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화생명e스포츠 카트라이더 올스타전

덤프버전 :

||


파일:한화생명 e스포츠 카트라이더 올스타전.png
{{{#white 한화생명e스포츠 카트라이더 올스타전}}}
대회 기간2020년 4월 1일 ~ 4월 11일
주최/주관파일:스틸에잇 로고.png
후원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corsair-800.png
중계
중계 플랫폼온라인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1]
중계진캐스터
문호준
해설자
정준
일정
4강 풀리그4강 풀리그
4월 1일 ~ 4월 8일
결승전
4월 11일
결과
우승준우승3위4위
석인이네가족덤앤더머박화스잘할걸
||

1. 개요
2. 참가 팀
3. 상금
4. 경기 일정
5. 규정
6. 출전 선수
6.1. 팀전
7. 경기 진행
8. 결과
8.1. 팀전
8.2. MVP
8.3. 트랙 레코드
9.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
10. 논란 및 사건사고
10.1. 팀 드래프트 이후 규정 변경으로 공정성 훼손
10.2. 마이크 및 음향장비 문제로 인한 방송 지연
11. 여담



1. 개요[편집]






코로나 19로 인해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가 무기한 연기 되면서 문호준스틸에잇이 개최한 온라인 이벤트리그.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에 동참하고, 리그 중단에 상심했을 팬들을 응원하기 위해 준비했다고 한다.


2. 참가 팀[편집]


||
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파일:카트라이더 ROX.png
SANDBOX Gaming한화생명e스포츠[2]Afreeca FreecsROX


3. 상금[편집]


항목금액
총 상금300만원
순위 상금
우승150만원
준우승70만원
3위30만원
이벤트 상금
결승전 MVP30만원
트랙 레코드총 20만원(맵 당 2만원)

총 상금 300만원이라는 적지 않은 상금이다.


4. 경기 일정[편집]


풀리그
(5판 3선승)
4강 1,2 경기
4월 1일
4강 3,4 경기
4월 4일
4강 5,6 경기
4월 8일
결승전
(7판 4선승)
결승전
4월 11일

조 추첨은 올스타전 주장 4인[3]을 선정하고 주장이 팀원을 선택하는 식이다.[4]
그리고 차례차례 경기가 진행되며 6경기의 풀리그 후 1, 2위가 결승전을 한다.


5. 규정[편집]


규정은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의 4강 규정으로 실시한다.

정규리그와는 다른 규정

에이스결정전 출전 선수는 원래 규정대로라면 각자 팀에서 결정해서 나오지만, 본 리그에서는 에결 상대를 각각 다른 팀에서 픽한다.[5] 주장들이 전력승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폭탄돌리기를 할 수도 있다는 것. 또한, 한 번 출전한 선수는 재출전이 불가능하다.

각 경기별로 MVP를 해설진이 선정한다. 그 선수에게는 MVP 포인트가 주어지고, 최종 MVP 포인트가 가장 높은 선수가 MVP 상금을 가져간다.


6. 출전 선수[편집]





6.1. 팀전[편집]



덤앤더머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올스타전 1팀.jpg
포지션스피드 에이스러너미들스위퍼
분류팀장1라운드 2순위2라운드 3순위3라운드 1순위
선수명박인수김승태김응태정승하
최고 성적[A]★x2★x43위3위

스피드전에 힘을 꽉 준것으로 평가받는 팀이다. 박인수,정승하,김승태는 말하면 입만 아프고, 김응태도 이번 시즌 폼이 아주 좋다. 에결에 지목될 확률이 제일 높은 김응태도 과거에 멸망전에서 문호준을 상대로 승리 및 트리플킬 경험도 있기에 다른팀 에결 예상 멤버에 비하면 굉장히 좋다. 김승태가 이끄는 아이템전도 정승하와 박인수가 받쳐줄 수 있다. 다만 역시 문제는 아이템전을 전혀 안해서 같은팀도 모두 박살낼(...) 김응태의 아이템전 실력이 걸린다.[6] 김승태의 아이템전도 팀원을 받쳐주는 성향이지 사이렌카트로 휘젓는 단독 캐리형이 아니다 보니 아마도 아이템전은 몇 번 내줄수도 있을 것이다.

