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

덤프버전 : (♥ 0)

한국 가톨릭교회의 순교자
김대건 안드레아, 정하상 바오로와 101위 동료 순교자 (1984년 5월 6일 시성)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 (2014년 8월 16일 시복)

파일:external/pope.pbc.co.kr/thumb_20140816065713_53ef55291b051.jpg
새벽빛을 여는 사람들, 김형주(이멜다), 2014년[1], 300 x 200cm

1. 개요
2. 연혁
3. 124위 복자
4. 기타
5. 참고 사이트



1. 개요[편집]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는 조선 왕조가 가톨릭을 탄압한 1791년(신해박해), 1795년(을묘박해), 1797년(정사박해), 1801년(신유박해), 1814년, 1815년(을해박해), 1819년, 1827년(정해박해), 1839년(기해박해), 1866년(병인박해), 1868년(무진박해), 1888년의 박해 때 순교하느님의 종 124위이다. 2014년 8월 14일 4박 5일 일정으로 방한프란치스코 교황8월 16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화문 광장에서 시복식을 거행해 복자의 반열에 올랐다. 뉴스기사 축일은 5월 29일이다.

2. 연혁[편집]


역대 교황 중 처음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1984년 5월 6일 서울 여의도광장에서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101위 동료 순교자 시성식을 거행하면서 한국 가톨릭교회에 103위 성인이 탄생했다.

그렇지만 신해박해(1791년)와 신유박해(1801년) 때의 순교자들은 시복이 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신유박해 200주년인 2001년 10월 18일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시복 조사 법정은 2004년 7월 5일 개정되어 2009년 5월 20일 폐정되었다. 2009년 5월 28일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 시복 청원서가 교황청 시성성에 접수되면서 하느님의 종으로 불리게 되었다.

해당 안건은 2013년에 교황청 시성성 역사 위원회와 신학 위원회의 심의를 각각 통과했으며, 2014년 2월 4일 교황청 시성성 추기경, 주교단 심의를 통과한 후 2014년 2월 7일 프란치스코 교황이 시복 결정 교령 발표를 허락하면서 하느님의 종 124위에 대한 시복이 결정되었다.

한국 103위 순교성인의 시성식이 한국에서 거행되었더라도 시복식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열린 반면, 이번에는 시복식부터 한국에서 거행하는 특별한 경우이다. 또한 시복식이 열리는 장소가 순교자들이 순교한 형조, 좌·우포도청, 의금부 등이 자리했던 광화문 광장이라는 점도 특징이다.

파일:external/img.deseretnews.com/1390592.jpg
2014년 8월 16일, 광화문 광장에서 거행된 시복식
2014년 8월 16일 오전 10시 안명옥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주교의 시복 청원과 김종수 사도 요한 신부의 순교자 약전 낭독이 있은 후 프란치스코 교황이 124위 순교자에 대한 시복을 선언했다. 시복 선언 후 김영주 이멜다 화백이 그린 상본 '새벽빛을 여는 사람들'이 공개되었고, 다음으로 교황의 강론이 있었다.##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에서는 124위의 시복 기념성가 <일어나 비추어라>를 발표하였다. 시복식 당일에 성가로 불려졌다.

파일:external/koreabizwire.com/AKR20150812069851005_01_i.jpg

2015년 8월 12일,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의 시복식이 거행된 광화문광장에 이를 기념하는 표석이 설치됐고, 2015년 8월 23일에 축복 예식을 거행한다고 천주교 서울대교구밝혔다. 8월 23일, 예고한 대로 광화문 광장에 표석이 설치되었다.

3. 124위 복자[편집]


2014년 8월 16일에 시복식이 거행되면서 124위 순교자는 하느님의 종에서 복자가 되었다. 축일은 5월 29일로, 복자이기 때문에 한국 천주교에서만 공적인 축일을 지내며 기념할 수 있다.

