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

덤프버전 : (♥ 0)

파일:포브스(기업) 로고 화이트.svg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
[ 1위 - 10위 ]

포브스 코리아는 2009년부터 매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명인의 직업적 성취, 미디어 노출, 소셜 미디어 인기도, TV 출연 및 지난해 수입에 따라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를 선정하고 있다.
2020년대 이전
[ 펼치기 · 접기 ]
2020년대 이후



1. 개요
2. 2019
3. 2020
4. 2021
5. 2022
6. 2023



1. 개요[편집]


※ 2023 포브스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 선정 방법론

포브스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는 미국 포브스가 매년 선정하는 ‘최고수입 셀러브리티(Highest-paid Celebrity 100)’의 한국판이다.

‘파워 셀러브리티 40’도 셀럽의 한 해 수입을 기준(50%)으로 하되, 여기에 언론, 소셜미디어, 방송 영향력을 수치화(50%)하고 4개 지표를 합산해 총점을 산출했다.

영역이 다른 셀럽들을 각각 비교할 수 있는 총점을 부과하기 위해 수천 건의 집계와 계산이 이뤄진다. 후보는 가수·배우·방송인·스포츠 스타이며 2022~2023년간 다음카카오포털에서 검색수가 높은 인물 100명을 뽑았다. 그리고 사법적인 논란이 있는 인물을 필터링한 후, 포브스코리아에서 수입, 언론노출, 방송활동, 소셜미디어 수치를 조사하고 통계기법을 적용해 총점을 산출했다.

우선 수입은 셀럽들의 주요 소득을 추산할 수 있는 모든 방법(업계 통상기준, 작품활동, 국내외 집계 사이트, 인터뷰, 국세청, 판례 등)을 동원했다. 주요 소득은 음원, 공연, 영화·방송 출연료, 광고, 연봉으로 한정했다.
언론노출은 국내 5대 종합지의 헤드라인에 언급된 빈도수를 인물별로 뉴스빅데이터 분석서비스 ‘빅카인즈’에서 추출했다.

소셜미디어는 셀럽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인스타그램과 유튜브의 팔로워 수를 2023년 4월 1일 기준으로 조사해 합산했다.

방송은 국내 방송 활동으로,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시청자들 사이에서의 셀럽 인지도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 기간에 출연한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 리스트를 뽑아 각각 최고 시청률 등을 조사했다. 시청률에 따라 프로그램별·구간별로 최고 5점에서 최저 1점을 부여했다. 여기에 국내외 각종 수상 내역과 횟수를 기준으로 가점을 부가했다.

4개 부문의 수치는 범위(Scale)가 크게 다르므로 최솟값과 최댓값을 기준으로 정규화(0~1 사이의 수치로 변환)하고 각각의 비중을 곱해 합산했다. 조사된 각각의 실수치는 공개하지 않으나 그 차이를 비교할 수 있게 시각화해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2. 2019[편집]




3. 2020[편집]




4. 2021[편집]




5. 2022[편집]




6. 2023[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12 16:21:25에 나무위키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