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5000호대·6000호대 전동차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6000호대 전동차/현황


1. 분류
2. 편성 구성
3. 도입 역사
3.1. 1세대(납작이)
3.1.1. 1차분 (1996~1997)
3.1.2. 2차분 (1997~1998)
3.1.3. 3차분 (1998)
3.2. 2세대(동글이)
3.2.1. 4차분 (2002)
3.2.2. 5차분 (2003)
3.2.3. 6차분 (2004)
3.3. 3세대(뱀눈이)
3.3.1. 7차분 (2005~2006)
3.3.2. 8차분 (2006, 321000호대 1~2차분)
4. 개번 이력
4.1. 5000호대
4.2. 6000호대
4.3. 이적 및 차량개조



1. 분류[편집]


원래 편성번호 개정 이전에는 1호선, 경의·중앙선 구별없이 5000호대·6000호대를 사용했다가 6자리 개정 이후에는 다음과 같이 배정되어 구별하고 있다.


1.1.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상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옛 번호로는 5X01~5X85편성에 해당한다. 단, 1호선 311B83편성부터는 모두 31x000번대로 들어왔다.


1.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서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옛 번호로는 5X86~5X92, 6X01~6X07편성에 해당한다. 단, 경의·중앙선 321C15편성부터는 모두 321000번대로 들어왔다.


2. 편성 구성[편집]



2.1. 1호선[편집]


인천·서동탄·천안·신창 방면
50## (현 3110##) (1)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2## (현 3111##) (2)M(주변환장치)
53## (현 3112##) (3)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8## (현 3113##) (4)T(무동력객차)
55## (현 3114##) (5)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4## (현 3115##) (6)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9## (현 3116##) (7)T(무동력객차)
56## (현 3117##) (8)M(주변환장치)
57## (현 3118##) (9)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1## (현 3119##) (10)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청량리·광운대·의정부·소요산·연천 방면


2.2. 경의·중앙선[편집]


문산 방면
50##, 600# (현 3210##) (1)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2##, 620# (현 3211##) (2)M(주변환장치)
53##, 630# (현 3212##) (3)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8##, 680# (현 3213##) (4)T(무동력객차)
59##, 690# (현 3214##) (7)T(무동력객차)
56##, 660# (현 3215##) (8)M(주변환장치)
57##, 670# (현 3216##) (9)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1##, 610# (현 3219##) (10)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용문·지평 방면

▼ 과거 10량 편성 ▼

5000호대
용산 방면
50## (1)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2## (2)M(주변환장치)
53## (3)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8## (4)T(무동력객차)
55## (5)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4## (6)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59## (7)T(무동력객차)
56## (8)M(주변환장치)
57## (9)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51## (10)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덕소 방면
6000호대
용산 방면
600# (1)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620# (2)M(주변환장치)
630# (3)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680# (4)T(무동력객차)
650# (5)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640# (6)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690# (7)T(무동력객차)
660# (8)M(주변환장치)
670# (9)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610# (10)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덕소 방면



3. 도입 역사[편집]



3.1. 1세대(납작이)[편집]



3.1.1. 1차분 (1996~1997)[편집]


파일:이촌1호선2004년.jpg파일:한국철도공사 311x05편성(자석 도색).jpg
5X01편성 (현재 311B01편성, 이촌역에서 촬영)311B05편성 (구 5X05편성)
파일:1607071100613.jpg
내부 모습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2. 2차분 (1997~1998)[편집]


파일:external/www.2427junction.com/1c01koreaseoul.jpg파일:20240504_235406.jpg
5X13편성 (현재 311B13편성, 2023년 9월 1일 폐차)311B24편성 (구 5X25편성)
  • 5X07~5X28편성
  • 제작사: 현대정공
  • 제어방식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 1호선
    • 이문차량사업소 소속: 5X07~5X18, 5X20~5X26편성 (변경 후 311B07~311B25편성) (총 10량 18편성)
    • 구로차량사업소 소속: 5X27~5X28편성 (변경 후 311B26~311B27편성) (총 10량 2편성)
    • 광명셔틀: 5X19편성 (개조 후 311G06~311G07편성) (총 10량 1편성 → 총 4량 2편성)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3. 3차분 (1998)[편집]


파일:311932.jpg파일:20231111%EF%BC%BF140154.jpg
311B32편성 (구 5X33편성)내부 모습
  • 5X29~5X42편성
  • 제작사: 대우중공업
  • 제어방식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 1호선
    • 구로차량사업소 소속: 5X29~5X42편성 (변경 후 311B28~311B41편성) (총 14편성[1])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2세대(동글이)[편집]



3.2.1. 4차분 (2002)[편집]


파일:KNR5000new-1.jpg파일:한국철도공사 311x43편성(자석 도색).jpg
5X43편성 (현재 311B42편성)311B43편성 (구 5X44편성)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2. 5차분 (2003)[편집]


파일:전동차.jpg파일:20240609_134909.jpg
5X50편성 (현재 311B49편성)311B59편성 (구 5X60편성)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3. 6차분 (2004)[편집]


파일:IMG_4690.jpg파일:IMG5065311065.jpg
311B64편성 (구 5X65편성)내부 모습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 3세대(뱀눈이)[편집]



3.3.1. 7차분 (2005~2006)[편집]


파일:Resized_IMG_4298.jpg파일:20231108_100956.jpg
311B68편성 (구 5X69편성)내부 모습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3.2. 8차분 (2006, 321000호대 1~2차분)[편집]


