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킹 오브 스틸

덤프버전 :

파일:king-of-steel-frankie-dettori-qipco-champion-stakes-jtw-equine-images2-1024x653.jpg
이름King Of Steel
출생2020년 2월 6일 (4세) 파일:미국 국기.svg
성별수컷
털색회색(Gray)
아비우튼 바셋(Wootton Bassett)
어미엘다카(Eldacar)
외조부버글라스(Verglas)
생산자Bcf Services Llc
마주Amo Racing Limited
조교사David Loughnane (턴힐)
→ Roger Varian (뉴마켓)
성적8전 3승 (3-1-1-3)
7전 3승[유럽]
1전 0승[북미]
총상금1,396,812 영국 파운드
주요
우승
G1챔피언 스테이크스(2023)
G2킹 에드워드 7세 스테이크스(2023)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4. 여담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영국의 경주마.

2. 혈통[편집]


1대2대3대
우튼 바셋
Wootton Bassett
2008
파일:영국 국기.svg
이프라즈
Iffraaj
1994
파일:영국 국기.svg
자포닉
Zafonic
파스토랄
Pastorale
발라도니아
Balladonia
1996
파일:영국 국기.svg
프리모 도미니
Primo Domini
서스퀘한나 데이즈
Susquehanna Days
엘다카
Eldacar
2012
파일:영국 국기.svg
베르글라
Verglas
199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하이스트 아너
Highest Honor
라함
Rahham
세라시나
Seracina
2003
파일:영국 국기.svg
나스완
Nashwan
세라리아
Seralia
* 미스터 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5×5 6.25%
* 노던 댄서(Northern Dancer) 5×5 6.25%

3. 커리어[편집]


나가는 G1 경주마다 오귀스트 로댕을 만나 통 이기질 못하며 G1과는 연이 없는 커리어를 보내나 했지만[1] 챔피언 스테이크스에서 승리하며 염원하던 G1 타이틀을 손에 넣었다. 그 후 G1도 얻었겠다 다음은 로댕에게 복수를 할 차례라고 생각했는지 가혹한 스케줄에도 불구하고 브리더스컵 터프 출주를 선언했지만 본 경기에선 5착에 그치며 라이벌의 5번째 G1 승리를 뒤에서 지켜봐야 했다.

4. 여담[편집]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odds[2]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22년 (2세)
10.12노팅엄미승리잔디 1m ½f11/231착아담 커비(Nader King)
10.22동커스터버텀 퓨처리티 트로피G1잔디 1m12/177착Auguste Rodin
2023년 (2세)
6.3엡섬 다운즈더비 스테이크스G1잔디 1m 4f66/1132착케빈 스콧Auguste Rodin
6.23애스컷킹 에드워드 7세 스테이크스G2잔디 1m 4f11/1011착(Continuous)
7.29애스컷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G1잔디 1m 4f9/233착Hukum
9.9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레퍼즈타운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G1잔디 1m 2f100/3024착Auguste Rodin
10.21애스컷챔피언 스테이크스G1잔디 1m 2f3/111착프랭키 데토리(Via Sistina)
11.4파일:미국 국기.svg 산타 아니타브리더스컵 터프GI잔디 1½m5/145착Auguste Rodin

파일:champions_day_white_logo.svg 챔피언 스테이크스
(G1)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뉴마켓 경마장, 잔디 1m 2f
1877
스프링필드
1874
자네트
1879
레이언 도르
1880
로버트 더 데블
1881
벤드 오어
1882
트리스탄 · 테베동착
1883
트리스탄
1884
트리스탄 · 루체른동착
1885
패러독스
1886
오먼드
1887
벤디고
1888
프라이어즈 볼섬
1889
골드
1890
앰피온
1891
오리온
1892
1893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르 니샴
1894
라 플레시
1895
라베노
1896
래브라도
1897 · 1898
벨라스케스
1899
듀돈
1900
솔리테어
1901
오스보치
1902
벨레스
1903
셉터
1904
파일:성 패트릭.svg 배철러스 버튼
1905
프리티 폴리
1906
폴리멜루스
1907
갈바니
1908
랑그엠
1909
바야르도
1910 · 1911
렘버그
1913
트레이서리
1914
합스부르크
1915
렛 플라이
1916
클라리시무스
1917
게이 크루세이더
1918
마이 디어
1919
버컨
1920 · 1921
오르페우스
1922
프랭클린
1923
엘랑고언
1924
파로스
1925
피카룬
1926
워든 오브 더 마시스
1927
아스테루스
1928 · 1929
페어웨이
1930
러스텀 파샤
1931
고예스카스
1932
카메로니안
1933
다스터 · 섀털레인동착
1934
우미드워
1935 · 1936
위치우드 애벗
1937
플레어스
1938
록펠
1939
없음
1940 · 1941
히피우스
1942
빅 게임
1943
나스룰라
1944
하이실라
1945
코트 마셜
1946
허니웨이
1947
미골리
194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솔라 슬리퍼
194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제다
1950
피터 플라워
195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다이너마이터
1952
다이너마이터2연패
1953
네아룰라
195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내레이터
195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하피즈
1956
휴 루퍼스
195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즈 루아얄
195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벨라 파올라
1959
프티트 에투알
196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게리트 베르노
1961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보바르
196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크틱 스톰
1963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훌라 댄서
196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발드리크
1965
실리 시즌
196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피시스 오브 에이트
1967
리폼
196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서 아이버
196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플로지
1970
로렌자초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1971 · 1972
브리거디어 제라드
197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허리 해리엣
1974
자코메티
1975
로즈 볼
1976
비티주
197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플라잉 워터
1978
스위스 메이드
1979
파일:프랑스 국기.svg 노던 베이비
198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케언 루주
1981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이란
198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타임 차터
1983
코모런트 우드
198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팰리스 뮤직
1985
페블스
1986 · 1987
파일:프랑스 국기.svg 트립틱
1988
인디언 스키머
1989
리걸 케이스
1990
인 더 그루브
1991
파일:프랑스 국기.svg 텔 켈
1992
로드리고 데 트리아노
1993
파일:프랑스 국기.svg 하투프
1994
파일:프랑스 국기.svg 데르니에 앙프뢰르
1995
스펙트럼
1996
보스라 샴
1997
피우수트스키
1998 · 1999
알보라다
2000
칼라니시
2001
나예프
2002
스토밍 홈
2003
라크티
2004
하프드
2005
데이비드 주니어
2006
프라이드
2007
리테라토
200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뉴 어프로치
2009
트와이스 오버
2010
트와이스 오버
애스컷 경마장, 잔디 1m 2f
20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시뤼스 데 제글
2012
프랑켈
2013
파르
2014
노블 미션
201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패시네이팅 록
2016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만조르
애스컷 경마장, 잔디 1m 1f 212y
2017 · 2018
크랙스맨
20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매지컬
2020
어데이브
2021
파일:프랑스 국기.svg 실리웨이
2022
베이 브리지
2023
킹 오브 스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12:55:14에 나무위키 킹 오브 스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유럽] [북미] [1] 유일하게 선착한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도 3착에 그쳤다.[2]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