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토지(KBS)

덤프버전 : r (♥ 0)

[ 펼치기 · 접기 ]

1981
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흑).png[[파일:KBS 대하드라마 대명 로고.png
1982
파일:풍운 로고(흑).png[[파일:풍운 로고.png
1983
파일:개국 로고.png
개국
1984
파일:독립문 로고(흑).png[[파일:독립문 로고.png
1985
파일:새벽 로고(흑).png[[파일:새벽 로고.png
1986~1987
파일:노다지 로고(흑).png[[파일:노다지 로고.png
1987
파일:이화 로고(흑).png[[파일:이화 로고.png
1987~1989
파일:토지 로고(흑).png[[파일:토지 로고.png
1989~1990
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흑).png[[파일:역사는 흐른다 로고.png
1990
파일:여명의 그날 로고.png
여명의 그날
1991
파일:왕도 로고(흑).png[[파일:왕도 로고.png
1991~1992
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흑).png[[파일: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로고.png
1992~1993
파일:삼국기 로고.png
삼국기
1993~1994
파일:먼동 로고.png
먼동
1995
파일:김구 로고.png
김구
1995~1996
파일:찬란한 여명 로고.png
찬란한 여명
1996~1998
파일:용의 눈물 로고 신.png
용의 눈물
1998~2000
파일:왕과 비 로고.png
왕과 비
2000~2002
파일:태조 왕건 로고.png
태조 왕건
2002~2003
파일:제국의 아침 로고.png
제국의 아침
2003~2004
파일:무인시대 로고.png
무인시대
2004~2005
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흑).png[[파일:불멸의 이순신 로고.png
2006
파일:서울 1945 로고(흑).png[[파일:서울 1945 로고.png
2006~2007
파일:대조영 로고.png
대조영
2008
파일:대왕 세종 로고.png
대왕 세종
2009
파일:천추태후 로고.png
천추태후
2010~2011
파일:근초고왕 로고.png
근초고왕
2011~2012
파일:광개토태왕 로고(흑).png[[파일:광개토태왕 로고.png
2012~2013
파일:대왕의 꿈 로고.png
대왕의 꿈
2014
파일:정도전 로고(흑).png[[파일:정도전 로고.png
2015
파일:징비록 로고.png
징비록
2016
파일:장영실 로고(흑).png[[파일:장영실 로고.png
2021~2022
파일:태종 이방원 로고(B).png[[파일:태종 이방원 로고.png
2023~2024
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블랙.png[[파일:고려거란전쟁 로고 화이트.png
고려 거란 전쟁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파일:KBS 1TV 로고(1984-2018) 블랙.svg 대하드라마
파일:토지 로고.png (1987~1989)
토지 / Land
파일:external/mtour.hadong.go.kr/04_05_bimg02.gif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방송 시간토요일, 일요일 21:20 ~ 22:30
방송 기간1987년 10월 24일 ~ 1989년 8월 6일
방송 횟수103부작
장르대하사극
제작파일:KBS 로고(1984-2023).svg 자체제작
채널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연출주일청, 윤흥식, 윤영묵, 이녹영, 오동석, 정을영, 류시형
극본김하림, 김원석
원작박경리 저,
소설 《토지
출연이재은, 안연홍, 최수지, 정승규, 윤승원, 김수정, 전미선, 김희진, 반효정, 박원숙, 신구, 임동진, 연운경, 최성준, 박병호, 박용식, 김성겸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wavve 아이콘.svg
1. 개요
2. 특징
3. 구성
4. 등장인물
5. 여담



1. 개요[편집]


1987년부터 1989년까지 방영한 KBS 대하드라마. 8번째 대하드라마.

박경리 작가의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자 2번째 드라마화 작품이며, 당초 <노다지>의 후속으로 점찍혔으나 원작자 측이 성급한 제작 일정에 불만을 품으면서 1987년 하반기로 미뤄진 것이다.