복자신분출생사망나이순교 사적비고
001복자 윤지충(尹持忠) 바오로평신도 지도자·진사·
남인계 양반·순교자
1759.1791.12.08.32세참수형[2]
002복자 주문모(周文謨) 야고보신부·순교자1752.1801.05.31.49세군문 효수형[3]
신해박해(1791년) 순교자 3위
[ 펼치기 · 접기 ]
003복자 권상연(權尙然) 야고보순교자·남인계 양반1751.1791.12.08.40세참수형[1]
004복자 원시장(元――) 베드로양인·순교자1732.1793.01.28.61세장살[2]
[1] 복자 윤지충 바오로(001)의 외사촌.[2] 복자 원시보 야고보(011)의 사촌 동생.
을묘박해(1795년) 순교자 3위
[ 펼치기 · 접기 ]
005복자 윤유일(尹有一) 바오로순교자1760.1795.06.28.35세장살[1]
006복자 최인길(崔仁吉) 마티아순교자1765.30세장살[2]
007복자 지황(池璜) 사바순교자1767.55세장살
[1] 복자 윤유오 야고보(025)의 형.[2] 복자 최인철 이냐시오(038)의 형.
정사박해(1797년) 순교자 8위
[ 펼치기 · 접기 ]
008복자 이도기(李道起) 바오로도공·순교자1743.1798.07.24.55세장살
009복자 방(方) 프란치스코비장·순교자?1799.01.21.?장살(교수형)
010복자 박취득(朴取得) 라우렌시오평신도 지도자·순교자?1799.04.03.30세?교수형
011복자 원시보(元――) 야고보양인·순교자1730.1799.04.17.69세장살[1]
012복자 정산필(鄭山弼) 베드로회장·순교자?1799.50~60세참수형(장살)[2]
013복자 배관겸(裵――) 프란치스코평신도 지도자·순교자1740.?1800.01.07.60?장살
014복자 인언민(印彦敏) 마르티노순교자1737.1800.01.09.63세장살
015복자 이보현(李步玄) 프란치스코양인·순교자1773.27세장살
[1] 복자 원시장 베드로(004)의 사촌형.[2] 복자 정태봉 바오로(093)의 사촌.
신유박해(1801년) 순교자 53위
[ 펼치기 · 접기 ]
016복자 조용삼(趙――) 베드로독신·순교자?1801.03.27.?옥사
017복자 최창현(崔昌顯) 요한순교자1759.1801.04.08.42세참수형
018복자 정약종(丁若鍾) 아우구스티노순교자·남인계 양반1760.41세참수형[1]
019복자 홍교만(洪敎萬) 프란치스코 하비에르노론계 양반, 순교자1738.63세참수형[2]
020복자 최필공(崔必恭) 토마스순교자1744.57세참수형[3]
021복자 홍낙민(洪樂敏) 루카노론계 양반[4], 순교자1751.50세참수형[5]
022복자 최창주(崔昌周) 마르첼리노소론계 양반·순교자1749.1801.04.25.52세참수형[6]
023복자 이중배(李中培) 마르티노소론계 양반·순교자1751.?50?참수형
024복자 원경도(元景道) 요한노론계 양반·순교자1774.27~28세참수형
025복자 윤유오(尹有五) 야고보평신도 지도자·양반·순교자?1801.04.27.?참수형[7]
026복자 최필제(崔必悌) 베드로순교자1770.1801.05.14.31세참수형[8]
027복녀 윤운혜(尹雲惠) 루치아순교자??참수형[9]
028복녀 정복혜(鄭福惠) 칸디다순교자??참수형
029복자 정인혁(鄭仁赫) 타대오순교자??참수형
030복자 정철상(丁哲祥) 가롤로평신도 지도자·
남인계 양반·순교자
??참수형[10]
031복녀 심아기(沈阿只) 바르바라동정 순교자1783.1801.04.(음)18세장살
032복녀 강완숙(姜完淑) 골롬바회장·부인·순교자1761.1801.07.02.40세참수형[11]
033복녀 강경복(姜景福) 수산나동정 궁녀·순교자1762.39세참수형
034복자 김현우(金顯禹) 마태오평신도 지도자·중인·순교자1775.26세참수형[12]
035복녀 문영인(文榮仁) 비비안나동정 궁녀·순교자1776.25세참수형
036복녀 김연이(金連伊) 율리안나순교자??참수형
