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워풀 프로야구 비긴즈

덤프버전 :

||



파일:external/timg.danawa.com/438706_1.jpg
명칭파워풀 프로야구 비긴즈
제작/유통파일:코나미 로고.svg
플랫폼파일:닌텐도 DS 로고.svg
인원1~2명
발매2006년 8월 3일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3월 29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 개요
2. 특징
3. 선수 명단
3.1. 엘리펀츠
3.2. 래빗츠
3.3. 고릴라즈
3.4. 샤크스
3.5. 스네이크스
3.6. 록스
3.7. 데빌스타즈
3.8. 앤츠
3.9. 독스
3.10. 캣츠
3.11. 코알라즈
3.12. 몽키즈



1. 개요[편집]


파워프로군 포켓 시리즈 중 유일하게 한국판으로 정발된 작품. 또한 한국에 한글화되어 나온 최초의 파워풀 프로야구 시리즈이기도 하다. 메인 화면과 BGM 등을 보면 파워프로군 포켓9를 기반으로 한 게임인 것을 알 수 있다. 비긴즈라고 제목을 붙인 것으로 보아 판매량이 나쁘지 않았다면 후속작을 내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2. 특징[편집]


이 게임엔 페넌트 모드도 없고, 와이파이 기능도 삭제되어 적외선 통신으로만 멀티 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었고, 파워포켓 시리즈의 정체성인 석세스 모드가 삭제되어있다. 그렇기에 당연히 미니게임, 파워포켓 포인트도 다 삭제되었다. 플레이 가능한 모드는 컴퓨터대전, 홈런더비, 훈련캠프와 적외선 통신으로 하는 멀티 플레이 뿐이다.

게임에 등장하는 팀과 선수들은 파워프로군 포켓9에 수록된 팀과 선수들을 기반으로 했다. 팀 이름은 동물 등의 이름으로 바뀌었고, 선수들의 이름은 완전히 한국어 로컬라이징[1] 되었으며, 몇은 능력치가 수정되기도 했다.[2] 또한 게임 내에서 선수들의 특수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어 많은 불편함이 있다.

파워풀 프로야구 비긴즈는 원본 게임과 물리엔진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비긴즈의 물리엔진은 파워프로군 포켓 9에 비해 쳐낸 공이 더 빠르고 멀리 뻗어가고, 외야수와 내야수의 송구 속도가 더 빠르며, 송구 딜레이도 덜하다. 그리고 파워프로군 포켓 9에서는 A등급 주력을 가진 선수도 2루 도루를 실패하는 경우가 많지만, 파워풀 프로야구 비긴즈는 주력이 F이거나 G등급인 선수도 3루 도루를 능숙하게 해낸다.

석세스 모드에서 등장하는 구장이 연습구장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위키백과에서 파워풀 프로야구 비긴즈 문서를 일본어로 보면 파워프로군 포켓9가 아닌 모여라! 파워프로군의 DS 코시엔 문서가 나온다.


3. 선수 명단[편집]


센트럴리그 6개 팀들인 주니치, 요미우리, 요코하마, 야쿠르트, 히로시마, 한신과, 퍼시픽리그소프트뱅크, 세이부, 닛폰햄은 2006년 시즌 기준 선수들의 고증이 잘 되어 있다. 하지만, 오릭스, 롯데, 라쿠텐은 고증이 엉망이다.
예를 들어, 2006년 시즌에는 어느 팀에도 스위치 히터 포수가 없었고 원작인 파워프로군 포켓9에서도 현실에서 스위치 히팅을 하는 포수가 수록되어 있지 않았음에도 라쿠텐으로 추정되는 몽키스에서는 우투양타이고 1루와 외야까지 소화 가능한 포수가 두 명이나 있다. 실상 당시 라쿠텐에서 뛰던 두 명의 주전 및 백업 포수들은 포수만 소화 가능한 우투우타 선수들이었다.

