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페이탈 코드 : SHIMMER PROJECT

덤프버전 :

파일:페이탈 코드 아이콘2.jpg페이탈 코드 : SHIMMER PROJECT
||
파일:페이탈 코드 커버.jpg
제작사SH인터렉티브
유통사
장르타워 디펜스
출시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7월 18일
플랫폼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 / 파일:iOS 로고.svg
등급15세이용가
엔진파일:유니티 로고.svg[[파일:유니티 로고 화이트.svg
언어한국어
관련 사이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스토어파일:원스토어 아이콘.svg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파일:Galaxy Store 아이콘.svg 파일:TapTap 아이콘.svg
1. 개요
2. PV
3. 요구사양
4. 세계관
6. 설정
6.1. 세틀러
6.2. 기생자
6.3. 광립자
7. 평가
8. 논란
9.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SH인터렉티브에서 개발한 타워디펜스 게임


2. PV[편집]




3. 요구사양[편집]


최소 사양권장 사양
운영 체제불명불명
프로세서블명불명
RAM불명불명
용량 및 저장 공간불명


4. 세계관[편집]


◆ 티탄성의 기원
암원전 352년, 신비한 에너지를 획득한 고등 생명이 우연히 고대의 티탄성에 떨어졌다.
그들의 에너지는 문명에 의해 널리 퍼져 나갔고, 오늘날 티탄성의 형태를 갖추었다.

◆ 세틀러 탄생
암원전 202년, 고대 티탄인들은 빛의 미립자를 에너지 원천으로 전향하기 위기 연구를 멈추지 않았다.
긴 시간의 연구는 그들로 하여금 오랜 시간동안 빛의 미립자에 노출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신체의 변이로 인해 초인간적인 특수 능력을 얻는 자들이 생겨났는데 이들을 세틀러라고 불렀다.

◆기생자 탄생
암원 188년, 수많은 생물들은 암흑 에너지의 침식을 맞이했다.
이로 인해 또 한번의 기형적인 변이를 맞이하는데 세틀러들 마저도 그 운명을 달리하지 못했다.
신체 곳곳에 불특정 침식을 받아 이성을 상실하고, 오로지 공격 본능만 남은 돌연변이가 되어버렸다.
그들을 “기생자”라고 불렀다.

◆ 거대 지능
암원 200년, 고대 티탄인들은 암흑의 침식을 피해 지하 연구 기지로 피난하게 된다.
그들은 이 곳에서 암흠의 침식에 저항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거대 지능의 이론“을 해석하기 시작한다.


5. 캐릭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페이탈 코드 : SHIMMER PROJECT/캐릭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설정[편집]



6.1. 세틀러[편집]


광립자의 오랜 영향을 받아 특수한 능력을 가지게 된 존재들

6.2. 기생자[편집]


암흑 침식의 영향을 받은 존재. 이성은 잃은 채 공격 본능만 남은 자들을 칭한다.

6.3. 광립자[편집]


신비한 힘을 두르고 있는 미상의 물질. 에너지의 원천으로 활용할수있는 특징을 가졌다. 오래 노출될수록 신체에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상황에 따라 특수능력을 가진 세틀러나 기생자로 변이가 이루어진다.

7. 평가[편집]


  • 게임성
세로 화면 명일방주로 취급되고 있다. 게임 플레이 방식이나 UI가 중국의 모바일 게임 명일방주와 거의 빼다박은 수준으로 유사하다. # 이 때문에 명일방주 마이너 갤러리 등에서 K-명방이라고 조롱하는 중.
그나마 다른 점이라면 명방과 달리 전투시 코스트로 레벨업을 시켜줄 수 있고 공격범위를 360도 다양한 각도로 세팅할 수 있다. 캐릭터 등급도 중요하지만 진화나 성장을 통해 다양한 편대를 구성하고 성장을 위해 사용했던 경험치를 되돌려 신규 획득한 캐릭터에 투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 캐릭터 디자인
양산형 게임의 캐릭터 디자인과 유사하다보니 좋은 평가를 얻고 있지는 못하다. 인체 비율이나 자세, 명암이 이상한 등의 문제가 있다.

  • BM
수집형 RPG 요소를 차용하고 있어 가챠를 메인 BM으로 하고 있다. 메인 스테이지 난이도가 초반부터 꽤 높은 편이라 고성능 캐릭터의 필요성이 높은데, SSR 캐릭터가 명함 수준에서는 성능이 별로고 한계돌파를 해야 스킬이 해제되면서 성능이 급상승한다. 덕분에 가챠 유도가 심한 편이라고 볼 수 있다.

8. 논란[편집]


국산 모바일 게임이라지만 인게임 결제 UI에 중국 위안 또는 일본 엔으로 보이는 화폐 기호(¥)가 그려져 있고 #, 본사인 SH인터렉티브의 주소가 분당의 공유오피스에 있으며 #, 심지어 대표이사가 이전에 중국 게임 퍼블리싱 회사의 사내이사로 있었던 등 # 중국 자회사의 의혹을 강하게 받고 있다.

동명의 유통회사가 2013년 폐업한 바 있기 때문에 상표명을 구매하여 서비스 중인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강하게 풍기는 중. #

9. 외부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23:46:35에 나무위키 페이탈 코드 : SHIMMER PROJEC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