037복자 이현(李鉉) 안토니오양반·순교자??참수형
038복자 최인철(崔仁喆) 이냐시오평신도 지도자·중인·순교자??참수형[13]
039복녀 한신애(韓新愛) 아가타연락원·부인·순교자??참수형
040복녀 윤점혜(尹占惠) 아가타순교자?1801.07.04.?참수형[14]
041복녀 정순매(鄭順每) 바르바라순교자1777.1801.07.03/04.24세참수형[15]
042복자 김이우(金履禹) 바르나바평신도 지도자·중인·순교자?1801.05.(음)?장살[16]
043복자 이국승(李國昇) 바오로순교자1772.29세참수형
044복자 김광옥(金廣玉) 안드레아순교자1741.?1801.08.25.60세?참수형[17]
045복자 김정득(金丁得) 베드로중인·순교자??참수형
046복자 한정흠(韓正欽) 스타니슬라오순교자1756.1801.08.26.45세참수형
047복자 김천애(金千愛) 안드레아순교자1760.1801.08.27/28.41세참수형
048복자 최여겸(崔汝謙) 마티아양반·순교자1763.1801.08.27.38세참수형
049복자 김종교(金宗敎) 프란치스코의원·순교자1754.1801.10.04.47세참수형
050복자 홍필주(洪弼周) 필립보평신도 지도자·양반·순교자1774.27세참수형[18]
051복자 유항검(柳恒儉) 아우구스티노순교자1756.1801.10.24.45세능지처참[19]
052복자 윤지헌(尹持憲) 프란치스코평신도 지도자·양반·순교자1764.37세능지처참[20]
053복자 유중철(柳重哲) 요한동정 부부·양반·순교자1779.1801.11.14.22세교수형[21]
054복자 유문석(柳文碩) 요한순교자1784.17세교수형[22]
055복자 현계흠(玄啓欽) 바오로순교자1763.1801.12.10.38세참수형
056복자 김사집(金――) 프란치스코양인·순교자1744.1802.01.25.58세장살
057복자 손경윤(孫敬允) 제르바시오순교자1760.1802.01.29.42세참수형
058복자 이경도(李景陶) 가롤로양반·순교자1780.22세참수형[23]
059복자 김계완(金啓完) 시몬순교자??참수형
060복자 정광수(鄭光受) 바르나바평신도 지도자·양반·순교자?1802.01.30.?참수형[24]
061복자 홍익만(洪翼萬) 안토니오지도자·순교자?1802.01.29.?참수형
062복자 한덕운(韓德運) 토마스순교자1752.1802.01.30.50세참수형
063복자 황일광(黃日光) 시몬천민·순교자1757.45세참수형
064복자 홍인(洪―) 레오양반·순교자1758.44세참수형[25]
065복자 권상문(權相門) 세바스티아노평신도 지도자·양반·순교자1769.33세참수형[26]
066복녀 이순이(李順伊) 루갈다동정 부부·양반·순교자1782.1802.01.31.20세참수형[27]
067복자 유중성(柳重誠) 마태오순교자?18세?참수형[28]
[1] 성녀 유 체칠리아의 남편, 복자 정철상 가롤로(030), 성 정하상 바오로, 성녀 정정혜 엘리사벳의 아버지, 정약용의 셋째 형.[2] 복자 홍인 레오(064)의 아버지, 복자 정철상 가롤로(030)의 장인.[3] 복자 최필제 베드로(026)의 사촌형.[4] 홍교만, 홍낙민, 홍낙임 모두 다 풍산 홍씨가 사람으로 혜경궁 홍씨와 친척지간이었다.[5] 복자 홍재영 프로타시오(100)의 아버지.[6] 복녀 최조이 바르바라(101)의 아버지.[7] 복자 윤유일 바오로(005)의 동생.[8] 복자 최필공 토마스(020)의 사촌 동생.[9] 복자 정광수 바르나바(060)의 아내, 복녀 윤점혜 아가타(040)의 동생.[10] 복자 정약종 아우구스티노(018)의 아들, 복자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019)의 사위, 성 정하상 바오로의 형.[11] 복자 홍필주 필립보(050)의 어머니.[12] 복자 김이우 바르나바(042)의 동생.