3.1. 엘리펀츠[편집]


엘리펀츠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2B
(SS, OF)
우우문완호아라키 마사히로
2SS
(2B)
우우박장수이바타 히로카즈
3RF
(3B, SS)
우좌정상진후쿠도메 코스케
41B
(OF)
우우유경승타이론 우즈
53B
(OF, 1B)
우좌박상호모리노 마사히코
6LF우우방찬영알렉스 오초아
7CF우우조용완히데노리
8C우우김구열타니시게 모토노부
9P
-(1B, 3B, 2B)우우김광일와타나베 히로유키
-(1B)우우안학진타카하시 미츠노부
-(3B, 2B, SS)우우주용태카와이 마사히로
-(3B, OF)우좌김주봉타츠나미 카즈요시
-(OF, 1B)좌좌석호철이노우에 카즈키
-(OF)우양양길석후지이 아츠시

엘리펀츠
투타스태미너투구폼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우우181오버임주원카와카미 켄신
좌좌118스리쿼터차일훈야마모토 마사
우우126오버우승호아사쿠라 켄타
우우105오버전우주사토 미츠루
좌좌41스리쿼터김영훈이시이 유야
우우140스리쿼터김상헌나카타 켄이치
우우35사이드최안정스즈키 요시히로
좌좌42오버김보남히사모토 유이치
우우33사이드정명수데니 토모리
우우39오버이주환히라이 마사후미
우우42오버신장서오카모토 신야
좌좌43스리쿼터조세훈이와세 히토키

2006년 주니치 드래곤즈로 추정된다.


3.2. 래빗츠[편집]


래빗츠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2B
(3B)
우좌오성일와키야 료타
2CF
(2B)
우양이은수스즈키 타카히로
3LF우좌우바람타카하시 요시노부
41B
(LF)
좌좌공진욱이승엽
53B
(1B, 2B)
우우박창완코쿠보 히로키
6C우좌변흥민아베 신노스케
7SS
(3B)
우우김정헌니오카 토모히로
8RF우우정창길야노 켄지
9P
-(2B, SS)우좌이석형코사카 마코토
-(2B, 3B)우우전규영니시 토시히사
-(OF, 2B, 3B)우양문태주키무라 타쿠야
-(OF)우좌이상욱시미즈 타카유키 [3]
-(OF)우좌박현철카메이 요시유키
-(3B, 1B)우우길태훈조지 아리아스

래빗츠
투타스태미너투구폼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우우130오버강혁천
우우128오버이무진
좌좌123스리쿼터강면수
우우119오버고지식
우우82오버김병민
우우72오버송한규
좌좌35오버이현수
좌좌53오버김승규
우우32오버남훈식
좌좌37오버이민규
우우18오버박강민
좌좌44오버이기철

2006년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추정된다.


3.3. 고릴라즈[편집]


고릴라즈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SS우좌조순근이시이 타쿠로
2LF우우이상천코이케 마사아키
3CF우우최낙윤타무라 히토시
43B
(2B)
우우정원태무라타 슈이치
51B
(OF, 3B) [4]
우우황경식요시무라 유키
6RF우양박연성킨죠 타츠히코
72B
(OF, 1B)
우우김갑종우치카와 세이이치
8C우우김지수아이카와 료지
9P
-(C)우우지영민츠루오카 카즈나리
-(1B, OF)좌좌박정권 [5]사에키 타카히로
-(2B, 3B, 1B)우우구용신타네다 히토시
-(SS, 2B)우좌송찬호후지타 카즈야
-(OF)우좌강준철스즈키 타카노리
-(OF, 3B)우좌김용기후루키 카츠아키

2006년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로 추정된다.


3.4. 샤크스[편집]


샤크스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CF
(2B)
우좌최경범아오키 노리치카 [6]
21B
(1B)
우우박승훈애덤 리그스
33B우좌임윤택이와무라 아키노리
4LF우우홍승구알렉스 라미레스
52B
(3B)
우우김성화그렉 라로카
6RF우우이대기미야데 류지
7SS우우김광현미야모토 신야
8C우우유상인요네노 토모히토
9P
-(C)우우임천순후루타 아츠야 [7]
-(2B, SS, 3B)우우박양배타나카 히로야스 /
시로이시 노리유키
-(2B, SS, 3B)우우김상운시로이시 노리유키 /
타나카 히로야스
-(2B, SS)우양안재훈카지모토 유스케
-(SS)우우현성봉강병수 [8]
-(OF)좌좌이준섭마나카 미츠루

2006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로 추정된다.