그보다도 이 팀의 변수는 김승태-김응태의 김X태 듀오에 대한 해설들의 브리핑이 문제라는 평이 많다(...) 애초에 박인수도 그걸 노리고 데려왔다고 말했다. 코수 김승래가 아쉽다.
-
박화스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올스타전 2팀.jpg
포지션하이브리드러너스위퍼러너
분류팀장1라운드 3순위2라운드 2순위3라운드 2순위
선수명최영훈배성빈박현수전대웅
최고 성적[A]★x32위★x1★x2

4인 팀으로는 밸런스가 가장 이상적인 팀이다. 스피드에이스는 없지만 러너 둘, 스위퍼 둘이며 러너들이 잘하는 맵도 구맵/신맵이 갈라져있기에 러너 성적이 비정상적으로 쏠릴 가능성도 낮고, 스위퍼 둘이 매번 매드무비를 찍는 리그 최고의 스위퍼들이라 굳이 러너들이 순위싸움에 가담할 필요도 없다. 카갤에서는 벌써 극혐듀오라고 이름까지 붙여줬다 아이템전도 최영훈,박현수는 천상계에 배성빈도 제법 잘하고 전대웅도 김응태보다는 낫다(...) 그리고 전대웅이 부진하더라도 단독 캐리가 가능한 최영훈이 있기에 덤앤더머 팀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에결 멤버는 아마 최영훈-박현수 중에 결정될 듯 하다. 둘의 1:1 실력이 변수가 될 듯 하고, 상대팀이 누구를 선택할지 알 수 없으므로 에결을 전담으로 연습하기는 어렵다는 점은 단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잘할걸
파일:카트라이더 올스타전 아프리카팀.jpg
포지션스피드 에이스하이브리드러너아이템 에이스러너
분류팀장1라운드 1순위2라운드 4순위3라운드 자동3라운드 자동
선수명유영혁유창현최윤서사상훈한승철
최고 성적[A]★x5★x35위4위★x1

5명이 갖춰진 덕분에 에결을 제외하고 본다면 굉장히 강하다. 최윤서는 러너로 수준급에 속하고 유창현은 러너, 미들, 스위퍼 모든 것이 가능하다. 한승철이 미들을 먹어주면 스피드에이스로서는 유독 스위핑이 강력한 유영혁이 자신이 굳이 스피드에이스를 맡지 않고 유창현에게 맡기고 전문 스위퍼로 뛰어도 될 정도로 풀이 좋다. 아이템전도 유창현이 천상계에 아이템 에이스 사상훈을 데리고 있기 때문에 걱정이 없다. 다만, 에이스 결정전을 간다면 100% 사상훈이 나올 테니(...) 1,2세트를 모두 따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강석인을 지명하면 변수기는 하지만, 하필 3번째 경기인데다 솔직히 이 팀이 에결만 보면 최약체로 놓아도 할 말이 없다.
-
석인이네 가족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올스타전 4팀.jpg
포지션스피드 에이스스위퍼스위퍼아이템 에이스
분류팀장1라운드 4순위2라운드 1순위3라운드 자동
선수명이재혁송용준박도현강석인
최고 성적[A]3위3위2위★x3

스피드-아이템 모두 가능하지만, 아이템전의 박도현과 스피드전의 강석인 때문에 험난한 길을 갈 것으로 예측되는 팀이다. 에결을 가도 100% 강석인이 나올테니 쉽지는 않아 보인다. 다만, 강석인이 폼이 아무리 안좋더라도 이재혁이라는 최상위 러너에 송용준-박도현이 몸싸움이 좋고 둘 다 러너, 미들, 스위퍼 가리지 않고 모두 뛸 수 있어 스피드전 러너-스위퍼의 밸런스가 좋고, 아이템전도 박도현이 발목을 붙잡는 역캐리만 하지 않는다면 강석인 단독 캐리로 승리할 가능성도 없는 것은 아니기에 노력해볼 만 하다.이재혁 曰, 석인이형 화이팅!

