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1/2012시즌/11R~15R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2시즌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2시즌/6R~10R


1. 개요
2. 11R: 포뮬러 1 에니 마자르 나그디 2012 (헝가리 GP)
2.1. 퀄리파잉
2.2. 레이스
3. 12R: 2012 포뮬러 1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
3.1. 퀄리파잉
3.2. 레이스
4. 13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 산탄데르이탈리아 2012 (이탈리아 GP)
4.1. 퀄리파잉
4.2. 레이스
5. 14R: 2012 포뮬러 1 싱텔 싱가포르 그랑프리 (싱가포르 GP)
5.1. 퀄리파잉
5.2. 레이스
6. 15R: 2012 포뮬러 1 일본 그랑프리 (일본 GP)
6.1. 퀄리파잉
6.2. 레이스


1. 개요[편집]


포뮬러 12012 시즌 중 11R부터 15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11R: 포뮬러 1 에니 마자르 나그디 2012 (헝가리 GP)[편집]



2.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1:20.9531번째
P2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 0.413s2번째
P3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0.463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0.630s4번째
P5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 0.777s5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0.891s6번째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0.947s7번째
P8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0.986s8번째
P9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 1.390s9번째
P1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 1.894s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3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1:21.697Q3 진출
P11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0.018s11번째
P12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0.116s12번째
P13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0.198s[同]13번째
P14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0.198s[同]14번째
P15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0.603s15번째
P1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0.683s16번째
P17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1.026s17번째

[同] A B 같은 기록을 내었으나, 먼저 랩타임을 기록한 드라이버가 앞 그리드 배정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1:22.948Q2 진출
P18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0.302s18번째
P19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0.628s19번째
P20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219s20번째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2.296s21번째
P22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2.528s22번째
P23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2.968s23번째
P24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3.230s24번째


2.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1:41:05.50325
2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 1.032s18
3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 10.518s15
4위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 11.614s12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 26.653s10
6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 30.243s8
7위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 33.899s6
8위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34.458s4
9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38.350s2
10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51.234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 57.283s
12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1:02.887
13위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1:03.606
14위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1:04.494
15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1 Lap
16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1 Lap
17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 Lap
18위[90%]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Hydraulics]
19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2 Laps
20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2 Laps
21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3 Laps
22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3 Laps
DNF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Steering]
DNF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Technical]

[90%]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 이상을 달려 순위 인정[Hydraulics] 유압 계통 문제로 리타이어[Steering] 스티어링 문제로 리타이어[Technical] 기타 기술적 문제로 리타이어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246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193
3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로터스 - 르노192
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189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06

3. 12R: 2012 포뮬러 1 벨기에 그랑프리 (벨기에 GP)[편집]



3.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1:47.5731번째
P214.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0.298s2번째
P3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0.320s6번째[-3][1]
P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0.632s3번째
P515.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0.646s4번째
P6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740s5번째
P72. 마크 웨버 (레드불)+ 0.839s12번째[-5][Gearbox]
P8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0.841s7번째
P9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로맹 그로장 (로터스)+ 0.985s8번째
P1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1.337s9번째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1:50.126Q2 진출
P18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0.055s23번째[-5][Gearbox]
P19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613s18번째
P20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845s19번째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2.214s20번째
P22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2.908s21번째
P23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3.371s22번째
P24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4.867s24번째


전반기 마지막 레이스인 헝가리에서 좋은 결과로 마무리했던 맥라렌은 후반기 첫 레이스인 벨기에 퀄리파잉에서도 좋은 결과를 내었다. 페텔이 11위로 충격의 Q2 탈락을 맞이한 틈을 타, 이번엔 젠슨 버튼이 넉넉하게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루이스 해밀턴이 아쉬운 랩으로 8위를 기록했으나, 앞순위를 기록한 웨버가 이번엔 기어박스 교체 페널티로 내려앉으며 나름 좋은 위치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가장 놀라운 결과는 바로 2-3위였는데, 후반기 첫 경기부터 두 중위권의 드라이버들이 놀라운 기록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말도나도는 Q1에서 휠켄베르크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여 스튜어드들로부터 3 그리드 페널티를 받게 되어 6위에서 출발한다.

