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탐사기획 스트레이트/2018년 상반기

덤프버전 :

파일:MBC 시사_스트레이트.png
방영 목록
18-1 · 18-219-1 · 19-220-1 · 20-2
21-1 · 21-222-1 · 22-223-1 · 23-2
24-1 · 24-2



1. 개요[편집]


탐사기획 스트레이트의 2018년 상반기 방영 회차를 정리한 문서이다.

2. 방영 목록[편집]


회차방송일자주요 내용영상
12018.2.4* 강원랜드 수사 검사 "외압 있었다" 내부 고발 - 이정신, 양윤경
* 자원개발 해외 르포: 32조 원 쏟아부었는데... - 권희진, 고은상
* 이재용 승계 작업 문자에 드러난 삼성의 힘 - 곽동건
* 해외추적 '다스' "미 사법당국, MB아들 수사" - 나세웅
#
22018.3.4[1]* 삼성 문자 Part 1: "우리는 혈맹" 삼성-언론 유착 문자 공개[2] - 권희진, 곽동건
* 단독 입수! 론스타의 5조원 소송문건 - 양윤경
#
32018.3.11* 하베스트 Part 1: 하베스트 검은 고리 "랜드맨을 수사하라" - 권희진, 고은상
* 하베스트 인수 비용 4조 5천억원에 대한 캐나다 현지 추적
* 하베스트 인수에 대한 의혹 및 브로커의 실체 추적과 MB와의 수상한 관계
#
42018.3.25[3]* 하베스트 Part 2: 물98%, 석유2% "우물을 샀다" - 권희진, 고은상
* "물 98%" 하베스트, 유전인가 우물인가?[4]
* 론스타 사태의 주범, 대한민국 모피아 - 양윤경
#
52018.4.1* 삼성 문자 Part 2: 단독 공개! 삼성의 언론 관리 실태 - 권희진, 곽동건
* 삼성이 길들인 언론, 그 실상은?
#
62018.4.8* 세월호 Part 1: "세월호" 구조하지 않았다! - 이정신, 양윤경
* 교신기록으로 재구성한 구조 상황
* "구조방식, 완전히 잘못됐다!"
#
72018.4.15* 세월호 Part 2: 진실 규명을 막은 자들 - 이정신, 양윤경, 곽동건
* 참사 이후, 해경의 조직적 거짓말
* 검찰은 꼬리자르기 수사, 정부·여당은 특조위 방해
#
82018.4.22* 삼성-보수단체 커넥션 Part 1: 세월호 모욕 단체 삼성 돈 지원 - 권희진, 나세웅
* 극우단체의 잇단 세월호 모욕 폭식투쟁
* 폭식투쟁, 전경련이 자금줄…그 뒤엔 삼성이 있었다!
#
92018.5.6[5]* 삼성-보수단체 커넥션 Part 2: '그들' 뒤에 삼성이 있었다! - 권희진, 나세웅
* 어버이연합, 삼성이 후원했다
* 삼성, 보수단체와 정권의 연결고리
풀영상
하이라이트
102018.5.13* 사모님 특명: 밀수와 불법 채용 - 이정신, 양윤경
* 이스탄불 살구부터 시애틀 체리까지
* 국내 최초 인터뷰: 이명희 씨의 필리핀 가정부!
풀영상
하이라이트
112018.5.20* MB와 쿠르드 깡통 유전 - 전영우, 고은상
* 1조 5천억 투자, 66억 회수
* MB에게 직보된 유전개발 사업
풀영상
하이라이트
122018.5.27* 최초 발굴! 전두환과 은폐된 죽음 - 이정신, 양윤경
* 믿기 힘든 제보…사라진 탱크 1대
* 봉황새 1호 작전과 사라진 53명의 장병
풀영상
하이라이트
132018.6.3* 산자부의 10년 거짓말 - 전영우, 고은상
* “청와대 보고 뒤 정부가 구입 지시” 문건 단독 입수
* 네이버, 삼성만 나오면 왜? - 나세웅
* 왜 네이버 실검에선 ‘삼성’이 사라질까?
풀영상
하이라이트
142018.6.10* CNK 다이아몬드 게이트 - 권희진, 곽동건
* 외교부 발표 "전세계 1년 생산량 3배 광산 발견"
* 카메룬을 지원하라!
풀영상
하이라이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로 인해 결방 예정이라 첫 방송하자마자 3주간의 공백기가 생겼다. 주진우 기자와 김의성은 첫회 클로징으로 다음 방송일을 알리며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했다.[2] MBC 입장에서는 이 방송이 양심고백이자 자아비판이다.[3]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폐회식으로 인하여 1주 미뤄졌다.[4] 석유공사가 유전의 가치도 없는 워터컷(물함유량) 98%의 하베스트 유전을 알고도 인수했다.[5]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 특집 방송과 MBC충북의 뉴욕TV&필름 페스티벌 금상 수상작 방송으로 1주 미뤄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06:40:19에 나무위키 탐사기획 스트레이트/2018년 상반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