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로코의 농구/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쿠로코의 농구




1. TVA 1기: 쿠로코의 농구
1.1. 주제가
1.2. 회차 목록
1.3. 원작과의 차이점
2. TVA 2기: 쿠로코의 농구 2
2.1. 주제가
2.2. 회차 목록
2.3. 원작과의 차이점
3. TVA 3기: 쿠로코의 농구 3
3.1. 주제가
3.2. 회차 목록
8. BD&DVD
9. 해외판
10. 평가
11. 흥행
12. 수상
13. 사건 사고
14. 기타
15. 애니메이션 10주년 프로젝트
16. 관련 링크


1. TVA 1기: 쿠로코의 농구[편집]


쿠로코의 농구 (2012)
黒子のバスケ
파일:external/24.media.tumblr.com/tumblr_n5h99dzUoN1sh8ak0o6_r2_500.jpg
작품 정보 ▼

원작후지마키 타다토시
감독타다 슌스케
시리즈 구성타카기 노보루(高木 登)
캐릭터 디자인키쿠치 요코
총작화감독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
메인 애니메이터나카자와 카즈토
소품 설정이시카와 마리코(石川真理子)
미술 설정아오키 카오루(青木 薫)
킨죠 사아야(金城沙綾)
미술 감독미츠다 신야(三田慎也)
색채 설계사토 마유미(佐藤真由美)
촬영 감독아라이 에이지(荒井栄児)
CGI 디렉터이소베 켄지(磯部兼士)
편집우에마츠 준이치(植松淳一)
음향 감독미마 마사후미
음악나카니시 료스케(中西亮輔)
R・O・N
Alpha Eastman
프로듀서오오하라 유코(大原由子)
아소 카즈히로(麻生一宏)
나이토 케이(内藤 桂)
사쿠라이 유카(櫻井優香)
모리히로 후미(森廣扶美)
오오와다 토모유키(大和田智之)
코이데 신타로(小出慎太郎)
마루야마 히로오(丸山博雄)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쿠로키 루이(黒木 類)
애니메이션 제작Production I.G
제작쿠로코의 농구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12. 04. 08. ~ 2012. 09. 23.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MBS / (일) 01:5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금) 00:00
스트리밍애니플러스
Laftel
네이버 시리즈온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전25화 + OVA 1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주간 소년 점프에서 연재했던 <쿠로코의 농구>의 애니메이션. 감독은 1 ~ 3기 모두 타다 슌스케.

2011년 9월에 처음 애니메이션화 소식이 알려졌다. 정식 발표는 소년 점프 2011년 43호(10월 3일 발간). 제작사는 Production I.G, 시기는 2012년 4월 7일. 테레비도쿄의 최속방송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현 시점에서는 MBS의 애니메샤워 시간대를 활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TVA 성우진은 VOMIC과 달라졌다.

2011년 12월 28일 공식 홈페이지에 PV 영상이 공개 되었다. 기간 한정으로 공개하는 PV여서, 지금은 비공개 되어있다. 대신 30초 선전 CM을 볼 수 있다.#

애니메이션 공식 홈페이지에서 캐릭터의 트위터용 아이콘을 배포했다. 1차 배포였던 카가미쿠로코 아이콘은 배포 종료한 상태고, 이후 휴가, 키세, 미도리마의 아이콘을 배포했다. 그리고 팔로워 3만명 돌파 기념으로 8월 7일까지 아오미네 아이콘을 배포했다. 팔로워 5만명 돌파 기념으로 10월 7일까지 키요시테츠야 2호 아이콘을 배포했다. 그리고 방영 종영 기념 1탄으로 아이다모모이 아이콘을 11월 2일까지, 방영 종영 기념 2탄으로 이즈키타카오 아이콘을 11월 17일까지 배포했다.#

한국 애니플러스에서 방영 결정. 4월 12일부터 매주 한 화씩 방영되고 있으며 일본 현지에서 가장 빠른 방영일과는 약 4일정도 차이가 났다. 엔드 카드는 14화까지는 나오지 않다가 15화부터는 정상적으로 나왔다. 그 외 다른 것은 생략되지 않고, 광고 시간에 홈페이지에 공개된 것과 똑같은 CM도 틀어줬다.

2013년 2월, 4월부터 1기가 재방송이 결정되었다. TOKYO MX는 4월 2일 화요일 23시부터, BS11는 4월 19일 금요일 24시부터 방영된다.


