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2세대 체험판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2세대





1. 소개
2. 문서의 편집 규칙
3. 일람(97 스페이스)
4. 관련 문서


1. 소개[편집]


  • 이 문서의 목록은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타입과 이미지와 설명을 해당 링크에 맞춰 추가, 변경해주시길 바랍니다.

2018년 5월 31일 한 익명의 유저에 의해 유출된, 1997년 닌텐도 스페이스 월드에서 사용된 포켓몬스터 금/은특별체험판에 등장하는 포켓몬 일람.

최종 버전의 2세대 포켓몬과 다른 디자인의 포켓몬, 파라스, 식스테일, 콘치 등의 진화 전 포켓몬, 쁘사이저의 진화형 포켓몬 등 현 세대에는 존재하지 않는 진화 루트의 포켓몬 등이 존재한다.

금/은 버전에 이 게임의 세이브 파일을 주입할 경우, 데모에만 등장하는 포켓몬은 현재 넘버링에 맞는 포켓몬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서 크루스는 리아코로, 파찌메는 메리프로 변경되는 식.

데모 버전에서 잡을 수 있는 1세대가 아닌 포켓몬은 진화가 불가능하도록 막힌 것으로 보인다. 스타팅 3마리와 레디바, 통통코 등.

1세대에서 190마리의 포켓몬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좌절된 후 처음으로 나온 버전이었기 때문에 삭제된 포켓몬을 부활시키려는 욕구가 다른 버전과 비교해 현저히 컸을 것으로 예측되었고, 실제로 그 예상이 맞았다.

2020년, 한 익명의 유저에 의해서 1999년 스페이스 월드에서 사용된 특별체험판 역시 유출되었다. 1999년 체험판의 포켓몬 도감

1997년 이전판도 발굴된 모양이다. 1997년 체험판의 100마리에 구상 단계에서 잘린 것으로 보이는 포켓몬이 50마리 더 있다. 정면 스프라이트 후면 스프라이트(1세대 포켓몬 포함)

2. 문서의 편집 규칙[편집]


  • 현재 게임 데이터가 100% 데이터마이닝되지 않았으므로 서식지는 나중에 따로 분리한다.
  • 현재 존재하지 않는 모든 포켓몬의 이름은 일본어로 우선하여 써 놓는다.
[각주]

3. 일람(97 스페이스)[편집]


1~151번까지의 1세대 포켓몬은 레드/그린과 동일하며 블루 버전의 스프라이트 + 게임보이 프린터의 스프라이트 일부를 사용한다.
기존의 진화루트에 끼어드는 포켓몬
1세대 포켓몬의 앞1737
1세대 포켓몬의 뒤20
37/100

무려 40%에 육박하는 37마리가 1세대와 친연성이 있다. 거기다가 켄타로스의 여성 파트너 취급받는 밀탱크까지 포함하면...
번호 앞에 ★이 붙은 항목은 1세대 개발 초안에서 삭제된 포켓몬이다.

No.포켓몬타입비고
스프라이트이름[1]
152파일:golddemo-152f.png파일:golddemo-152b.pngハッパ
핫파

이름 치코리타로 변경
이름의 어원은 나뭇잎(葉っぱ)
153파일:golddemo-153f.png파일:golddemo-153b2.pngハナモグラ
하나모구라

최초 공개 포켓몬
꽃 두더지 = 토룡
핫파의 진화형(데모에서는 진화 불가)
디자인은 플라베베로 계승
베이리프의 초기 디자인
154파일:golddemo-154f.png파일:golddemo-154b.pngハナリュウ
하나류

이름 메가니움으로 변경
하나모구라가 레벨 32에 진화
이름 어원은 꽃(花-하나)+용(龍-류)
155파일:golddemo-155f.png파일:golddemo-155b.pngホノオグマ
호노구마

최초 공개 포켓몬
원래 불꽃 스타팅
'호노(불꽃)' + '구마(곰)'
깜지곰의 디자인 기반
156파일:golddemo-156f.png파일:golddemo-156b.pngボルべアー
볼베어

