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2012시즌/16R~20R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2시즌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2시즌/11R~15R


1. 개요
2. 16R: 2012 포뮬러 1 한국 그랑프리 (한국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17R: 2012 포뮬러 1 에어텔 인도 그랑프리 (인도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18R: 2012 포뮬러 1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그랑프리 (아부다비 GP)
4.1. 퀄리파잉
4.2. 레이스
5. 19R: 2012 포뮬러 1 미국 그랑프리 (미국 GP)
5.1. 퀄리파잉
5.2. 레이스
6. 20R: 포뮬러 1 그란데 프레미오 페트로브라스브라질 2012 (브라질 GP)
6.1. 퀄리파잉
6.2. 레이스


1. 개요[편집]


포뮬러 12012 시즌 중 16R부터 20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16R: 2012 포뮬러 1 한국 그랑프리 (한국 GP)[편집]



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1:37.2421번째
P2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0.074s2번째
P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 0.227s3번째
P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0.292s4번째
P5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 0.383s5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0.642s6번째
P7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 0.692s7번째
P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 1.024s8번째
P9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119s9번째
P10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1.271s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38.436Q3 진출
P1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0.005s11번째
P12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0.054s12번째
P13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0.188s13번째
P14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0.237s14번째
P15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0.319s15번째
P1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0.678s21번째[-5][Gearbox]
P17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0.934s16번째

[-5] 5 그리드 페널티[Gearbox] 기어박스 교체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1:39.180Q2 진출
P18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 0.263s17번째
P19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027s18번째
P20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153s19번째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2.137s24번째[-10][Engine_change]
P22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2.191s20번째
P23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3.701s22번째
P24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No time23번째[107%][Q]

[-10] 10 그리드 페널티[Engine_change] 엔진 교체[107%] Q1 1위 기록의 107%를 초과[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1:36:28.65125
2위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8.231s1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13.944s15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20.168s12
5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 36.739s10
6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 45.301s8
7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 54.812s6
8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1:09.5894
9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1:11.7872
10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1:19.692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1:20.062
12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1:24.448
13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1:29.241
14위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1:34.924
15위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 1:36.902
16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 Lap
17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 Lap
18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 Lap
19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2 Laps
20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2 Laps
DNF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Throttle]
DNF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Collision_damage]
DNF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Collision_damage]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Collision]

[Throttle] 스로틀 문제로 리타이어[Collision_damage] A B 충돌 데미지로 인해 리타이어[Collision] 충돌로 리타이어


한국에서 열리는 3번째 F1 그랑프리이다. 페텔이 이 경기에서 우승하며 챔피언십 선두 자리를 탈환하였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367
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290
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284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로터스 - 르노255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36

3. 17R: 2012 포뮬러 1 에어텔 인도 그랑프리 (인도 GP)[편집]



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1:25.2831번째
P22. 마크 웨버 (레드불)+ 0.044s2번째
P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0.261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0.366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490s5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0.574s6번째
P7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0.953s7번째
P815.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1.077s8번째
P9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1.430s9번째
P10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No time10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1:27.517Q2 진출
P18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0.008s18번째
P19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239s19번째
P20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983s20번째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2.096s21번째
P22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3.075s22번째
P23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3.076s23번째
P24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3.145s24번째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1:31:10.74425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9.437s18
3위2. 마크 웨버 (레드불)+ 13.217s15
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13.909s12
5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26.266s10
6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44.674s8
7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45.227s6
8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54.998s4
9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로맹 그로장 (로터스)+ 56.103s2
10위19.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1:14.975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21.694
12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1:22.815
13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1:26.094
14위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1:26.495
15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1 Lap
16위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1 Lap
17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 Lap
18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 Lap
19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1 Lap
20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2 Laps
21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2 Laps
22위[90%]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Gearbox_issue]
DNF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Brakes]
DNF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Collision]

[90%]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 이상을 달려 순위 인정[Gearbox_issue]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Brakes] 브레이크 문제로 리타이어[Collision]

패스티스트 랩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1:28.203 (Lap 60)
2012 인도 GP 하이라이트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407
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316
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306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로터스 - 르노263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36

4. 18R: 2012 포뮬러 1 에티하드 항공 아부다비 그랑프리 (아부다비 GP)[편집]