1.1. 주제가[편집]



1.1.1. OP1[편집]


OP1
Can Do
TV ver.
Full ver.
노래GRANRODEO
작사타니야마 키쇼
작곡이이즈카 마사아키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나카자와 카즈토
연출
작화
작화감독키쿠치 요코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Can Do(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2. ED1[편집]


ED1
Start it right away
TV ver.
Full ver.
노래햐다인
작사마에야마다 켄이치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타가시라 시노부
연출
작화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1.1.3. OP2[편집]


OP2
RIMFIRE
TV ver.
Full ver.
노래GRANRODEO
작사타니야마 키쇼
작곡이이즈카 마사아키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키세 카즈치카
연출
작화
작화감독키쿠치 요코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RIMFIRE(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4. ED2[편집]


ED2
カタルリズム
TV ver.
Full ver.
노래OLDCODEX
작사YORKE.
작곡R・O・N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카메이 칸타
연출
작화감독키쿠치 요코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カタルリズ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1]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TVA
제1Q黒子はボクです
제가 쿠로코입니다
타카기 노보루
(高木 登)
니이도메 토시야
(新留俊哉)
타다 슌스케
니이도메 토시야
쿠보타 야스타카
(窪田康高)
키쿠치 요코日: 2012.04.08.
韓: 2012.04.12.
제2Q本気です
진심이에요
하야시 나오타카
(林 直孝)
이즈미 히로요
(いずみひろよ)
요시다 유코
日: 2012.04.15.
韓: 2012.04.19.
제3Q勝てねェぐらいがちょうどいい
이기지 못할 정도가 딱 좋아
이리에 신고
(入江信吾)
테라오카 이와오마츠자와 켄이치
(松澤建一)
타카하시 나리유키
(高橋成之)
日: 2012.04.22.
韓: 2012.04.26.
제4Q逆襲よろしく!
역습 잘 부탁해!
네모토 토시조
(根元歳三)
카메이 칸타코타니 쿄코
(小谷杏子)
니시하타 아유미
(西畑あゆみ)
오쿠다 요스케[A]
아키야마 카즈노리[A]
(秋山一則)
쿠보타 야스타카[A]
日: 2012.04.29.
韓: 2012.05.03.
제5Qおまえのバスケ
너의 농구
타카기 노보루타다 슌스케
코무라카타 코지
(小村方宏治)
코무라카타 코지모리타 후미
(森田 史)
日: 2012.05.06.
韓: 2012.05.10.
제6Q2つ言っておくぜ
두 가지만 말해두지
이리에 신고니이도메 토시야쿄고쿠 요시아키다이도우지 미호
(大導寺美穂)
세구치 이즈미
日: 2012.05.13.
韓: 2012.05.17.
제7Qすごいもん見れるわよ
굉장한 걸 볼 수 있어
네모토 토시조하야시 나오타카사쿠마 야스코
(佐久間康子)
미야가와 치에코
(宮川智恵子)
츠시마 케이
(津島 桂)
小馳那乃國広道
日: 2012.05.20.
韓: 2012.05.24.
제8Q改めて思いました
새삼스레 생각했어요
타카기 노보루사와이 코지마츠자와 켄이치타카하시 나리유키日: 2012.05.27.
韓: 2012.05.31.
제9Q勝つために
이기기 위해서
이리에 신고야마모토 야스타카이마자키 이츠키
(いまざきいつき)
나가야 유리코
(長屋侑利子)
오다 마코토
(織田 誠)
日: 2012.06.03.
韓: 2012.06.07.
제10Q困ります
곤란해서요
네모토 토시조쿄고쿠 요시아키쿄고쿠 요시아키
코무라카타 코지
쿠보타 야스타카
모리타 후미
日: 2012.06.17.
韓: 2012.06.21.
제11Qそんなもんじゃねえだろ
이 정도가 아니잖아
타니무라 다이시로
(谷村大四郎)
사와이 코지하야시 나오타카미야가와 치에코
코타니 쿄코
츠시마 케이
고토 타카유키
제12Q『勝利』ってなんですか
승리가 뭐죠?
이리에 신고코시바 준야
(小柴純弥)
무카이 마사히로카도 토모아키
(門 智昭)
日: 2012.06.24.
韓: 2012.06.28.
제13Q信じてました
믿었어요
네모토 토시조타다 슌스케아이즈 하지메
(合津 一)
카마다 히토시
(鎌田 均)
오자와 마도카
(小澤 円)
日: 2012.07.01.
韓: 2012.07.05.
제14Qそっくりだね
똑같아
타카기 노보루카메이 칸타다이도우지 미호
세구치 이즈미
키쿠치 요코日: 2012.07.08.
韓: 2012.07.12.
제15Q笑わせんなよ
웃기지 마
타니무라 다이시로코무라카타 코지이시이 아키하루
(石井明治)
日: 2012.07.15.
韓: 2012.07.19.
제16Qやろーか
해볼까
이리에 신고니이도메 토시야마츠자와 켄이치타바타 아키라
(田畑 昭)
사와다 조지
(澤田譲治)
핫토리 켄지
고토 타카유키日: 2012.07.22.
韓: 2012.07.26.
제17Qふざけた奴ばっかりだ
웃기는 녀석들뿐이군
네모토 토시조사와이 코지쿄고쿠 요시아키쿠보타 야스타카
나가시마 메이코
(永島明子)
이이야마 나호코
(飯山菜保子)
츠시마 케이
테즈카 쿄헤이[A]
日: 2012.07.29.
韓: 2012.08.02.
제18Q嫌だ!!
싫어!
히라바야시 사와코
(平林佐和子)
미즈모토 하즈키
(水本葉月)
이케다 시게타카
(池田重隆)
코마야 켄이치로
(駒屋健一郎)
사이토 미카
(斉藤美香)
핫토리 이치로
(服部一郎)
코타니 쿄코
세구치 이즈미
야마자키 테루히코
(山﨑輝彦)
이구치 마리코
(井口真理子)
테즈카 쿄헤이[A]
日: 2012.08.05.
韓: 2012.08.09.
제19Q新しい挑戦へ
새로운 도전을 향해서
타니무라 다이시로미나미 야스히로
(南 康宏)
카도 토모아키
(かどともあき)
日: 2012.08.19.
韓: 2012.08.23.
제20Qなりたいじゃねーよ
되고 싶다가 아니야
이리에 신고하야시 나오타카스즈키 타카토시
(鈴木孝聡)
미야가와 치에코
코노 마키
(河野真貴)
다이도우지 미호
제21Q始めるわよ
시작한다
네모토 토시조카와사키 이츠로카토 타카오나가야 유리코
이시이 아키하루
키쿠치 요코日: 2012.08.26.
韓: 2012.08.30.
제22Q死んでも勝つっスけど
죽어도 이길 거지만요
이리에 신고야마모토 히데요코무라카타 코지
하마나 타카유키
모리타 후미
시모츠마 히사코
(下妻日紗子)
미미우라 토모아키
(耳浦朋彰)
고토 타카유키日: 2012.09.02.
韓: 2012.09.06.
제23Q大人じゃねーよ!
어른이 아니거든!
네모토 토시조마츠자와 켄이치사와다 조지
타카하시 나리유키
야히로 유코
키쿠치 요코日: 2012.09.09.
韓: 2012.09.13.
제24Qカン違いしてんじゃねーよ
착각하지 마
타카기 노보루쿄고쿠 요시아키고토 타카유키
이시이 아키하루
쿠보타 야스타카
츠시마 케이
다이도우지 미호
이이야마 나호코
코노 마키
테즈카 쿄헤이[A]
고토 타카유키日: 2012.09.16.
韓: 2012.09.20.
제25Qオレとおまえのバスケ
나와 너의 농구
타다 슌스케
나카자와 카즈토
카와사키 이츠로
타다 슌스케키쿠치 요코
미야가와 치에코
코타니 쿄코
코노 마키
모리타 후미
코무라카타 코지
시모츠마 히사코
츠시마 케이
나카자와 카즈토[A]
테즈카 쿄헤이[A]
키쿠치 요코日: 2012.09.23.
韓: 2012.09.27.
OVA
제22.5QTip off히라바야시 사와코타다 슌스케코타니 쿄코
미야가와 치에코
츠시마 케이
키쿠치 요코日: -
韓: 2020.09.12.