3.5. 스네이크스[편집]


스네이크스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2B
(OF)
우좌김상철히가시데 아키히로
2SS
(2B)
우우최규환소요기 에이신
3RF좌좌김현배시마 시게노부
43B
(1B)
우우양진모아라이 타카히로
5LF우좌민경천마에다 토모노리
61B
(3B)
우우김상규쿠리하라 켄타
7CF우좌고재상모리카사 시게루
8C우우이상환쿠라 요시카즈 /
이시하라 요시유키
9P
-(C)우우하정우이시하라 요시유키/
쿠라 요시카즈 [9]
-(SS, 2B)우좌전성구마츠모토 타카아키
-(OF)우우이재기오가타 코이치
-(OF)우우차봉설히로세 준
-(OF)우우조길동이오우 무네미츠
-(OF)좌좌강용진스에나가 마사후미

2006년 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추정된다.


3.6. 록스[편집]


록스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CF우좌김유성아카호시 노리히로
23B
(2B, 1B) [10]
우우서유칠세키모토 켄타로
31B
(SS, 3B)
우우김형훈앤디 시츠
4LF우좌이승백카네모토 토모아키
5RF
(3B)
우우이순신하마나카 오사무
6SS우좌윤종수토리타니 타카시
7C우우장은호야노 아키히로
82B
(SS)
우좌이종용후지모토 아츠시
9P
-(C, OF)우우박찬훈노구치 토시히로
-(3B, 2B)우우고정헌이마오카 마코토
-(OF)우좌양연식히야마 신지로
-(OF, 1B)우우윤강원쉐인 스펜서
-(OF, 1B)좌좌박준하린 웨이주 [11]
-(OF)우우윤동훈나카무라 유타카

2006년 한신 타이거스로 추정된다.


3.7. 데빌스타즈[편집]


데빌스타즈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CF좌좌박주환오오무라 나오유키
2SS
(3B)
우좌송정환카와사키 무네노리
3DH
(C, 1B, 3B)
우우장순형타노우에 히데노리
4LF (1B)좌좌주민수마츠나카 노부히코
51B우우최철원훌리오 쥴레타
63B
(SS, OF)
우우박승철홀베르토 카브레라[12]
7RF좌좌김영정시바하라 히로시
82B
(SS, 1B)
우좌정구진혼마 미츠루[13]
9C우우이학인야마자키 카츠키
-(2B)우좌김재원혼다 유이치
-(SS, 2B, 3B)우우한경민모리모토 사토루
-(OF)우좌손병기키도코로 류마
-(OF)좌좌이태진미야지 카츠히코
-(OF, 1B)우우박용태오오미치 노리요시

2006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추정된다.
소프트뱅크에서 2006년 시즌부터 두각을 드러낸 마츠다 노부히로가 없다.


3.8. 앤츠[편집]


앤츠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RF
(2B)
우양서원명후쿠치 카즈키
22B
(SS)
우우최장수카타오카 야스유키
3SS우우김재만나카지마 히로유키
41B우우오욱철알렉스 카브레라
5LF우우류대열와다 카즈히로
6DH
(OF)
우좌김경록쿠리야마 타쿠미
73B
(1B)
우우박두환나카무라 타케야
8C우우장길수호소카와 토오루
9CF우양구본석아카다 쇼고
-(2B, 3B)우좌서현배타카기 히로유키
-(3B, 2B)우우도경환히라오 히로시
-(3B, 2B)우좌고은성이시이 요시히토
-(1B, 3B, OF)우좌최주호제프 리퍼
-(OF)우우박영삼타카야마 히사시

2006년 세이부 라이온즈로 추정된다.
이 시즌 초반 중용된 G.G.사토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3.9. 독스[편집]


독스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RF
(SS)
우양천중일?
2CF
(2B) [14]
우좌박재병히라노 케이이치
31B우우심경훈키타가와 히로토시
4DH
(1B, 3B)
우우탁지훈키요하라 카즈히로
53B
(1B)
우우심하늘나카무라 노리히로
6SS
(2B, 3B)[15]
우좌강태진고토 미츠타카
7LF우우김신도타니 요시토모
82B
(SS)[16]]
우우김도진시오자키 마코토
9C우좌김동권히다카 타케시
-(SS, 2B)우좌김경민?
-(SS, 2B, 3B)우좌조재우?
-(OF, C)우우최기우?
-(OF, 1B)좌좌박현택카림 가르시아?
-(OF)우우나기훈오오니시 히로아키 /
아이카와 료타

2006년 시즌 오릭스 버팔로즈로 추정되나, 선수 고증이 엉망이다.

1번 타자인 천중일은 우투양타 외야수이며 유격수까지 소화가 가능하다고 되어 있지만, 파워프로군 포켓9 수록 선수들 기준 오릭스 버팔로즈에서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이런 선수는 없었다.

