
2003년, 이탈리아산 조르지오급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길이취역 시작
이탈리아산 조르지오급133 m1987년


2.2.2. 150m 이상 ~ 200m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HMS_Illustrious_1.jpg
영국인빈시블급(HMS Illustrious) 경항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BPC_Dixmude.jpg
2012년 3월 17일, 프랑스의 Le BPC Dixmude (L9015)/미스트랄급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길이취역 시작
일본오오스미급 수송함[19]178 m1998년 3월 11일
이탈리아주세페 가리발디급 항공모함[20]180.2 m1998년 3월 11일
스페인/태국차크리 나루에벳[21]182.65 m1997년 3월 27일
영국인빈시블급(HMS Illustrious)[22]194 m1980년 7월 11일
일본휴우가급[23]197 m2009년 3월 18일
대한민국독도급[24]199 m2007년 7월 3일
프랑스/러시아미스트랄급[25]199 m2006년 2월

2.2.3. 200m 이상 ~ 250m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Apache_Helicopter_Takes_off_from_HMS_Ocean_During_Operation_Ellamy_MOD_45153052.jpg
2011년 7월 29일, 영국의 HMS Ocean(오션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JS_Izumo_%28DDH-183%29_just_after_her_launch.jpg
2013년 8월 6일, JS Izumo (DDH-183)/일본이즈모급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길이취역 시작
영국오션급[26]203.4 m1998년 9월 30일
영국/인도센타우르급 항공모함224.6 m1953년 9월 1일
스페인/호주캔버라급[27]230.82 m2014년
스페인후안 카를로스 1세급[28]230.82 m2009년 9월 22일
이탈리아콘테 디 카보우르급244 m2008년 3월 27일
일본이즈모급 항공모함[29]248.0 m2015년 3월


2.2.4. 250m 이상 ~ 300m 미만[편집]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길이취역 시작
미국와스프급 강습상륙함[30]253.2 m1989년
미국타라와급 강습상륙함[31]254 m1976년
미국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32]257.3 m2013년
프랑스샤를 드 골급261.5 m2001년 5월
인도비크란트급[33]262 m2018년
프랑스/브라질상파울로급[34]265 m1961년 11월 22일
대한민국CVX265 m2033년
영국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280 m2016년
프랑스PA2280 m미정
러시아/인도비크라마디티야함283 m2013년 11월


2.2.5. 300m 이상[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SNWC_Varyag01.jpg
2005년 이전, 중국의 USNWC Varyag(랴오닝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75px-CVN-78_Artist_Image.jpg
미국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CVN-78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길이취역 시작
소련/중국랴오닝급[35]304.5m2012년 9월 25일
소련/러시아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305m1991년 1월 21일
미국케네디급 항공모함321 m1968년 9월 7일
미국포레스탈급 항공모함325m1955년 10월 1일
미국키티호크급 항공모함326m1961년 4월 21일
미국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36]333m2016년
미국니미츠급 항공모함346.6~354m1975년
미국엔터프라이즈급 항공모함342m1961년 11월 25일


3. 함 길이 중 절반만 갑판으로 사용하는 헬기항모, 강습상륙함, 순양함, 구축함 [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DoD-Leningrad-DN-ST-90-07636_50pct.jpg
1988년, 소련의 Leningrad(모스크바급 헬기 항공모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JS_Kurama_in_the_Pacific_Ocean_02.jpg
2011년 1월 9일, 일본의 JS Kurama(시라네급 헬기구축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V.Veneto_1985.jpg
2009년 12월 23일, 이탈리아비토리오 베네토급 헬기순양함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경하 배수량취역 시작
이탈리아안드레아 도리아급 헬기순양함[37]6,500톤기준 5,000톤1969년 7월 12일
일본시라네급 헬기구축함7,620톤기준 5,283톤1980년 3월 17일
이탈리아비토리오 베네토급 헬기순양함[38]8,850톤기준 7,500톤1969년 7월 12일
프랑스잔 다르크급 헬기순양함12,365톤기준 10,575톤1964년
소련/러시아모스크바급 헬기 항공모함[39]17,500톤기준 14,950톤1967년 12월 25일
중국유자오급 강습상륙함28,000톤2007년 11월 13일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6:10:12에 나무위키 항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문단부터는 비공식적으로 슈퍼 캐리어로 분류된다.[2] http://en.wikipedia.org/wiki/Flight_deck[3] http://en.wikipedia.org/wiki/Armoured_flight_deck[4] http://www.ssm.gov.tr/home/projects/naval/AmphibiousShip/Sayfalar/LPD.asp[5] 미국을 제외한 세계[6] 밀리터리 바란스 2010년 12월호[7] 센토어급 항공모함[8] 카보우르급 항공모함[9] http://en.wikipedia.org/wiki/INS_Vikramaditya[10] 랴오닝급은 과거 소련,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건조중이었던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2번함을 중국이 사서 랴오닝급이 되었다.[11] 오른쪽은 영국의 45형 데어링급 구축함[12] http://en.wikipedia.org/wiki/Queen_Elizabeth_class_aircraft_carrier[13] http://en.wikipedia.org/wiki/Future_French_aircraft_carrier[14] 이 문단부터는 비공식적으로 슈퍼 캐리어로 분류된다.[15] 2번함 새러토가는 35노트, 3번함 레인저는 34노트를 기록했다.[16] 1번함 키티호크만 33노트를 기록했다.[17] 케네디급 항공모함[18] 미 해군 공식 사이트 정보[19] http://en.wikipedia.org/wiki/%C5%8Csumi-class_tank_landing_ship[20] Italian aircraft carrier Giuseppe Garibaldi[21] http://en.wikipedia.org/wiki/HTMS_Chakri_Naruebet[22] HMS Illustrious[23] http://en.wikipedia.org/wiki/Dokdo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24] http://en.wikipedia.org/wiki/Dokdo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25] http://en.wikipedia.org/wiki/Mistral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26] 오션급[27] http://en.wikipedia.org/wiki/Canberra_class_Landing_Helicopter_Dock[28] 후안 카를로스 1세급[29] http://en.wikipedia.org/wiki/Izumo-class_helicopter_destroyer[30] http://en.wikipedia.org/wiki/Wasp_class_amphibious_assault_ship[31] http://en.wikipedia.org/wiki/Tarawa-class_amphibious_assault_ship[32] http://en.wikipedia.org/wiki/America-class_amphibious_assault_ship[33] 비크란트급 정보[34] Brazilian aircraft carrier São Paulo[35] http://en.wikipedia.org/wiki/Chinese_aircraft_carrier_Liaoning[36] http://en.wikipedia.org/wiki/Gerald_R._Ford_class_aircraft_carrier[37] http://en.wikipedia.org/wiki/Andrea_Doria_class_cruiser[38] http://en.wikipedia.org/wiki/Italian_cruiser_Vittorio_Veneto_(550)[39] http://en.wikipedia.org/wiki/Moskva-class_helicopter_carr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