최초 공개 포켓몬
'볼'케이노 '베어'
호노오구마의 진화형(데모에서는 진화 불가)
157파일:golddemo-157f.png파일:golddemo-157b.pngダイナべア
다이나베어

최초 공개 포켓몬
볼베어가 레벨 32에 진화
'다이너'마이트 '베어'
158파일:golddemo-158f.png파일:golddemo-158b.pngクルス
크루즈

최초 공개 포켓몬
원래 물 스타팅
159파일:golddemo-159f.png파일:golddemo-159b.pngアクア
아쿠아

최초 공개 포켓몬
'아쿠아',
크루스의 진화형(데모에서는 진화 불가)
160파일:golddemo-160f.png파일:golddemo-160b.pngアクエリア
아쿠에리어

최초 공개 포켓몬
'아쿠아리우스'
아쿠아가 레벨 32에 진화
161파일:golddemo-161f.png파일:golddemo-161b.pngホーホー
부우부


특별한 등장 애니메이션 존재
162파일:golddemo-162f.png파일:golddemo-162b.pngボーボー
보보


야부엉의 초기 디자인(데모에서는 진화 불가)
163파일:golddemo-163f.png파일:golddemo-163b.pngパチメエ
파치메

메리프의 초기 디자인
164파일:golddemo-164f.png파일:golddemo-164b.pngモココ
보송송

파찌메가 레벨 16에 진화 → 메리프가 레벨 16에 진화
165파일:golddemo-165f.png파일:golddemo-165b.pngデンリュウ
전룡

보송송이 레벨 32에 진화
블루 버전 발매 이전 선공개
도트의 형태가 정식 출시판과 동일

166
파일:golddemo-166f.png파일:golddemo-166b.pngミコン
미콘

최초 공개 포켓몬
식스테일의 베이비 포켓몬
원래 불꽃 타입이었을 것으로 추정
식스테일로는 레벨 13에 진화
167파일:golddemo-167f.png파일:golddemo-167b.pngモンジャ
몬쟈

최초 공개 포켓몬
덩쿠리의 베이비 포켓몬
덩쿠리로는 레벨 22에 진화
168파일:golddemo-168f.png파일:golddemo-168b.pngジャランラ
자란라

덩쿠리가 레벨 44에 진화
덩쿠림보의 초기 디자인
169파일:golddemo-169f.png파일:golddemo-169b.pngハネエイ
하네에이
만타인의 초기 디자인
170파일:golddemo-170f.png파일:golddemo-170b.pngプクー
푸쿠
침바루의 초기 디자인
도트의 형태가 정식 출시판과 동일
어원은 복어(フグ)
171파일:golddemo-171f.png파일:golddemo-171b.pngシビレフグ
시비레후구
최초 공개 포켓몬
장침바루 초기 디자인인 푸쿠가 레벨 18일 때 진화
메깅으로 디자인 변경[2]
172파일:golddemo-172f.png파일:golddemo-172b.pngピチュー
피츄
지금과는 모습이 다름
173파일:golddemo-173f.png파일:golddemo-173b.pngピィ
지금과는 모습이 다름

174
파일:golddemo-174f.png파일:golddemo-174b.pngププリン
푸푸린
지금과는 모습이 다름
175파일:golddemo-175f.png파일:golddemo-175b.pngミズウオ
미즈우오[3]
누오의 초기 디자인
176파일:golddemo-176f.png파일:golddemo-176b.pngネイティ
네이티
177파일:golddemo-177f.png파일:golddemo-177b.pngネイティオ
네이티오
현재와 진화방법이 다름. 네이티가 마음의돌(こころのいし)로 진화

178
파일:golddemo-178f.png파일:golddemo-178b.pngギョピン
교핀
최초 공개 포켓몬
콘치의 베이비 포켓몬
179파일:golddemo-179f.png파일:golddemo-179b.pngマリル
마릴
진화전, 진화형 없음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분홍색 색깔을 띰.
피카츄 버전 공개 전후로 디자인 수정 추정
180파일:golddemo-180f.png파일:golddemo-180b.pngマンボー1
맘보 1
최초 공개 포켓몬
마스다 준이치의 인터뷰에 따라, 이름은 가칭인 것으로 추정.