[13] 복자 최인길 마티아(006)의 동생.[14] 복녀 윤운혜 루치아(027)의 언니.[15] 복자 정광수 바르나바(060)의 여동생.[16] 복자 김현우 마태오(034)의 형.[17] 복자 김희성 프란치스코(074)의 아버지.[18] 복녀 강완숙 골롬바(032)의 아들.[19] 복자 유중철 요한(053)과 복자 유문석 요한(054)의 아버지, 복녀 이순이 루갈다(066)의 시아버지, 복자 유중성 마태오(067)의 삼촌, 호남 지역 최초의 천주교 신자.[20] 복자 윤지충 바오로(001)의 동생.[21] 복자 유항검 아우구스티노(051)의 아들, 복자 유문석 요한(054)의 형, 복녀 이순이 루갈다(066)의 남편.[22] 복자 유항검 아우구스티노(051)의 아들, 복자 유중철 요한(053)의 동생.[23] 복자 이경언 바오로(083)의 형.[24] 복녀 윤운혜 루치아(027)의 남편, 복녀 정순매 바르바라(041)의 오빠.[25] 복자 홍교만 프란치스코 하비에르(019)의 아들.[26] 복녀 권 데레사(082)의 오빠.[27] 복자 유중철 요한(053)의 아내, 복자 이경언 바오로(083)의 누나.[28] 053, 054의 사촌 형제.
068복자 김진후(金震厚) 비오하급 관리·양반·순교자1739.1814.12.01.75세옥사[4]
을해박해(1815년) 순교자 12위
[ 펼치기 · 접기 ]
069복녀 김윤덕(金允德) 아가타 막달레나부인·순교자?1815.04.50세?장살
070복자 김시우(金時佑) 알렉시오순교자1783.1816.10.21.(음)34세옥사
071복자 최봉한(崔奉漢) 프란치스코순교자1785.?1815.05.(음)30세?옥사
072복자 서석봉(徐碩奉) 안드레아순교자?1815.11.18.(음)?옥사[1]
073복자 김강이(金鋼伊) 시몬평신도 지도자·중인·순교자?1815.12.05.50세?옥사
074복자 김희성(金稀成) 프란치스코중인·순교자1765.1816.12.19.51세참수형[2]
075복녀 구성열(具性悅) 바르바라부인·순교자?40?참수형[3]
076복녀이시임(李時壬) 안나순교자1782.34세참수형
077복자 고성대(高聖大) 베드로독신·순교자??참수형[4]
078복자 고성운(高聖云) 요셉독신·순교자??참수형[5]
079복자 김종한(金宗漢) 안드레아평신도 지도자·양반·순교자??참수형[6]
080복자 김화춘(金――) 야고보순교자??참수형[7]
[1] 복녀 구성열 바르바라(075)의 남편.[2] 복자 김광옥 안드레아(044)의 아들.[3] 복자 서석봉 안드레아(072)의 아내.[4] 복자 고성운 요셉(078)의 형.[5] 복자 고성대 베드로(077)의 동생.[6] 복자 김진후 비오(068)의 아들,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종조부.[7] 복자 김대권 베드로(094)의 동생.
081복자 조숙(趙淑) 베드로순교자1787.1819.08.03.32세참수형
082복녀 권(權) 데레사동정 부부·양반·순교자1784.35세참수형[5]
정해박해(1827년) 순교자 4위
[ 펼치기 · 접기 ]
083복자 이경언(李景彦) 바오로평신도 지도자·양반·순교자1792.1827.06.27.35세옥사[1]
084복자 박경화(朴――) 바오로양반·순교자1757.1827.11.15.70세옥사
085복자 김세박(金世博) 암브로시오중인·순교자1761.1828.12.03.67세옥사
086복자 안군심(安――) 리카르도순교자1774.1835.61세옥사
[1] 058, 066의 동생.
기해박해(1839년) 순교자 18위
[ 펼치기 · 접기 ]
087복자 이재행(李在行) 안드레아순교자1776.1839.05.26.63세참수형
088복자 박사의(朴士儀) 안드레아양반·순교자1792.47세참수형
089복자 김사건(金思健) 안드레아중인·순교자1794.45세참수형
090복자 이일언(李日彦) 욥순교자1767.1839.05.29.72세참수형
