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현황



이 문서는 나무위키의 이 토론에서 전기형/중기형/후기형으로 세대 구분으(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타 위키에서의 합의내용이 더위키에서 강제되지는 않지만 문서를 편집하실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
2. 현황



1. 개요[편집]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현황에 대한 문서다.

마지막까지 경인선에서 용산-동인천행 급행열차로 운행했으며, 현재 전 편성이 퇴역해 운행하지 않는다.

현재 총 5편성이 폐차되지 않고 보존 또는 주기중에 있다.(1X01편성[d], 1X15편성[e], 1X65편성[e], 1X81편성[d], 1X88편성[d]) 참고로 현재 모든 칸이 폐차가 되지 않은 열차는 없다.


2. 현황[편집]



2.1. 전기형(초저항)[편집]


차량번호제어방식전조등제작회사제작년도비고대체 여부보존 여부
1X01저항제어할로겐일본차량제조
+
가와사키 차량
+
도큐차량제조
+
킨키차량
1차분1974년 4월 →
1984년
[B]
국내 최초의 전동차
1998년 12월 운행중단 및 철도박물관에서 보존 중
신형차량 3차분으로 대체O
1X02저항제어할로겐1974년 4월 → 1979년 [1] → 1984년[B] → 1986년[B]1998년 12월 폐차[2]X
1X03저항제어할로겐1974년 4월 → 1984년[B]
1X04저항제어할로겐
1X05저항제어할로겐1999년 폐차
1X06저항제어할로겐
1X07저항제어할로겐
1X08저항제어할로겐
1X09저항제어할로겐
1X10저항제어할로겐
1X11저항제어할로겐
1X12저항제어할로겐
1X13저항제어할로겐
1X14저항제어할로겐1998년 12월 폐차
1X15저항제어할로겐현대정공
대우중공업
2차분1976~1977년 → 1984년[B]2002년 1월 운행중단 및 보존 중신형차량 4차분으로 대체O
1X16저항제어할로겐1977년 → 1984년[B]2002년 폐차X
1X17저항제어할로겐1977년 → 1985년[B]
1X18저항제어할로겐
1X19저항제어할로겐
1X20
1X21신형차량 5차분으로 대체
1X22
1X231978년 → 1985년[B]2003년 폐차
1X24
1X251978~1979년 → 1985년[B]
1X261979년 → 1985년[B]2004년 폐차
1X27
1X28
1X29일본차량제조
+
가와사키 차량
+
도큐차량제조
+
킨키차량
1차분1974년 4월 → 1980년[B] → 1985년[B]1998년 12월 폐차[A]신형차량 7차분으로 대체
1X30
1X311999년 폐차[A]
1X32
1X33
1X341974년 4월 → 1980~1981년[B] → 1985년[B]
1X351974년 4월 → 1981년[B] → 1985년[B]
1X36저항제어할로겐현대정공
+
대우중공업
2차분1977년 → 1981년[B] → 1986년[B]2002년 폐차[A]
1X37저항제어할로겐
1X38저항제어할로겐
1X39저항제어할로겐1977년 → 1981년[B]→ 1989년[B]
1X40저항제어할로겐1978년 → 1981년[B]→ 1986년[B] → 1989년[B]2003년 폐차
1X41저항제어할로겐1979년 → 1986년[B] → 1989년[B]2004년 폐차[3]신형차량 9차분으로 대체


2.2. 중저항[편집]


차량번호인버터 소자전조등제작회사제작년도비고대체 여부보존 여부
1X42저항제어할로겐현대정공
+
대우중공업
+
조선공사
5차분1986년2012년 폐차신형차량 9차분으로 대체X
1X43저항제어할로겐
1X44저항제어할로겐
1X45저항제어할로겐1987년 1월[4]
1X46저항제어할로겐신형차량 10차분으로 대체
1A47저항제어할로겐
1X48저항제어할로겐1987~1988년2013년 폐차
1X49저항제어할로겐1987~1989년경춘선 이적분으로 대체
1X50저항제어할로겐1988년 → 1996년[B]
1X51저항제어할로겐X
1X52저항제어할로겐
1X53저항제어할로겐1988~1989년 → 1996년[B]2011년 폐차[5]
1X54저항제어할로겐1989년2014년 폐차
1X55저항제어할로겐
1X56저항제어할로겐
1X57저항제어할로겐1989~1990년 → 1996년[B]2013년 폐차[6]
1X58저항제어할로겐1989년 → 1996년[B]2010년 폐차[7]
1X59저항제어할로겐6차분1991년 → 1994년[B] → 1996년[B]2013년 폐차
1X602015년 폐차신형차량 11차분으로 대체
1X61
1X621991년 → 1996년[B]2016년 폐차
1X632006년 폐차X
1X641991년2017년 폐차신형차량 11차분으로 대체
1X652006년 일부 폐차(2량 전시)[8]XO
1X662015년 폐차X
1X672016년 폐차신형차량 11차분으로 대체
1X68
1X69
1X70X
1X711992년2015년 일부 폐차(2량 전시)[9]O
1X722017년 폐차신형차량 11차분으로 대체X
1X73저항제어할로겐2021년 11월 5일 폐차