181
파일:golddemo-181f.png파일:golddemo-181b.pngイカリ
이카리
1세대 미싱노 쟈그[4]
최초 공개 포켓몬
맘보 1의 진화형. 샤크니아의 디자인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어원은 닻(錨-いかり).
182파일:golddemo-182f.png파일:golddemo-182b.pngグロテス
그로테스
랜턴 초기 디자인
최초 공개 포켓몬
이카리의 진화형.[5]
헌테일과 컨셉이 유사함.
183파일:golddemo-183f.png파일:golddemo-183b.pngエクシング
엑싱
이름이 크로뱃으로 변경
골뱃이 레벨 44에 진화
'X-wing'
도트의 형태가 정식 출시판과 동일
184파일:golddemo-184f.png파일:golddemo-184b.pngパラ
파라
최초 공개 포켓몬
파라스의 베이비 포켓몬
파라스로 레벨 12에 진화
185파일:golddemo-185f.png파일:golddemo-185b.pngコクモ
코쿠모
페이검의 초기 디자인
아기 거미라는 뜻
186파일:golddemo-186f.png파일:golddemo-186b.pngツーへッド
투헤드
아리아도스 초기 디자인
위에서 보면 얼굴이 하나 더 보인다는 특징은 깨비물거미에 사용됨.
187파일:golddemo-187f.png파일:golddemo-187b.pngヨロイドリ
요로이도리
무장조로 이름 변경[6]
도트의 형태가 정식 출시판과 동일
188파일:golddemo-188f.png파일:golddemo-188b.pngアニモン
아니몽
최초 공개 포켓몬
메타몽의 진화형
메타몽에게 금속코트를 사용하면 진화
멜탄에게 일부 컨셉 채용
animal + 메타
189파일:golddemo-189f.png파일:golddemo-189b.pngヒナーズ
히나즈
최초 공개 포켓몬
두두의 베이비 포켓몬
190파일:golddemo-190f.png파일:golddemo-190b.pngサニー
써니
해루미 초기 디자인
무조건 이로치로 등장하도록 프로그래밍[7]
191파일:golddemo-191f.png파일:golddemo-191b.pngパオン
파옹
코코리의 초기 디자인
192파일:golddemo-192f.png파일:golddemo-192b.pngドンファン
코리갑
뮤츠의 역습에서 선공개
도트의 형태가 정식 출시판과 동일
193파일:golddemo-193f.png파일:golddemo-193b.pngツインズ
트윈즈
키링키 진화 전
고오스 두 마리를 엮어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있다.
디자인은 마자용으로 발전함.
194파일:golddemo-194f.png파일:golddemo-194b.pngキリンリキ
키링키
지금과는 달리 앞쪽과 닮은 머리가 뒤에도 달려있는 모습이었다.
195파일:golddemo-195f.png파일:golddemo-195b.pngぺインター
페인터
루브도의 초기 디자인

196
파일:golddemo-196f.png파일:golddemo-196b.pngコーニャ
코냐
나옹의 베이비 포켓몬
197파일:golddemo-197f.png파일:golddemo-197b.pngリンリン
링링
오로지 암컷만 존재
레벨 28에 베루룬으로 진화
쌔비냥랑딸랑의 초기 디자인
198파일:golddemo-198f.png파일:golddemo-198b.pngべルルン
베루룬
성비 50 : 50
레파르다스치렁의 초기 디자인
블래키로 흡수[8]

199
파일:golddemo-199f.png파일:golddemo-199b.pngニョロトノ
왕구리
지금과는 모습이 다름
200파일:golddemo-200f.png파일:golddemo-200b.pngヤドキング
야도킹
이 당시에는 야도란의 진화형[9]
201파일:golddemo-201f.png파일:golddemo-201b.pngアンノーン
안농
이 당시엔 A의 모습 외의 모습이 공개되지 않음
도트의 형태가 정식 출시판과 동일
202파일:golddemo-202f.png파일:golddemo-202b.pngレディバ
레디바
지금과는 모습과 색깔이 다름
203파일:golddemo-203f.png파일:golddemo-203b.pngミツボシ
미츠보시
레디안 초기 디자인
이름은 3성[10]이라는 이름과 동시에 미쓰비시의 패러디로 추정