091복자 신태보(申太甫) 베드로평신도 지도자·순교자1769.?70세?참수형
092복자 이태권(李太權) 베드로양인·순교자1782.57세참수형
093복자 정태봉(鄭太奉) 바오로순교자1796.43세참수형[1]
094복자 김대권(金大權) 베드로순교자??참수형[2]
095복자 최해성(崔海成) 요한회장·순교자1811.28세참수형
096복녀 김조이(金召史) 아나스타시아순교자1789.1839.10.50세옥사[3]
097복녀 심조이(沈召史) 바르바라순교자1813.1839.11.11.26세옥사[4]
098복녀 이봉금(李――) 아나스타시아순교자1827.1839.12.05/06.12세?교살[5]
099복녀 최(崔) 비르지타순교자1783.1839.12.08/09.56세교살
100복자 홍재영(洪梓榮) 프로타시오순교자1780.1840.01.04.60세참수형[6]
101복녀 최조이(崔召史) 바르바라순교자1790.50세참수형[7]
102복녀 이조이(李召史) 막달레나과부·순교자1808.32세참수형
103복자 오종례(吳宗禮) 야고보양반·순교자1821.19세참수형
104복녀 이성례(李聖禮) 마리아순교자1801.1840.01.31.39세참수형[8]
[1] 복자 정산필 베드로(012)의 사촌.[2] 복자 김화춘 야고보(080)의 형.[3] 복녀 이봉금 아나스타시아(098)의 어머니.[4] 복자 홍재영 프로타시오(100)의 며느리.[5] 복녀 김조이 아나스타시아(096)의 딸.[6] 복자 홍낙민 루카(021)의 아들, 복녀 심조이 바르바라(097)의 시아버지.[7] 복자 최창주 마르첼리노(022)의 딸.[8]최경환 프란치스코의 아내. 가경자 최양업 토마스의 어머니.
병인박해(1866년) 순교자 19위
[ 펼치기 · 접기 ]
105복자 오반지(吳盤池) 바오로순교자1813.1866.03.27/26.53세교수형
106복자 신석복(申錫福) 마르코상인·순교자1828.1866.03.31/18.38세교수형
107복자 김원중(金――) 스테파노순교자?1866.12.16.교수형
108복자 장(張) 토마스순교자1815.1866.51세참수형
109복자 구한선(具漢善) 타대오순교자1844.22세장살
110복자 정찬문(鄭燦文) 안토니오양반·순교자1822.1867.01.25.45세장살
111복자 김기량(金耆良) 펠릭스 베드로[1]무역업자·중인·순교자1816.1867.01.51세교수형
112복자 박상근(朴――) 마티아순교자1837.30세교수형
113복자 송(宋) 베네딕토양반·순교자1798.1867.69세[2]
114복자 송(宋) 베드로양반·순교자1821.46세[3]
115복녀 이(李) 안나부인·순교자1841.26세[4]
116복자 이정식(李廷植) 요한순교자1795.1868.09.74세참수형
117복자 양재현(梁在鉉) 마르티노좌수·순교자1827.41세참수형
118복자 이양등(李陽登) 베드로순교자?1868.09.14.?참수형
119복자 김종륜(金宗倫) 루카양반·순교자1819.49세참수형
120복자 허인백(許仁伯) 야고보농부·순교자1822.46세참수형
121복자 박경진(朴――) 프란치스코순교자1835.1868.09.28/29.33세[5]
122복녀 오(吳) 마르가리타부인·순교자??[6]
123복자 박대식(朴大植) 빅토리노순교자1812.1868.10.12.56세참수형
[1] 제주시 이도2동에 복자의 이름을 딴 성당인 김기량성당과 고향인 조천읍 함덕리에 순교현양비, 순교기념관이 있다.[2] 복자 송 베드로(114)의 아버지, 복녀 이 안나(115)의 시조부.[3] 복자 송 베네딕토(113)의 아들, 복녀 이 안나(115)의 시아버지.[4] 복자 송 베드로(114)의 며느리.[5] 복녀 오 마르가리타(122)의 남편.[6] 복자 박경진 프란치스코(121)의 아내.
124복자 윤봉문(尹鳳文) 요셉회장·순교자1852.1888.04.01.36세교수형[6]