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1:40.6301번째
P22. 마크 웨버 (레드불)+ 0.357s2번째
P3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0.596s3번째
P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0.630s4번째
P5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0.660s5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952s6번째
P7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0.973s7번째
P8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1.093s8번째
P9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로맹 그로장 (로터스)+ 1.148s9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1:43.582Q2 진출
P17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0.476s17번째
P18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374s18번째
P19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1.507s19번째
P20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569s20번째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844s21번째
P22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2.184sPL[1]
P23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2.800s23번째

[1] 포메이션 랩을 출발하기 전에 팀에서 타이어 블랭킷을 빼지 않아 피트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EX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1:41.073 (Q3)PL[Parc_ferme][1]

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1:45:58.66725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852s18
3위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4.163s15
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7.787s12
5위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13.007s10
6위14.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20.076s8
7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22.896s6
8위19.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23.542s4
9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24.160s2
10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27.463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28.075s
12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34.906s
13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47.764s
14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56.473s
15위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56.768s
16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04.595
17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1:11.778
DNF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Engine]
DNF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Collision]
DNF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Collision]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Fuel_pressure]
DNF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Collision]
DNF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Collision]
DNF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Collision]

[Engine]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Collision] A B C D E [Fuel_pressure] 유압 문제로 리타이어


키미 래이쾨넨이 F1 복귀 후 첫 승을 일궈내었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422
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340
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318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로터스 - 르노288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36

5. 19R: 2012 포뮬러 1 미국 그랑프리 (미국 GP)[편집]


텍사스에 신설된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에서 펼쳐지는 첫 F1 미국 GP이자,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에서의 레이스 이후 5년 만에 미국이 F1 캘린더에 돌아온 레이스이다.

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1:35.6571번째
P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0.109s2번째
P32. 마크 웨버 (레드불)+ 0.517s3번째
P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로맹 그로장 (로터스)+ 0.930s8번째[-5][Gearbox]
P5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051s4번째
P6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137s5번째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1.280s11번째[-5][Gearbox][2]
P8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1.484s6번째
P9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643s7번째
P10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2.185s9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38.862Q2 진출
P18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0.252s18번째
P19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194s19번째
P20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1.802s20번째
P21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947s21번째
P22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2.304s22번째
P23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3.149s23번째
P24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3.878s24번째


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1:35:55.26925
2위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0.675s1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39.229s15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46.013s12
5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56.432s10
6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04.4258
7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로맹 그로장 (로터스)+ 1:10.3136
8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1:13.7924
9위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1:14.5252
10위19.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1:15.133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1:24.341
12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1:24.871
13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25.510
14위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1 Lap
15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1 Lap
16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1 Lap
17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 Lap
18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 Lap
19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 Lap
20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2 Laps
21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2 Laps
22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2 Laps
DNF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Alternator]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Suspension]

[Alternator] 알터네이터 문제로 리타이어[Suspension] 서스펜션 문제로 리타이어


루이스 해밀턴이 맥라렌 소속으로 마지막 그랑프리 우승을 이루었다. 또한, 페텔이 2위, 알론소가 3위로 들어오며 페텔과 알론소의 격차는 13점 차가 되었고, 최종전인 브라질에서 드라마틱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 한 페텔이 3연속 월드 챔피언에 등극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440
2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367
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353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로터스 - 르노302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36

6. 20R: 포뮬러 1 그란데 프레미오 페트로브라스브라질 2012 (브라질 GP)[편집]


페텔과 알론소의 포인트 차가 13점 차가 되며, 페텔이 올해도 챔피언을 가져갈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간단히 살펴보면, 알론소가 우승을 하더라도 페텔이 4위 이상을 달성하면 페텔의 챔피언이 된다. 둘의 포인트가 같아질 경우 페텔이 5승, 알론소가 3승 째로 페텔이 우승을 더 많이 차지하였기에 챔피언은 페텔이 된다.