204
파일:golddemo-204f.png파일:golddemo-204b.pngプチコーン
쁘띠콘
포니타의 베이비 포켓몬
쁘띠 유니
205파일:golddemo-205f.png파일:golddemo-205b.pngエーフィ
에브이
지금과는 모습이 다름
206파일:golddemo-206f.png파일:golddemo-206b.pngブラッキー
블래키
지금보다 공격적인 자세
타입은 악 타입으로 수정됨
207파일:golddemo-207f.png파일:golddemo-207b.pngターバン
터번
야도란의 꼬리, 야도킹의 머리에 있는 셀러
208파일:golddemo-208f.png파일:golddemo-208b.pngべトべビー
베토베이비
질퍽이의 베이비 포켓몬
베토베타(질퍽이의 일칭)+baby
209파일:golddemo-209f.png파일:golddemo-209b.pngテッポウオ
총어
이 당시에는 권총의 모습을 함
210파일:golddemo-210f.png파일:golddemo-210b.pngオクタン
대포무노
이 당시에는 철모를 쓰고 있었음[11]
211파일:golddemo-211f.png파일:golddemo-211b.pngゴング
배루키의 초기 디자인
212파일:golddemo-212f.png파일:golddemo-212b.pngカポエラー
카포에라
지금과는 모습이 다름
213파일:golddemo-213f.png파일:golddemo-213b.pngプディ
푸디
가디의 베이비 포켓몬
214파일:golddemo-214f.png파일:golddemo-214b.pngハネコ
하네코
통통코의 초기 디자인
현재 통통코의 일칭은 ハネッコ
215파일:golddemo-215f.png파일:golddemo-215b.pngポポネコ
포포네코
두코의 초기 디자인
현재 두코의 일칭은 ポポッコ
216파일:golddemo-216f.png파일:golddemo-216b.pngワタネコ
와타네코
솜솜코의 초기 디자인
현재 솜솜코의 일칭은 ワタッコ

217
파일:golddemo-217f.png파일:golddemo-217b.pngバリリーナ
배리리나
흉내내의 초기 디자인
어원은 배리어(barrier)+발레리나(ballerina)
218파일:golddemo-218f.png파일:golddemo-218b.pngリップ
뽀뽀라의 초기 디자인
219파일:golddemo-219f.png파일:golddemo-219b.pngエレべビー
에레베이비
에레키드의 초기 디자인
오로지 수컷만 존재
220파일:golddemo-220f.png파일:golddemo-220b.pngブビィ
마그비
지금과는 모습이 다름
221파일:golddemo-221f.png파일:golddemo-221b.pngキレイハナ
아르코
지금과는 색깔이 다름, 애니 SS에서 선공개
222파일:golddemo-222f.png파일:golddemo-222b.pngツボミット
츠보밋토
우츠동의 또 다른 진화형[12]
223파일:golddemo-223f.png파일:golddemo-223b.pngミルタンク
밀탱크
지금과 모습이 거의 비슷함
224파일:golddemo-224f.png파일:golddemo-224b.pngボムシカー
봄시카
'봄(Bomb)' + 시카(물개)
물+불꽃 타입 조합은 볼케니온이 계승함. 그리고 물놀이 컨셉은
누리공으로 계승함.
225파일:golddemo-225f.png파일:golddemo-225b.pngギフト
기프트
딜리버드의 초기 디자인