4. 기타[편집]


한국에서 시복이 추친되는 상황은 시성 문서를 참조.

윤지충, 권상연, 윤지헌의 묘소는 돌본 사람이 없어[7] 한동안 잊혀졌다가 2021년 3월이 돼서 확인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진산 사건에 나와 있다.


5. 참고 사이트[편집]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천주교 교황방한위원회

[1] 자세히 보면 가운데 아랫 부분에 분홍색 치마를 입고 백합꽃과 무궁화 다발과 작은 십자가를 들고 있는 어린 여자아이가 보이는데, 이 아이는 1839년 순교 당시 12세도 안 되던 아이였던 이봉금 아나스타시아다.[2] 어부사시사로 유명한 고산(孤山) 윤선도의 6대손이자 윤두서 자화상으로 유명한 윤두서(尹斗緖, 1668. 5. 20 ~ 1715. 11. 26)의 증손자. 복자 권상연 야고보(003)의 고종 사촌, 복자 윤지헌 프란치스코(052)의 형.[3] 한국에 입국한 최초의 외국인(중국 청나라 출신) 천주교 신부. 외국에는 저우원모(Zhou Wenmo)라는 중국식 한자음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청나라에 사신으로 드나들던 역관의 도움으로 조선에 들어와 조선어를 익히고 변발 대신 머리를 길러 상투를 틀고 조선 의복 차림으로 다니는등 완벽하게 현지화한 채 숨어다녔다. 그러나 자수한 후 관리들에게는 한문 필담으로만 진술했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 있는데, 이는 사대하던 청나라와의 외교적 마찰을 암시하며 시간을 번 후 몸을 빼내려던 의도로 보인다. 박해를 일으킨 정순왕후와 중신들도 이를 두고 청나라와의 마찰을 걱정했으니 일리는 있었지만, 몸을 빼내지 못하고 청나라로 호송되어 청 관리들에게 신병이 인도되었더라면 능지형을 당하는등 훨씬 험한 꼴을 당하며 순교했을 가능성이 높다.[4] 복자 김종한 안드레아(079)의 아버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 증조부.[5] 065의 동생.[6] 1886년 조불수호통상조약으로 신앙의 자유는 인정되었지만 진주 감영에 의해 도둑이라는 누명을 쓰고 살해되었다.[7] 가족들은 살아남았지만 먼 곳으로 유배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4:24:36에 나무위키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