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농어촌버스

덤프버전 : (♥ 0)

파일:하동버스2.jpg
사진속 차량은 대차되었다.
파일:영화여객 출신버스.jpg
영화여객 출신버스이다.[1]

1. 개요
2. 운임
3. 노선 목록
3.1. 하동군 농어촌 버스 노선
3.2. 농촌형 버스 노선
3.3. 그외
4. 기타


1. 개요[편집]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이다. 운행사는 하동버스와 에이투어.


2. 운임[편집]


2019년 9월 30일 복합교통타운 신축준공과 동시에 농어촌버스 단일요금제도 시행한다. 농어촌버스 요금은 그동안 기본요금 1250원에 거리에 비례해 요금이 책정됐으나 단일요금제 시행으로 거리와 관계없이 일반인 125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600원만 내면 된다. #

다만 하동읍이나 화개면에서 광양시로 넘어가는 경우 위 요금은 적용되지 않으며, 광양시 시내버스 항목의 운임 문단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해당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

2022년 5월 12일 부터 100원 버스가 등장 했으며 일반인은 100원 알프스 하동 종합 복지관 회원증 소지시은 무료로 운행 하는 버스 이다.

3. 노선 목록[편집]



3.1. 하동군 농어촌 버스 노선[편집]


하동버스에서 운행 하는 노선이다.
기점종점경유지배차간격
하동갈사신월ㆍ전도ㆍ덕천ㆍ광포ㆍ명덕ㆍ신평ㆍ신도ㆍ청도2회
나팔ㆍ서근ㆍ고포ㆍ용포ㆍ궁항ㆍ객길ㆍ조금ㆍ덕천ㆍ전도ㆍ신월2회
신월ㆍ전도ㆍ덕천ㆍ하삼천ㆍ덕천ㆍ조금ㆍ명덕ㆍ신도ㆍ청도1회
신월ㆍ전도ㆍ덕천ㆍ하삼천ㆍ덕천ㆍ조금ㆍ명덕ㆍ신도ㆍ청도1회
신월→전도→덕천→조금→객길→궁항→용포→고포→서근→나팔편도 1회
청도→신도→신평→명덕→광포→덕천→전도→신월편도 1회
신월→전도→덕천→조금→객길→궁항→고포→서근→갈육편도 1회
신월→전도→덕천→조금→객길→궁항→서근→갈육편도 1회
하동진교구학ㆍ하남ㆍ횡천ㆍ대덕ㆍ구정ㆍ우복ㆍ집홀ㆍ통정ㆍ원앙ㆍ양보ㆍ명교ㆍ안심3회
구학ㆍ하남ㆍ횡천ㆍ대덕ㆍ원앙ㆍ중하쌍ㆍ양보ㆍ신정ㆍ상장암ㆍ운암ㆍ명교ㆍ안심1~2회
신월ㆍ전도ㆍ덕오ㆍ신노량ㆍ대치ㆍ술상ㆍ양이1회
횡천ㆍ상성ㆍ전도ㆍ덕오ㆍ신노량ㆍ대치ㆍ술상ㆍ양이1회
신월ㆍ전도ㆍ면소ㆍ고전ㆍ고하ㆍ명교ㆍ화촌ㆍ안심ㆍ백련1회
구학→하남→횡천→대덕→원앙→중하쌍→고전→명교→화촌편도 1회
전도→사동→수문→신노량→대치→상촌→양이편도 1회
양이→상촌→대치→신노량→수문→하삼천→전도편도 1회
하동청학동적량ㆍ동산ㆍ남산ㆍ횡천ㆍ월평ㆍ명호ㆍ청암ㆍ난천ㆍ죽동ㆍ시목ㆍ묵계2회
횡천ㆍ청암ㆍ명호ㆍ명사ㆍ사동ㆍ학동1회
적량ㆍ동산ㆍ남산ㆍ횡천ㆍ월평ㆍ명호ㆍ청암ㆍ난천ㆍ금남ㆍ죽동ㆍ시목ㆍ묵계1회
적량ㆍ동산ㆍ남산ㆍ횡천ㆍ월평ㆍ명호ㆍ청암ㆍ난천ㆍ금남ㆍ죽동ㆍ시목ㆍ묵계ㆍ회동1회
하동의신흑룡ㆍ개치ㆍ악양ㆍ화개ㆍ칠불사ㆍ신흥3회
흑룡→개치→악양→화개→칠불사→신흥→단천편도 1회
신흥→칠불사→화개→악양편도 1회
하동옥종적량ㆍ동산ㆍ남산ㆍ횡천ㆍ죽전ㆍ위테1~2회
적량ㆍ동산ㆍ남산ㆍ횡천ㆍ대덕ㆍ북천ㆍ빙옥ㆍ상촌ㆍ양천사1~2회
하동중기두곡ㆍ흥룡ㆍ개치ㆍ악양ㆍ동매ㆍ약수장3회
고서ㆍ화심ㆍ정동ㆍ흥룡ㆍ개치ㆍ악양ㆍ동매ㆍ약수장2회
하동동점적량ㆍ동산ㆍ남산ㆍ명천ㆍ동리ㆍ서리ㆍ삼화4회
하동목도군청→신촌→신기→상저구→하저구3회
하동목도구통→궁항→신기→군청3회
하동부춘흥룡ㆍ개치1회
하동신촌두전ㆍ적량ㆍ원우ㆍ괴목ㆍ우계3회
하동쌍계사두곡ㆍ흥룡ㆍ개치ㆍ악양ㆍ하평ㆍ평사ㆍ검두ㆍ화개4회


3.2. 농촌형 버스 노선[편집]


운행 회사는 에이투어 한다사 지점이며, 평일에만 운행한다.
기점종점경유지배차간격
쌍계사공설운동장쌍계사 주차장 → 화개 → 악양 → 알프스 하동 종합 복지관 → 하동역 → 공설운동장편도1회
공설 운동장화개면 사무소알프스 하동 종합 복지관ㆍ악양2회
복지관 (송보 아파트)공설운동장 → 하동군 산림조합 → 송보 아파트 → 하동군청편도3회
옥종면 사무소적량 ㆍ 북천 ㆍ 황천 ㆍ적량 ㆍ알프스 하동 종합 복지관2~3회 [2]
알프스 하동 종합 복지관전도금성 ㆍ 금남 ㆍ 고전 ㆍ진교2~3회 [3]


3.3. 그외[편집]


하동읍에는 이외에 광양 버스 18, 광양 버스 54번이, 화개면에는 광양 버스 35, 35-1이 운행하고 있다.

4. 기타[편집]



  • 농어촌 치고도 특히 배차가 많이 열악한 편이다.

  • 최근 주말을 중심으로 관광객이 급격하게 늘어난 악양면, 화개면 일대 도로의 불법주차로 농어촌버스 운행에 지장을 주고 있다. 대부분 왕복 2차선 도로를 경유하거나 중앙선이 없는 좁은 길을 통과하고 있다보니 불법주차로 인해 교행을 못하고 있어 지연운행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오죽하면 버스가 통과하는 구간으로 군에서 라바콘, 고무봉을 설치해서 주차를 못하게 막고 있지만 여전히 불법주차가 기승을 부리고 있어 농어촌 버스가 통과를 못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고 있다.

  • 2020년 11월 16일부터 버스정보시스템이 동년 12월 31일까지 시험운영 후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0:04:23에 나무위키 하동군 농어촌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다른버스로 변경되었다[2] 1회차는 옥종면사무소에서 중간 출발[3] 1회차는 전도에서 중간 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