226
파일:golddemo-226f.png파일:golddemo-226b.pngコトラ
코토라
아기 호랑이라는 의미

227
파일:golddemo-227f.png파일:golddemo-227b.pngライトラ
라이토라
번개 호랑이라는 의미
코토라가 레벨 35에 진화[13]
전기 호랑이라는 컨셉만을 추려 라이코에게 적용했을 가능성이 있다.[14]
228파일:golddemo-228f.png파일:golddemo-228b.pngマダーム
마담
파오리의 진화형 오리가 백조로 진화한다는 설정은 후에 스완나가 가져갔으며, 디자인은 창파나이트로 계승.
229파일:golddemo-229f.png파일:golddemo-229b.pngノロワラ
노로와라
어원은 저주 받은 짚인형
(呪いのわら人形,노로이노 와라닌교,)[15]
다크펫 초기 디자인[16]
230파일:golddemo-230f.png파일:golddemo-230b.pngキョンパン
강팬
노로와라가 레벨 1에 진화[17]
얼루기, 부란다 계열과 같은 판다 포켓몬
어원은 강시(キョンシー,,)+팬더(パン,,)
231파일:golddemo-231f.png파일:golddemo-231b.pngヤミカラス
니로우
이 당시에는 모자가 마녀 모자였음[18]
232파일:golddemo-232f.png파일:golddemo-232b.pngハッピー
해피
해피너스의 초기 디자인
233파일:golddemo-233f.png파일:golddemo-233b.pngシザース
시저스
핫삼의 초기 디자인[19]
234파일:golddemo-234f.png파일:golddemo-234b.pngプラックス
플럭스[20]
쁘사이저의 진화형
헤라크로스의 초기 디자인
235파일:golddemo-235f.png파일:golddemo-235b.pngデビル
데빌
델빌로 이름 변경
236파일:golddemo-236f.png파일:golddemo-236b.pngへルガー
헬가
이 당시에도 지금처럼 악/불꽃 타입으로도 설정되었지만 데이터가 누락되었을 확률이 높다.[21]
237파일:golddemo-237f.png파일:golddemo-237b.pngウルフマン
울프맨
Wolfman
디자인이 눈꼬마로 계승
238파일:golddemo-238f.png파일:golddemo-238b.pngワーウルフ
워울프
Werewolf 또는 Warwolf
1세대 미싱노 부(추정)
239파일:golddemo-239f.png파일:golddemo-239b.pngポリゴン2
폴리곤2
미스터도넛 마스코트 폰 데 라이온과 매우 흡사[22]
현재와는 모습이 다름
240파일:golddemo-240f.png파일:golddemo-240b.pngナメール
나메루
내룸벨트의 초기 디자인
어원은 핥다(なめる-나메루)
241파일:golddemo-241f.png파일:golddemo-241b.pngハガネール
강철톤
도트의 형태가 정식 출시판과 동일
242파일:golddemo-242f.png파일:golddemo-242b.pngキングドラ
킹드라
현재와는 모습이 다름
243파일:golddemo-243f.png파일:golddemo-243b.pngライ
라이[23]
라이코의 초기 디자인
진 여신전생 데빌 칠드런 등장 몬스터 과 매우 흡사[24]
디자인은 그라에나/썬더볼트로 계승
244파일:golddemo-244f.png파일:golddemo-244b.pngエン
[25]
앤테이의 초기 디자인
245파일:golddemo-245f.png파일:golddemo-245b.pngスイ
스이[26]
스이쿤의 초기 디자인
246파일:golddemo-246f.png파일:golddemo-246b.pngニューラ
포푸니
지금과는 모습이 다름
디자인은 비조푸/비조도로 계승
247파일:golddemo-247f.png파일:golddemo-247b.pngホウオウ
칠색조
애니메이션 1화에서 선공개[27]
이후 불꽃 타입 추가
정면 스프라이트는 안농의 유적 퍼즐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음.
248파일:golddemo-248f.png파일:golddemo-248b.pngトゲピー
토게피
249파일:golddemo-249f.png파일:golddemo-249b.pngブルー
블루
오로지 암컷만 존재했음
도트의 형태가 정식 출시판과 동일
250파일:golddemo-250f.png파일:golddemo-250b.pngテイル
테일
에이팜의 초기 디자인
251파일:golddemo-251f.png파일:golddemo-251b.pngリーフィ
리피
이브이의 진화형
리피아의 초기 디자인
252--ビニ゙でヌ゙
버그 포켓몬(비니베데누베)[28]
새(とり)[29](버그)[30]
253--ネ゙ーノ゙バ
버그 포켓몬(네오노바)
포켓몬의 알. 당시에는 단색이었음.
배틀에서 만날 경우 울음소리가 미친듯이 길다.
254--チビロブと
버그 포켓몬(티비롭과)
(버그)[31](버그)[32]스프라이트를 불러내려고만 해도 그 즉시 게임이 터지기 때문에(!)
상세정보 불명.
255--ボゃマ゙0ミ゙
버그 포켓몬(보야마0니)
000--9ム゙9ィ゙ー
버그 포켓몬(9무9이)
(버그)[33](버그)[34]