여담으로 4팀 중 유일하게 멤버들 전원이 개인전 결승 경험자들이다.[7] 그러나 김대겸은 최약체로 평가한 상황. 카갤 일각에서는 라인업이 나오자마자 이미 개그팀 취급을 하는 중. ??? : 형 우리 234야, ??? : 나는 리타야.(...) ??? : 아니, 박도현 XXX아 왜 나까지 돌려!!! 덤으로 팀명도 석트네 가족으로 많이 부르고 있다.
-
놀랍게도, 무지개 티어 선수들이 정확히 둘씩 배정되는 이상한 황금밸런스가 나왔다. 게다가, 연방을 보면 매번 풀세트를 가는 등 상당히 전력이 평준화되었다는 평이 많다.


7. 경기 진행[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화생명e스포츠 카트라이더 올스타전/경기 진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결과[편집]



8.1. 팀전[편집]


팀전 순위
순위세트
득실
트랙
득실
상금비고
우승석인이네가족31+3+3150만원결승전 승
준우승덤앤더머22+1+170만원결승전 패
3위박화스21+1+330만원
4위잘할걸03-5-7-전패


8.2. MVP[편집]


MVP 순위
순위선수점수상금비고
1위덤앤더머박인수2030만원MVP 결정전 승
2위석인이네가족송용준20MVP 결정전 패
3위석인이네가족강석인10
3위석인이네가족박도현10
3위박화스박현수10


8.3. 트랙 레코드[편집]


트랙 레코드 순위
순위선수트랙 레코드 수상금
1위덤앤더머박인수48만원
1위석인이네가족이재혁48만원
3위석인이네가족송용준12만원
3위석인이네가족박도현12만원


9. 트랙별 베스트 레코드[편집]


트랙기록 경기선수카트바디
어비스 숨겨진 바닷길1:50.5044강 2경기석인이네가족이재혁파라곤 X
어비스 바다 소용돌이1:36.879결승전석인이네가족박도현백기사 X
쥐라기 공룡 결투장1:45.9974강 2경기석인이네가족이재혁파라곤 X
대저택 은밀한 지하실1:53.925결승전석인이네가족이재혁파라곤 X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2:01.9964강 4경기덤앤더머박인수파라곤 X
황금문명 비밀장치의 위협1:47.1044강 1경기덤앤더머박인수파라곤 X
빌리지 만리장성1:42.457결승전석인이네가족송용준황금기사 X
광산 아슬아슬 궤도전차1:25.5334강 4경기덤앤더머박인수파라곤 X
님프 바다 신전의 비밀2:09.5924강 4경기석인이네가족이재혁파라곤 X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2:01.4954강 5경기덤앤더머박인수파라곤 X

여담으로 예선에서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은 어비스 바다 소용돌이는 7경기를 통틀어 결승전 딱 한 번 나와서(에결에서 등장한 적은 있었다.), 결승전에서 1위한 박도현이 2만원을 자동으로 획득했다. 결승전에서 만리장성을 같은 팀원인 송용준에 뺏겼지만...


10.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10.1. 팀 드래프트 이후 규정 변경으로 공정성 훼손[편집]