3.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1:29:08.53025
2위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13.624s18
3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25.334s15
4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27.843s12
5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29.845s10
6위2. 마크 웨버 (레드불)+ 31.244s8
7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53.374s6
8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58.865s4
9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1:02.9822
10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1:03.783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1:05.111
12위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 1:11.529
13위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1:56.119
14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 Lap
15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 Lap
16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1 Lap
17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 Lap
18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1 Lap
DNF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Accident]
DNF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Collision_damage]
DNF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Collision_damage]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Collision]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Collision]
DNF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Collision]

[Accident] 사고로 리타이어[Collision_damage] A B 충돌 데미지로 인해 리타이어[Collision] A B C 충돌로 리타이어


파일:12 벨기에 빅크래시.jpg
스타트부터 끔찍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던 대형사고가 발생했다. 6위에서 시작한 말도나도가 점프 스타트로 앞서나간 사이, 8위에서 출발한 그로장은 좋은 스타트로 해밀턴을 추월하였다. 곧바로 해밀턴의 가속력이 조금 더 좋았기에 해밀턴이 인라인으로 추월을 시도하였는데, 갑작스레 그로장이 지나치게 해밀턴을 피트월 부근의 잔디로 밀어붙였고, 이 때 그로장의 오른쪽 리어 타이어와 해밀턴의 왼쪽 프런트 타이어가 접촉하여 해밀턴이 컨트롤을 잃고 그로장의 리어를 강타하였다. 문제는 곧바로 1번 코너가 이어지는 상황이었다. 해밀턴이 그로장을 그대로 올라타면서 높은 속력으로 그로장과 함께 앞서 있는 드라이버들을 향해 돌진하였고, 그대로 알론소의 콕핏 바로 앞쪽으로 날아가면서 말 그대로 아수라장이 되고 말았다.[2] 이 여파로 그로장 본인과 해밀턴, 옆에서 피해를 본 알론소와 페레스가 그대로 리타이어하고 말았고, 사고의 피해를 보았던 고바야시[3]와 말도나도[4]는 다행히 빠져나올 수 있었다. 이 사고로 1번 코너에 데브리가 잔뜩 흩뿌려지고 말았고, 곧바로 적색기가 나오며 세션은 중단되었다. 그로장의 말도 안 되는 무빙에 해밀턴은 생각이 있는 거냐며 강한 불만을 표출하였고, 피트에서 이를 지켜보던 자우버, 맥라렌, 페라리 스태프들과 피트크루들은 크게 놀랄 수밖에 없었다.

이후 레이스가 재개되었고, 뒤로 쳐진 말도나도는 1번 코너에서 티모 글록을 들이받아 프런트윙을 잃는 사고를 저질렀고, 이후 사고 여파로 리타이어하며 허무하게 조기퇴근하고 말았다. 이후 레이스는 오프닝 랩 사고와는 대조적으로 평화롭게 흘러갔고, 폴 포지션에서 시작한 젠슨 버튼이 우승을, 10위에서 시작한 페텔이 사고를 잘 피한 뒤 대단한 추월쇼를 선보이며 2위까지 올랐다. 그리고 오루즈에서 미하엘 슈마허를 상대로 짜릿하게 안쪽으로 파고들며 추월하는 등의 좋은 퍼포먼스도 보여주며 3위로 포디움에 올랐다.

레이스 이후, 사고를 일으킨 그로장에 대해 강력한 페널티가 부여되었다. 우선 ₤50,000의 벌금이 그에게 부과되었고, 이어서 다음 경기인 이탈리아 GP 출전 금지 페널티가 내려졌다. 레이스 초반에 티모 글록을 들이받은 말도나도에게는 다음 경기 2 그리드의 페널티가 부여되었다.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272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218
3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로터스 - 르노207
4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199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12

4. 13R: 포뮬러 1 그란 프레미오 산탄데르이탈리아 2012 (이탈리아 GP)[편집]


출전 금지 페널티를 받은 그로장을 대신하여 로터스는 이번 경기에 팀의 리저브 드라이버인 제롬 담브로시오를 기용하였다. 리저브 드라이버 자리가 잠시 비게 됨에 따라, 포뮬러 르노 3.5 시리즈에 출전 중인 에스토니아 출신의 19세 드라이버 케빈 코류스가 이번 경기 리저브 드라이버를 맡는다.

4.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1:24.0101번째
P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0.123s2번째
P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0.237s3번째
P4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0.294s9번째[-5][Gearbox]
P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0.530s4번째
P6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0.792s5번째
P7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0.823s6번째
P8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0.845s7번째
P914.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1.099s8번째
P10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668s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24.742Q3 진출
P11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0.067s11번째
P12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0.078s22번째[-10][1]
P13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0.159s12번째
P14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 0.300s13번째
P15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0.570s14번째
P16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로터스)
+ 0.666s15번째
P17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0.699s16번째

[-10] 10 그리드 페널티[1] 직전 경기 점프 스타트, 티모 글록과의 충돌로 인한 그리드 페널티가 가산되어 10 그리드 페널티가 부여되었다.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로터스)
1:25.834Q2 진출
P18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0.548s17번째
P19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053s18번째
P20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205s19번째
P21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1.239s20번째
P22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1.607s21번째
P23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1.795s23번째
P24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No time24번째[107%][Q]