2.3. 신저항[편집]


차량번호인버터 소자전조등제작회사제작년도비고대체 여부보존 여부
1X74저항제어LED, 할로겐[10]대우중공업7차분1995년2021년 폐차신형차량 13차분으로 대체X
1X75저항제어LED, 할로겐1994년 → 1995년[B]2020년 폐차신형차량 12차분으로 대체
1X76저항제어할로겐1994년
1X77저항제어LED, 할로겐[11]
1X78저항제어할로겐
1X79저항제어LED신형차량 13차분으로 대체
1A80저항제어LED현대정공8차분1996년2021년 11월 폐차
1X81저항제어LED1996~1997년2021년 11월 일부 폐차(1량 전시)[12]O
1X83저항제어LED신길역 탈선 사고[13]
2020년 4월 14일 운행중단 → 2021년 11월 폐차
X
1X84저항제어LED1997년2021년 11월 폐차
1X85저항제어LED
1X86저항제어LED


2.4. 개조형(개조저항)[편집]


차량번호인버터 소자전조등제작회사제작년도비고대체 여부보존 여부
1X82저항제어할로겐현대정공5차분1986년[14]2006년 폐차[15]XX
1087저항제어할로겐
1X88저항제어할로겐4차분1985년[16]2006년 일부 폐차(1량 전시)[17]O
1X89저항제어할로겐2006년 폐차X
1X90저항제어할로겐
1X91저항제어할로겐2006년 일부 폐차(1량 개조)[18]
1X92저항제어할로겐2006년 폐차
1X93저항제어할로겐
1X94저항제어할로겐


[d] A B C 1량[e] A B 2량[B]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증결객차[1] TC칸 한정[2] 1x02편성의 Tc 차량은 1979년 생산분으로서 2004년폐차됐고, 1202호는 1986년 제작이라 2011년폐차됐다.[A] A B C Tc 차량을 제외한 나머지 부수 객차는 2006년 폐차[3] 단, 1241호와 1341호는 2009~2012년에도 중저항 1X47편성의 부수 객차로 운행한 기록이 있는 데다 오글로리를 확인한 결과 2013년도까지 살아남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초저항 동력 부수 객차였다.[4] 1X45편성 같은 경우 3량만 1987년 1월에 반입됐다.[5] 2006년 초저항 객차 내구연한 만료로 조기휴차됐으며 병점기지에 유치되어 있다가 고철 매각됐다.[6] 1X53과 마찬가지로 초저항 객차 내구연한 만료로 조기휴차됐으며 병점기지에서 약 7년간 유치되어 있다가 고철 매각됐다.[7] 구로기지에서 5X75(현.311B74)편성과 추돌사고를 일으키고 10량이 모조리 폐차됐다.[8] 현재 구둔역에 1065, 1165호가 전시 중이다.[9] 현재 경북전문대에 1X71편성이 전시 중이다.[10] 1174, 1175호 LED[11] 1177호 LED[12] 현재 1X81편성의 1181호가 구 동목포역 부지에 전시 중이다.[13] 2020년 4월 14일 오전 6시 30분경 신길역 용산 방면에서 탈선했다.[14] 1998년 12월 개조[15] 1X82편성의 1482, 1582호 객차도 있는데 이들은 1997년 1월에 도입된 차량으로 처음은 1X85편성에서 운행했으며, 1X83, 66, 86편성을 거쳐 1X64편성에서 운행하다가 운행 중지 후 1X64편성과 같이 폐차했다. 당시 1X87편성의 1087호만 개조했으며, 짝을 이루어 운행해야 할 1187호가 개조되지 않았다.[16] 2002년 7월 개조[17] 2020년 육군특수전사령부의 홍보영상에서 1188호가 대원들의 훈련용으로 쓰이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도색은 영업운전 당시 한 적이 없는 자석도색으로 재도색되어 있으며, 보존 상태도 좋아 보인다. 관련 영상, 출처: 페이스북[18] 2008년 12월에 1091호가 불정역 테마펜션열차로 개조됐다. 그러나 2015년 11월 2일 열차펜션이 폐업하면서 고철 매각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문서의 r129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 문서의 r12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2:46:19에 나무위키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