모든 경기에서 에결 상대를 상대 팀에서 픽하는 규정이 존재했기 때문에, 드래프트 과정에서 주장들은 최대한 아이템에이스[8]들을 뽑지 않으려고 노력했고, 이 규정에 근거해 팀원들을 뽑았다. 실제로 사상훈과 강석인은 자동픽으로 각각 유영혁팀, 이재혁팀으로 편성받았다.[9] 드래프트 마지막에는 석트와 웅트 강석인과 전대웅이 남았고, 최영훈팀이 3라운드 2순위로 전대웅을 데려가면서 이 두명을 데려가지 않은 4인팀 최영훈팀과 박인수팀이 강팀이라고 예측되었다. 하지만 팀이 정해진 후에 에결에 한번 출전한 선수는 재출전이 불가능하다고 규정이 갑자기 변경되었다. 규정변경으로 인한 메타 변경 때문에 기존 규정에 근거해서 팀원을 뽑은 팀들은 큰 손해를 봤다. 실제로 꼴찌할거라고 예측되던 석인이네가족이 강석인 에결 카드를 한번 소모하며 우승했고 우승후보로 여겨지던 박화스는 결승에 올라가지 못하고 탈락했다.[10] 공정하지 못한 일처리가 아쉬웠던 부분이다.

비슷한 사례가 2020 카러플 스타컵 시즌 1 드래프트에서 나왔다. 애초에 모든 경기에 감독이 참가 가능하다는 규정이 있었기 때문에 런민기는 본인이 경기에 참가하는 것까지 고려해서 선수들을 뽑았다. 남들이 모두 다오군단 스피드 선수 뽑을때 런민기 혼자 아이템 선수인 넵튠을 1픽으로 뽑았다. 그리고 팀 구성 되고 런민기가 뛴 스크림에서 런민기팀은 신동이 팀이나 하창봉 팀 정도를 제외하면 다른 팀들을 다 압살하고 다녔다. 그런데 갑자기 감독이 출전못하게 규정이 도중에 바뀌어서[11] 실상 깍두기 멤버였던 클장누나형님이 경기를 필참하게 됐다. 그래도 넥슨이 감독이 에결까지는 나갈수 있게 해줘서 본선 8강에서 에결로 이기고 올라갔지만 4강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에결 없이 패배하고 말았다. 당시 런민기의 원탑 위상을 생각하면 결승 못 가고 4강탈락은 매우 큰 이변이었다.


10.2. 마이크 및 음향장비 문제로 인한 방송 지연[편집]





11. 여담[편집]





[1] 아프리카TV 문호준채널 단독 중계[2] 문호준, 이은택 불참. 문호준은 중계를 맡는다.[3] 한화생명-최영훈, 샌드박스-박인수, 아프리카-유영혁, 락스-이재혁[4] 단 기존 리그팀과 같은 멤버는 최대 2명까지[5] A팀과 B팀이 에이스결정전을 가면 A팀은 B팀 출전 선수를, B팀은 A팀 출전 선수를 뽑는다.[A] A B C D 팀전 기록만 기재함.[6] 참고로 김응태는 공방 아이템전도 전혀 뛰지 않는다. 본인피셜 재미가 없다고...[7] 이재혁(2019 시즌 2 우승), 송용준(2019 시즌 1 5위), 박도현(2019 시즌 2 준우승), 강석인(7차 리그 우승)앞의 3명과 12년 차이...[8] 정규리그 아이템만 뛰는 강석인, 사상훈[9] 사실 유영혁이 2라운드 3순위까지 아프리카 프릭스 선수 4명, 락스 선수 2명만 남은 상황이었는데 유영혁이 2라운드 4순위를 최윤서로 뽑는 병크를 저질렀고 결국 규정으로 인해 자동으로 사상훈과 한승철이 유영혁 팀으로 편성받은 것이다. 지그재그 방식이기 때문에 차라리 한승철을 먼저 선발하고 3라운드 1순위로 최윤서를 뽑는 방법이 더 합리적이었다. 물론 그렇다고 사상훈이 유영혁팀에 안 들어온다는 보장은 없지만.[10] 다만 냉정하게 박화스의 탈락 원인은 덤앤더머전에서 완패를 당했기 때문으로 에결 관련 규정으로 탈락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이 규정으로 강석인과의 에결을 통해 꽁승을 먹었음을 감안하면 수혜자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11] 정확히는 세트별 1경기만 출전이 가능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