[107%] Q1 1위 기록의 107%를 초과[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

4.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1:19:41.22125
2위15.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4.356s1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20.594s15
4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29.667s12
5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30.881s10
6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31.259s8
7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33.550s6
8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41.057s4
9위14.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43.898s2
10위19.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48.144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48.682s
12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50.316s
13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벨기에 국기.svg

제롬 담브로시오 (로터스)
+ 1:15.861
14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 Lap
15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 Lap
16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1 Lap
17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 Lap
18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1 Lap
19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1 Lap
20위[90%]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Spun_off]
21위[9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Brakes]
22위[90%]1.
파일:독일 국기.svg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Alternator]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맥라렌)
[Fuel_pressure]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Suspension]

[90%] A B C [Spun_off] 스핀 후 리타이어[Brakes] 브레이크 문제로 리타이어[Alternator] [Fuel_pressure] 유압 문제로 리타이어[Suspension] 서스펜션 문제로 리타이어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272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243
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226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로터스 - 르노217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26

5. 14R: 2012 포뮬러 1 싱텔 싱가포르 그랑프리 (싱가포르 GP)[편집]


출전 금지 징계가 해제되어 그로장이 다시 그리드 위에 복귀하였다.

5.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1:46.3621번째
P2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0.442s2번째
P3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 0.543s3번째
P4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0.577s4번째
P5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0.854s5번째
P6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0.879s6번째
P72. 마크 웨버 (레드불)+ 1.113s7번째
P8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로맹 그로장 (로터스)+ 1.426s8번째
P9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No time9번째
P10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No time10번째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1:47.943Q3 진출
P11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 0.032s11번째
P12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 0.318s12번째
P1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0.401s13번째
P14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 0.562s14번째
P15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0.831s15번째
P1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0.906s16번째
P17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No time22번째[-5][Gearbox]

[ Q1 결과 ]

5.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2:00:26.14425
2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8.959s18
3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5.227s15
4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19.063s12
5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34.784s10
6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35.759s8
7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로맹 그로장 (로터스)+ 36.698s6
8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42.829s4
9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45.820s2
10위15.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50.619s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레드불)
+ 1:07.175[+20s][1]
12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31.918
13위14.
파일:일본 국기.svg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 1:37.141
14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 1:39.413
15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47.467
16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2:12.925[+20s][2]
17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1 Lap
18위[90%]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Engine]
19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2 Laps
DNF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Collision]
DNF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Collision]
DNF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Hydraulics]
DNF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Accident]
DNF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Gearbox_issue]

[+20s] A B 20초 페널티[1] 고바야시를 추월하는 과정에서 코너를 가로질러가 페널티 부여[2] FP3 세션 도중 적색기 상황에서 다른 차를 추월하여 페널티 부여[90%] [Engine]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Collision] A B [Hydraulics] [Accident] [Gearbox_issue]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297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261
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245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로터스 - 르노231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36

6. 15R: 2012 포뮬러 1 일본 그랑프리 (일본 GP)[편집]


레이스가 개최되기 전, 패독에는 무성한 드라이버 이적 루머가 들리기 시작하였다. 직전 싱가포르 GP에서도 리타이어 한 것과 더불어 맥라렌에서의 마음이 떠난 루이스 해밀턴이 맥라렌을 떠날 수 있다는 루머가 들린 것이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메르세데스가 루이스 해밀턴과 3년의 계약을 맺었음을 발표하였고, 해밀턴의 빈 자리는 페라리 아카데미 드라이버이자 자우버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준 세르히오 페레스가 대체할 것이라고 맥라렌에서도 발표하였다. 페레스의 페라리 아카데미 계약 역시 종료될 것이며, 페레스는 결과적으로 페라리의 빈 자리를 노리기 위해 기다리기보다 맥라렌으로 둥지를 튼 것으로 보인다.

19년동안의 커리어, 올해가 마지막임을 발표한 슈마허
해밀턴의 메르세데스 이적은 곧, 니코 로즈버그미하엘 슈마허 중에 한 명이 나가야함을 의미했다. 하지만 로즈버그는 메르세데스에 잔류할 것이라고 소식이 들렸고, 최종적으로 지난 3년 동안 부진을 이어온 슈마허가 메르세데스와 계약 연장에 실패한 것이 밝혀졌다. 슈마허를 향해 자우버를 비롯해 몇몇 중위권 팀들이 그에게 계약을 제시했다는 루머가 무성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미하엘 슈마허는 이번 시즌을 끝으로 최종적으로 F1에서 은퇴할 것임을 발표하였다. 2006년 1차 은퇴 이후 4년이 흘러 2010년에 복귀를 하였으나, 이번에 최종적으로 은퇴를 선언하며 그의 19번째 시즌인 이번 시즌에 그의 F1 커리어는 마무리될 예정이다.