4. 관련 문서[편집]




[1] 원본 이름에 대응하는 한국명/일본명[2] 다만 이쪽은 앞에 있는 번개 마크를 봤을 때 전기메기다.[3] 돛란도어의 별칭이다[4] 둘 모두 상어 기반에 닻이 달린 점이 동일하다. 다만 쟈그는 코에, 이카리는 꼬리에 달린 것이 차이점.[5] 근데 이카리는 상어고 그로테스는 아귀다... 어쩐지 얘 닮은 애도 진주에서 장어로 진화한다[6] 아이러니하게도 요로이 = 갑옷, 도리 = 새라서 한칭 무장조는 이 가칭에 더 가까운 번역이다.[7] 피카츄 역시 무조건 이로치로 등장하도록 프로그래밍되었다.[8] 이때 블래키가 독 타입에서 악 타입으로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9] 현재는 야돈의 진화형이다.[10] 묘하게도, 삼성 그룹의 이름이 미쓰비시를 배낀 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다.[11] 아무래도 탱크하면 떠오르는 상징적인 모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라고 추정된다.[12] 냄새꼬→라플레시아 or 아르코처럼, 우츠동→우츠보트 or 츠보밋토가 될 수 있었던 것.[13] 어느 팬이 3D 모델링을 만들어냈다.# 사족으로 소드실드의 다른 유출 정보들과 같이 올라와서 진짜인 줄 안 사람들도 몇몇 있었던 모양.[14] 이후 세대에서 전기 타입 사족보행 포유류는 3세대의 썬더볼트(늑대), 4세대의 렌트라(사자), 5세대의 제브라이카(얼룩말) 등이 있다.[15] 오토리 닌교(おとり人形)라고도 하며, 저주에 쓰는 짚으로 만든 인형을 의미한다.[16] 둘다 저주인형을 모티브로 한 점이 일치한다.[17] 레벨 진화는 정해진 레벨 이상에서 진화이므로, 레벨만 올리면 무조건 진화하는 상태. 진화에 대한 설정을 정확히 하지 않은 것으로 보는게 타당하다.[18] 이후 애니판 포켓몬스터에서 마녀 캐릭터의 파트너 포켓몬으로 니로우가 등장했다. 마녀 모자 컨셉은 무우마에게 계승.[19] 이름인 '시저'는 영어이름 'Scizor'로 재활용된다. 데모 핫삼의 색깔은 이로치 핫삼에 재활용된다.[20] Plucks[21] 사일런트 힐의 포켓몬 센터 NPC가 헬가가 여태까지 없던 타입의 포켓몬이라는 언급을 한다.[22] 폰데라이온은 6년이나 뒤에 나온 캐릭터이므로 디자이너가 같은 사람이거나 디자이너가 이 체험판을 플레이한 적이 있어서 무의식적으로 같은 디자인을 만들어버린 게 아니냐는 등의 설이 퍼지고 있다.[23] 우레 뢰(雷).[24] 마찬가지로 쿨은 3년이나 뒤에 나온 캐릭터이므로 디자이너가 둘다 사이토 무네오이거나 혹은 사이토 무네오가 이 체험판을 플레이한 적이 있어서 영향을 받은 것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이 당시에도 전설의 포켓몬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한 사람이 오래 플레이할 수 없는 환경이었고 데모판이라는 특성상 전자에 무게가 실린다.[25] 불꽃 염(炎) 또는 불당길 염(焰).[26] 물 수(水).[27] 금/은의 발매가 일반에 공개되기 이전에 공개된 유일한 2세대 포켓몬[28] 이하 괄호 안의 이름들은 이름을 구성하는 한자를 음차한 것.[29] 미싱노의 타입으로 나오는 더미데이터 타입.[30] 타입 코드 8E[31] 타입 코드 50.[32] 타입 코드 8C[33] 타입 코드 13.[34] 타입 코드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