아울러, 최종전답게 많은 고별전이 준비되어 있었다. 우선, 해밀턴이 일본에서 메르세데스 이적을 확정지음에 따라 이 경기는 해밀턴의 맥라렌과의 고별전이 되었고, 이를 메꿀 페레스도 자우버와 고별전을 치루게 되었다. 레전드 아일톤 세나의 조카로 F1 입성 시 많은 기대를 받은 브루노 세나는 팀과 계약 연장에 실패함에 따라 윌리엄스, F1 고별전을 치루게 되었고, 휠켄베르크는 자우버와 계약함에 따라 포스 인디아와의 1차 고별전을 치루었다. 자우버의 고바야시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팀은 루키인 에스테반 구티에레즈와 차기 시즌 정규 드라이버 시트 계약을 맺음에 따라 고바야시의 자우버 고별전이 되었다. 최하위 3팀 중 한 팀인 HRT는 재정난과 성적 부진 등의 복합적인 이유로 팀이 인수되어 차기 시즌 F1 엔트리를 하지 않음에 따라 HRT의 마지막 경기가 되었고, 나머지 마러시아와 케이터햄 중 샤를 픽만이 케이터햄 이적을 확정지은 반면, 나머지 3명의 드라이버들은 이 경기를 끝으로 F1을 떠나게 되었다.

그리고, 경기 전까지 총 305 그랑프리 스타트, 91승 & 155 포디움 & 7번의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한 F1의 황제 미하엘 슈마허의 은퇴전이 된다.

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1:12.4581번째
P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0.055s2번째
P32. 마크 웨버 (레드불)+ 0.123s3번째
P4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0.302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0.529s5번째
P6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0.716s16번째[-10][3]
P7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0.748s6번째
P8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825s7번째
P9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0.870s8번째
P10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061s9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1:16.744Q2 진출
P18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 0.223s18번째
P19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0.329s19번째
P20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0.342s20번째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0.764s21번째
P22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1.360s22번째
P23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2.832s23번째
P24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2.955s24번째

2012 브라질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1:45:22.65625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2.754s1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3.615s15
4위2. 마크 웨버 (레드불)+ 4.936s12
5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5.708s10
6위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9.453s8
7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11.907s6
8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28.653s4
9위14.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31.250s2
10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 Lap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 Lap
12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1 Lap
13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1 Lap
14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 Lap
15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 Lap
16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 Lap
17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2 Laps
18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2 Laps
19위[9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Accident]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Collision]
DNF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Accident]
DNF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Accident]
DNF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Accident]
DNF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Collision]

[90%] [Accident] A B C D 사고로 리타이어[Collision] A B

패스티스트 랩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1:18.069 (Lap 38)
2012 브라질 GP 하이라이트

파일:Sebastian Vettel 2012 brazil.jpg
최종전에서 3점차로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쥔 제바스티안 페텔

페텔의 빠른 순위 리커버리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한 명경기였다. 오프닝랩 초반에 사고로 스핀을 하며 알론소에게 타이틀을 헌납하는 듯 보였지만, 당황하지 않고 빗길에서 안전한 레이스 운영 관리를 보여주며 차근차근 순위를 끌어올렸고, 레이스 후반에 폴 디 레스타가 스핀 후 충돌하며 세이프티카 상황으로 경기가 끝나며 최종 순위 6위로 피니쉬. 결국 알론소를 3점 차로 누르며 통산 3번째 F1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하게 되었다.

반면, 알론소는 이날 자신이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퍼포먼스를 뽐냈음에도 불구하고, 맥라렌, 레드불에 비해 부족한 차의 성능으로 2010 시즌에 이어 또 다시 고배를 마셔야 했다.

아울러, F1 7회 챔피언에 빛나는 황제 미하엘 슈마허가 레이스 시작 전 성대한 은퇴 행사를 받은 것도 하나의 구경거리였다. 또한, 이 경기는 젠슨 버튼의 F1 마지막 우승이었으며, 맥라렌은 다음 시즌부터 급격한 내리막길을 걸으며 10여년 동안 부진을 이어가다가 2021 이탈리아 GP에서 다니엘 리카도가 우승을 기록하기 전까지 우승이 없었다.



[Parc_ferme] 파크 페르메 상황에서 레이스카 셋업을 교체하여 피트레인 스타트 페널티 적용[1] 퀄리파잉 3위를 달성했으나, 연료 샘플 추출을 위한 충분한 연료량이 남아있지 않아 퀄리파잉 기록이 삭제되고 말았다. 따라서 최후미에서 스타트하게 되었으나, 곧바로 레드불은 페텔의 레이스카 셋업을 교체하여 피트레인에서 스타트하게 되었다.[-5] A B [Gearbox] A B [2] 알론소의 스타팅 포지션을 1계단 올리기 위해 일부러 마싸의 기어박스를 추가 개봉했다고 페라리 측에서 밝혔다.[-10] [3] 시즌 중 총 3번 째 경고를 받게 되어 페널티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