2. 특징[편집]


당시 작가에게 지급된 원작료 1억원은 당시까지 최고 기록이었다. 1979~1980년까지 같은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가 3부까지 다루었다면, 이 때는 방송기간 중 원작자의 4부가 연재완료되었고, 방송도 4부까지 다루어졌다.

그리고 1979년판이 주간극으로 방영된 반면, 87년판은 주말에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로 편성된 거였다.

극본은 김하림이 1, 3, 4부를, 김원석이 2부를 각각 담당했으며, 연출은 주일청이 1부~4부 총지휘, 윤흥식, 윤영묵, 이녹영, 오동석, 정을영, 류시형 PD 등 총 10여명의 연출진이 기용되었다. 조연출은 공영화 및 이덕건 PD, 타이틀 음악 작/편곡은 방송음악의 대부 임택수, 음악감독은 서근식, 고증은 박정식, 타이틀 글씨는 창해 김창환(1921~1992)이 각각 맡았다.


3. 구성[편집]


1부 40회 (1987.10.24~1988.4.9)
2부 23회 (1988.4.16~1988.8.28)
3부 22회 (1988.10.16~1989.3.19)
4부 18회 (1989.4.2.~1989.8.6)
총 103회 방영.

종영 후 2016년 티비젠에서 일부 회차를 짧게나마 맛보기 식으로 공개했으나 사이트 폐쇄로 영상까지 사라졌다가, 2020년 3월 4일부터 유튜브 KBS 드라마 클래식 채널에서 유료로 서비스중이며, '같이삽시다' 채널에도 총집편이 올라왔다. 2021년 5월 3일에 KTV를 통해 방영되었으며 wavve에선 16:9 화면비로 서비스 중이다.

야외와 건물 내부는 필름으로 촬영했고, 14회부터 세트장은 VTR로 촬영했다. 단, 초반 1회부터 13회까지 전부 필름으로 촬영됐다. 지금 와서 고화질 TV로 보면 장면별로 질감이 달라져서 아쉬운 선택이다.


4. 등장인물[편집]




  • 최 참판댁 하인들


이용과 임이네 아들 이홍: 최성준
장녀 이임: 안문숙
장남 김거복(김두수): 백인철
차남 김한복: 선우재덕
김한복의 딸 김인호: 신은경
아들 정석: 장승화[1]
아들 김한경: 최석구
딸 점아기: 장영주
  • 문 의원: 이종만
  • 강봉기: 김하림 아내 두리네: 방숙례
  • 서금돌: 황민
  • 영산댁: 장미자
  • 붙들이: 이한위
  • 여치네: 이제신
  • 평사리 노인들: 고설봉, 김동완
  • 읍내장터 장수: 지계순

  • 지리산 동학 - 독립운동
    • 김개주: 오영갑
    • 우관: 박병호
    • 혜관: 박용식
    • 윤도집: 박웅
    • 운삼 선생: 김기진
    • 김강쇠: 고희준
    • 김짝쇠: 김유행



  • 서희네(진주)
    • 최환국: 김민종
    • 최윤국: 이만성
    • 이양현: 김다혜 86회부터
    • 이양현: ??? (유년기) 85회까지
    • 장연학: 임혁주 / 김동수(아역)
    • 유모: 신수강
    • 안자: 박지영

  • 서울
    • 임 역관: 이일웅
    • 임명빈: 미상 아내 백씨: 이미경
    • 임명희: 윤상미[2]
    • 임명희: 이경표[3]
    • 조찬하: 나한일
    • 조용하: 홍요섭
    • 황태수: 임병기
    • 서의돈: 안동열
    • 권오송: 이정웅
    • 강선혜: 허진
    • 선우신: 김경하
    • 선우일: 이병철
    • 홍성숙: 최화정

  • 진주
    • 이홍의 동지: 이원발
    • 송관수: 김성환 아내 영선네: 한경선
    • 송영선: 신윤정
    • 장이: 이주경
    • 숙이: 이주희
    • 나 형사: 황범식
    • 일본 순사: 유병준
    • 김두만 : 공경구
    • 쪼깐이: 장희수[4]
    • 박효영: 오영갑
    • 허정윤:
    • 기생어미 소화: 곽정희
    • 봉춘네: 안영주