파일:코레일31904.jpg
311G04편성
  • 5X79~5X92편성
  • 6X01~6X07편성
  • 제작사: 주식회사 로템
  • 제어방식: VVVF-IGBT(도시바)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 1호선
  • 경의·중앙선
    • 용문차량사업소 소속(본선)
      • 5X86~5X92, 6X01~6X07편성 (변경 후 321C01~321C14편성) (총 8량 14편성)
      • 321C15~321C18편성 (총 8량 3편성 + 4량 1편성[2])
    • 문산차량사업소 소속(지선): 311G05편성 (총 4량 1편성)

당초 5X79~5X92(직교류 겸용), 6X01~6X07(교류 전용)편성이 도입됐으나 5X79~5X80, 5X86~5X92, 6X01~6X07편성은 광명셔틀경의·중앙선 운행을 위해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로 이적했고, 5X80~5X79편성의 TC는 321C15~321C16의 운전실로 개조, M칸은 321C16~321C17의 M칸으로, T칸은 321C17~321C18의 T로 개조됐으며, 나머지는 광명셔틀, 중앙선 차량으로 흩어졌다. 5X86~5X92, 6X01~6X07편성 또한 광명셔틀이나 중앙선 개조로 인해 흩어졌다. 나머지는 계속 1호선에 투입되어 5000호대가 311000호대로 개정될 때 구 5X81편성부터 구 5X85편성까지는 -3씩 앞당겨 구 5X81편성은 311B78편성, 구 5X85편성은 311B82편성으로 개정됐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1x000호대 전동차/차호별 상세설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개번 이력[편집]



4.1. 5000호대[편집]


편성 번호 개번
개번 전개번 후개번 시기
5X01311B012011년
5X02311B02
5X03311B03
5X04311B04
5X05311B05
5X06311B06
5X07311B07
5X08311B08
5X09311B09
5X10311B10
5X11311B11
5X12311B12
5X13311B13
5X14311B14
5X15311B15
5X16311B16
5X17311B17
5X18311B18
5X19311G06
311G07
2008년
5X20311B192011년
5X21311B20
5X22311B21
5X23311B22
5X24311B23
5X25311B24
5X26311B25
5X27311B26
5X28311B27
5X29311B28
5X30311B29
5X31311B30
5X32311B31
5X33311B32
5X34311B33
5X35311B34
5X36311B35
5X37311B36
5X38311B37
5X39311B38
5X40311B39
5X41311B40
5X42311B41
5X43311B42
5X44311B43
5X45311B44
5X46311B45
5X47311B46
5X48311B47
5X49311B48
5X50311B49
5X51311B50
5X52311B51
5X53311B52
5X54311B53
5X55311B54
5X56311B55
5X57311B56
5X58311B57
5X59311B58
5X60311B59
5X61311B60
5X62311B61
5X63311B62
5X64311B63
5X65311B64
5X66311B65
5X67311B66
5X68311B67
5X69311B68
5X70311B69
5X71311B70
5X72311B71
5X73311B72
5X74311B73
5X75311B74
5X76311B75
5X77311B76
5X78311B77
5X79321C162008년
5X80321C15
5X81311B782011년
5X82311B79
5X83311B80
5X84311B81
5X85311B82
5X86321C012008년
5X87321C02
5X88321C03
5X89321C04
5X90321C05
5X91321C06
5X92321C07


4.2. 6000호대[편집]


편성 번호 개번
개번 전개번 후개번 시기
6X01321C082008년
6X02321C09
6X03321C10
6X04321C11
6X05321C12
6X06321C13
6X07321C14


4.3. 이적 및 차량개조[편집]


편성별로 개조 전의 차호는 다음과 같다.
319000호대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빨간색은 운전실로 개조한 차량임을 알린다.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c)
비고
311G01편성6402537957795489
311G02편성6406538057806404
311G03편성5492557965065480
311G04편성5486650465025479
311G05편성6405558065076401
311G06편성[G]5019[H]531955195419
311G07편성[G]58195219[K]5619[K]5919

321000호대 2차분 조성
번호 개번하기 전 기준이며, 빨간색은 운전실로 개조한 차량임을 알린다.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T)
5호차
(T)
6호차
(M)
7호차
(M')
8호차
(Tc)
비고
321C15편성5080[H]5587[I]55915487[J]5488[J]5589[I]55925180[H]
321C16편성5079[H]527955865490[J]5491[J]567965015179[H]
321C17편성64075280558858795979568055906403
321C18편성신조객차신조객차650358805980신조객차6505신조객차[3]

[1] 10량 11편성 + 9량 1편성 + 8량 2편성[2] 321C18편성은 321018, 321118, 321518, 321918호가 2008년에 제작된 신조객차이므로 도입당시부터 개번없이 321000호대였다.[G] A B 2020년 7월 16일 운행 중단, 2023년 4월 폐차[H] A B C D E 개조 전에는 투핸들이었다.[K] A B 개조 전에는 M칸이었다. 이후 팬터그래프, 주변압기가 장착되면서 M'칸으로 개조됐다.[I] A B 개조 전에는 M'칸이었다. 이후 팬터그래프, 주변압기가 제거되면서 M칸으로 개조됐다.[J] A B C D 개조 전에는 T1칸이었다. 이후 T칸으로 개조됐다.[3] 321018, 321118, 321518, 321918호는 2008년 제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1-04 13:47:37에 나무위키 한국철도공사 5000호대·6000호대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