6.1. 퀄리파잉[편집]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P1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1:30.8391번째
P22. 마크 웨버 (레드불)+ 0.251s2번째
P3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0.451s8번째[-5][Gearbox]
P414.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0.861s3번째
P5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로맹 그로장 (로터스)+ 1.059s4번째
P615.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1.183s5번째
P7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1.275s6번째
P8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1.369s7번째
P9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1.488s9번째
P10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No time15번째[-5][Gearbox]
[ Q2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3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1:32.272Q3 진출
P11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싸 (페라리)
+ 0.021s10번째
P12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0.055s11번째
P13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0.197s23번째[-10][1]
P141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 0.240s12번째
P1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 0.353s13번째
P16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 0.682s14번째
P17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1.096s19번째[-3][2]

[-10] [1] 직전 레이스에서 베르뉴와의 충돌로 페널티 부여[-3] [2] Q1 세션에서 플라잉 랩을 돌던 세나를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
[ Q1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출발 그리드
Q2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1:33.405Q2 진출
P18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 0.035s16번째
P19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287s17번째
P20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843s18번째
P21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2.015s20번째
P22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 2.059s21번째
P23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2.062s22번째
P24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 3.364s24번째


6.2. 레이스[편집]


레이스
순위드라이버 (팀)기록점수(pts)
우승1. 제바스티안 페텔 (레드불)1:28:56.24225
2위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6. 펠리페 마싸 (페라리)+ 20.632s18
3위14. 고바야시 카무이 (자우버)+ 24.538s15
4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3. 젠슨 버튼 (맥라렌)+ 25.098s12
5위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4. 루이스 해밀턴 (맥라렌)+ 46.490s10
6위
파일:Lotus_F1_Team_logo.png
9. 키미 래이쾨넨 (로터스)+ 50.424s8
7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2. 니코 휠켄베르크 (포스 인디아)+ 51.159s6
8위18. 파스토르 말도나도 (윌리엄스)+ 52.364s4
9위2. 마크 웨버 (레드불)+ 54.675s2
10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6. 다니엘 리카도 (토로 로쏘)+ 1:06.9191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순위드라이버 (팀)기록
11위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7.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메르세데스)
+ 1:07.769
12위
파일:포스 인디아 원형 로고.png
11.
파일:영국 국기.svg

폴 디 레스타 (포스 인디아)
+ 1:23.460
13위
파일:toro rosso old logo.png
17.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에릭 베르뉴 (토로 로쏘)
+ 1:28.645
14위19.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노 세나 (윌리엄스)
+ 1:28.709
15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케이터햄)
+ 1 Lap
16위
파일:Marussia_F1-logo.png
24.
파일:독일 국기.svg

티모 글록 (마러시아)
+ 1 Lap
17위
파일:caterham-cars-vector-logo.png
21.
파일:러시아 국기.svg

비탈리 페트로프 (케이터햄)
+ 1 Lap
18위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데 라 로사 (HRT)
+ 1 Lap
19위[90%]
파일:Lotus_F1_Team_logo.png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맹 그로장 (로터스)
[Gearbox_issue]
DNF
파일:Marussia_F1-logo.png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를 픽 (마러시아)
[Engine]
DNF
파일:HRT F1 팀 2012 로고.webp
23.
파일:인도 국기.svg

나레인 카티케얀 (HRT)
[Vibrations]
DNF15.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자우버)
[Spun_off]
DNF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페라리)
[Collision]
DNF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8.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메르세데스)
[Collision]

[90%] [Gearbox_issue] [Engine] [Vibrations] 차량 진동이 심해져 리타이어[Spun_off] [Collision] A B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1레드불 - 르노324
2
파일:맥라렌 00년대 로고.png
맥라렌 - 메르세데스283
3
파일:스쿠데리아 페라리 로고.png
페라리263
4
파일:Lotus_F1_Team_logo.png
로터스 - 르노239
5
파일:메르세데스 F1 삼각별 엠블럼.png
메르세데스136



[-3] 3 그리드 페널티[1] Q1에서 플라잉 랩을 돌던 휠켄베르크를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5] A B C D 5 그리드 페널티[Gearbox] A B C D 기어박스 교체[2] 자칫 잘못하면 알론소의 머리 쪽을 그대로 향할 수 있는 사고였다.[3] 2위에서 출발했지만 스타트 미스로 뒤로 크게 밀려나서 사고에 휘말렸다(...)[4] 점프 스타트로 3위까지 올라갔으나 첫번째 코너에서 페레스가 들이박아 스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