  • 기타
    • 오 서방: 선동혁
    • 소지감: 최정훈
    • 하기서: 이문환
    • 안순이: 강민경
    • 숙이: 이주희
    • 오서방댁: 안해숙
    • 지에코: 김보미
    • 이도영: 서상익
    • 윤덕용
    • 이현두
    • 최창호
    • 양영준
    • 김수일
    • 유병준
    • 박해상
    • 김순구
    • 박시영
    • 전성기
    • 강은주
    • 신원균
    • 윤성옥
    • 김범기
    • 이향수
    • 김선덕
    • 노영화
    • 차양희
    • 김상훈
    • 오진수
    • 정승곤
    • 최경수
    • 권오균
    • 최용팔
    • 박건식
    • 정해창
    • 조양자
    • 김영순
    • 김민정
    • 온영삼
    • 안대용
    • 박승규[5]
    • 주희
    • 안옥희
    • 안정훈
    • 이한승
    • 송종원
    • 임영식
    • 신용규
    • 이용진
    • 이영수
    • 조동신
    • 송석호
    • 김선덕
    • 김수연
    • 강영아
    • 홍영미
    • 장이경
    • 이화영
    • 박연은
    • 윤지수
    • 서준영
    • 김경애
    • 남경희
    • 송미령
    • 박순
    • 김은희
    • 최길호
    • 이연정
    • 김만용
    • 이종민
    • 한태희
    • 이성수
    • 이민수
    • 김성환(1975년생)[6]
    • 조지환
    • 김자영
    • 김정국
    • 임수택
    • 안성택
    • 박용민
    • 김상환
    • 윤영민
    • 박지홍
    • 김현석
    • 황동섭
    • 장민성
    • 여학생: 장서희[7]


5. 여담[편집]


  • 1980년대 당시 비디오테이프 재활용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운 작품인데, 필름으로 제작하였다고 한다. 초기에는 실내까지 필름으로 찍었으나, 회차가 진행될수록 실내만 비디오카메라로 찍는 때도 있었다.


  • 원작과 달리 김평산이 처형되기 전에 함안댁이 먼저 자살하였다. 이는 SBS에서도 마찬가지였다.

  • 초반에 간난할멈 역으로 출연한 정애란은 전원일기의 김회장 어머니 역으로 방영 당시에 겹치기 출연하였다.


  • 당시 쌍라이트 형제로 유명한 김유행이 고희준의 동생이라는 설정으로 3부와 4부에 출연했었다.

  • 1인 다역배우
    • 오영갑: 김개주, 박효영 의원
    • 김영배: 평사리 농민, 하동읍내 상인, 용정 일본순사, 유인실을 고문한 형사
    • 유순철 배우: 하동읍내 대장장이, 독립운동가 강우규
    • 이원종: 이초시, 길상이 꿈의 신선
    • 원미원: 용정 월선옥 집주인, 진주 주막집 주인
    • 최석구: 젊은 김한경, 아들 김범석

  • 몇몇 배우들은 SBS판 토지에 다시 나오는데, 내력은 다음과 같다.

배우KBS판SBS판
이재은최서희(아역)봉순(기화)
신구공 노인문 의원
윤문식주갑서금돌
김지영이용의 어머니김 서방댁
맹호림갖바치임 역관
장희수쪼깐이강혜숙의 어머니
이원종이 초시김 서방
이일웅임 역관바우 할아범


[1] 태권도 국가대표 출신.[2] 당시 '곽애리' 명의로 활동.[3] 86회부터 임명희역 배우[4] 당시 '장순천' 명의로 활동.[5] 당시 '박태민' 명의로 활동.[6] 송관수 역의 배우와 동명이인. 1993년 KBS 공채 15기 탤런트로 뽑혔으나 1995년 교통사고로 반신불수 판정.[7] 86회 광주학생사건 묘사장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9 06:37:22에 나무위키 토지(KB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