다만, 억지로 천중일의 정체를 찾는다면 하야카와 다이스케라는 선수가 될 수 있다. 이 선수는 당시 오릭스 소속 우투양타의 외야수이며, 릿쿄대학 시절(...) 유격수를 소화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이 선수는 원작인 파워프로군 포켓9에 수록된 오릭스 선수 명단에서 빠져 있으며, 1번 타자로 몇 경기 나오기는 했으나 그 해 소화한 경기가 21경기밖에 되지 않는다.

그리고, 당시 오릭스 버팔로즈에는 김경민이나 조재우에 해당하는 우투좌타 플래툰/백업 내야수가 없었다. 최기우처럼 포수를 겸할 수 있는 우투우타 외야수도 없었다.

파워프로군 포켓9에 오릭스 선수로서 수록되었지만 고릴라즈의 선수로 명확히 대응시키기 어려운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미즈구치 에이지 (우투우타, 키스톤)
아베 마사히로 (우투우타, 내야 유틸리티)
무라마츠 아리히토 (좌투좌타, 외야수) [17]
아이카와 료타 (우투우타, 외야수)
오오니시 히로아키 (우투우타, 외야수)

3.10. 캣츠[편집]


캣츠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SS
(3B)
우양변한섭니시오카 츠요시
23B
(SS)
우우유병창이마에 토시아키
31B
(OF)
좌좌박우백후쿠우라 카즈야[18]
4DH
(OF)
우우전희성베니 아그바야니
5RF우좌정남훈맷 프랑코[19]
6CF우우차승석오오무라 사부로
7LF좌좌김재경 오오마츠 쇼이츠
8C우우이영기사토자키 토모야
92B
(SS)
우우강대한호리 코이치
-C우좌노구종하시모토 타스쿠
-SS
(3B, 2B)
우우안성태아오노 타케시 /
와타나베 마사토
-SS
(2B, 3B)
우우송주영와타나베 마사토 /
아오노 타케시
-OF우양강태웅?
-1B우우민경복발 파스쿠치

캣츠
투타스태미너투구폼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좌양103오버이인욱
좌좌115언더정중앙와타나베 슌스케 [20]
우우105오버박경주
우우101스리쿼터서용철
우우91오버류정원
우좌56오버차영록
좌좌66스리쿼터강상균
좌좌47스리쿼터신종호
우우48오버구명준
좌좌64스리쿼터김관우
우우48오버유명수
우우30오버김동원

2006년 치바 롯데 마린즈로 추정되나, 썩 마음에 드는 고증이 아니다. 후쿠우라 카즈야와 맷 프랑코의 포지션 문제도 있고, 무엇보다 당시 롯데에는 강태웅에 대응될 만한 스위치히터 외야수가 없다.

파워프로군 포켓9에 롯데 선수로 등록되어 있으면서 캣츠의 선수로 대응시키기 어려운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오오츠카 아키라 (우투우타, 외야수)


3.11. 코알라즈[편집]


코알라즈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LF우우노덕환모리모토 히초리
22B
(SS, OF)
우좌송명석타나카 켄스케
31B
(3B)
우좌이종원오가사와라 미치히로
4DH
(1B)
우양조승근페르난도 세기뇰
5RF
(1B)
좌좌정주환이나바 아츠노리
6CF우우최준봉SHINJO
73B
(2B)
우양김현격호세 마시아스
8C우우구기훈타카하시 신지/
츠루오카 신야
9SS
(2B)
우우이상일카네코 마코토
-(C)우우신봉식타카하시 신지/
츠루오카 신야
-(3B, 2B, 1B)우좌박상수키모토 쿠니유키
-(SS, 3B, C)우우유재승이이야마 유지[21]
-(1B, OF)우우이일환타나카 유키오[22]
-(OF)좌좌박현준츠보이 토모치카

2006년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로 추정된다.


3.12. 몽키즈[편집]


몽키즈
타순포지션투타한국명원작 추정 선수
1CF우좌김선현츠치야 텟페이
22B우우김성수타카스 요스케
31B
(OF)
우우최정웅릭 쇼트 [23]
43B
(1B)
우우임상학호세 페르난데스 [24]
5DH
(1B, OF)
우좌박기태야마사키 타케시
6RF우좌김동원이소베 코이치
7LF우우김학균마키타 아키히사?
8SS
(3B, OF)
우우한지승시오카와 타츠야
9C
(1B, OF)
우양조백석?
-C
(1B, OF)
우양박일순?
-2B
(SS)
우좌이성도쿠사노 다이스케
-SS
(3B)
우양김경대니시무라 와타루
-OF우양안정모?
-OF
(C)
우좌정대훈세키카와 코이치

2006년 토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추정되지만, 고증이 엉망이다. 2006년 당시 라쿠텐에 스위치 히터 포수와 외야수는 존재하지 않았다.

파워프로군 포켓9에 라쿠텐 선수로 수록되어 있지만 몽키즈 선수로 대응시키기 어려운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후지이 아키히토 (우투우타, 포수)
카츠노리 (우투우타, 포수)
에릭 발렌트 (좌투좌타, 외야수/1루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9:36:16에 나무위키 파워풀 프로야구 비긴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로컬라이징이라고는 하지만 사실 아무 이름이나 붙혀넣은 것이다.[2] 예를 들어 엘리펀츠의 문완호, 박장수와 정상진은 각각 아라키 마사히로, 이바타 히로카즈후쿠도메 코스케를 베이스로 했으나 능력치에서 약간 차이점이 있다. 또한 앨리펀츠의 유경승은 타이론 우즈, 래빗츠의 공진욱은 이승엽과 능력치가 같다.[3] 아래에 있는 박현철(카메이 요시유키)과 우투좌타 외야수라는 점이 동일하나, 시미즈가 약한 어깨로 유명한 점으로 인해 게임 내의 스탯 상 송구력이 더 약한 이상욱 쪽이 시미즈 타카유키라고 추정된다.[4] 주 포지션은 외야수.[5] 실제 이 이름의 한국 프로야구선수와 투타, 포지션, 그리고 게임 상 능력치까지 모두 대단히 비슷하다.[6] 딱 한 경기, 2루수로서 1보살을 기록한 바 있는데 그게 2006년이다.[7] 인게임 캐릭터도 안경을 끼고 있다![8] 재일교포로, 한화에서 2009년에 1년을 뛰고 은퇴하였다. 한국명은 姜 秉秀, 일본명은 大原 秉秀(오오하라 헤이슈)[9] 2006년 카프에서는 쿠라 요시카즈와 이시하라 요시유키 둘이 누가 주전이라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마스크를 번갈아 썼다. 오늘 포수는 쿠라, 내일 포수는 이시하라, 모레 포수는 쿠라, 글피 포수는 이시하라라고 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은 시즌이었다.[10] 주 포지션은 2루수.[11] 대만 국적의 선수. 林 威助[12] 현실에서 이 선수는 3루수, 유격수, 외야수가 아닌 3루수, 2루수, 외야수를 소화할 수 있다.[13] 현실에서는 내야 전 포지션 소화 가능 선수이다.[14] 주 포지션은 2루수.[15] 이 선수의 소화 가능 포지션에는 유격수가 없으나, 기본 선발 라인업에는 6번 유격수로 등장한다.[16] 주 포지션은 유격수.[17] 2006년 주전 1번타자[18] 이 시점에서는 외야수 글러브를 내려놓은 전문 1루수로 보아야 하지만, 주 포지션이 외야수로 등록되어 있다. 아마 한국어판 출시 과정에서 포지션을 변경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 선수를 2006년 치바 롯데 마린즈 붙박이 3번 타자 좌투좌타 1루수인 후쿠우라 카즈야로 추정하는 것 이외에는 별 도리가 없다.[19] 1루수는 물론 3루수까지도 소화가 가능하지만, 서브 포지션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20] 실제로는 우완 언더핸드 투수다.[21] 1군 포수 출장 경력이 없지만 2군에서 포수로 기용된 적이 있다. 참고로 2006년 시즌에는 유격수보다는 3루수로서 더 많이 기용되었다.[22] 닛폰햄의 전설적인 선수이자 전성기에는 유격수였으나 만 39세 시즌인 2006년에는 1루수와 매우 드물게 외야수로 나왔다. 그러나 아예 외야수가 부업인 선수도 아니고, 전성기의 두 시즌은 외야수로 보냈다.[23] 현실에서는 2루수와 3루수도 소화가 가능하다.[24] 원래대로라면 약간 꺼무잡잡한 피부여어야 하나, 게임에서는 황색 피부에 뜬금없는 안경을 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