1.3. 원작과의 차이점[편집]


  • 제 1Q
    • 원작에서는 1화에서 아직 제대로 등장하지 않았던 세이린의 2학년 선배들이 원작 오리지널 대사와 함께 등장. 이즈키의 썰렁개그의 비중이 늘었다! 원작에선 코가네이가 카가미에게 끌려오기 전엔 아이다가 입부지원을 받는 곳에 혼자 앉아있었으나 애니메이션에선 휴가가 처음부터 옆에 앉아있었다.
    • 아이다의 보는 것만으로도 신체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이 원작에서는 대상의 신체 위에 숫자와 그래프로 표시되던 것과 달리,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림으로 귀엽게 표시된다.
    • 쿠로코가 셔츠를 벗는 씬이 추가되었다!
    • 아이다가 단행본 13권 표지 그림에서 끼고 있던것과 똑같은 디자인의 헤드폰을 끼고 버스를 타고있는 모습이 나왔다!
    • 원작에서 개그씬으로 표현되던 장면들이 대부분 진지하게 나왔다. 예를 들면 아이다의 "셔츠를 벗도록!" 씬이나 쿠로코와 카가미가 1:1 농구를 하는 장면에서 카가미가 쿠로코가 너무 약해서 놀라는 부분.

  • 제 2Q
    • 원작 2Q~3Q의 내용.
    • 카가미가 아이다가 마시다 놀라서 뿜은 흰우유를 얼굴에 뒤집어쓰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아이다의 아버지인 카게토라가 2화부터 등장해서 대화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대화 내용에 단행본 12권의 세이린 2학년들이 1년 전 농구부를 처음 세웠을 때의 이야기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사복차림에 안경 쓴 아이다를 볼 수 있다.
    • 카가미와 쿠로코를 제외한 세이린 1학년 후보 캐릭터들이 똑같이 옥상에서 농구부 입부의 포부를 밝히고 각자의 풀네임이 나왔다. 각각 후리하타 코우키, 후쿠다 히로시, 카와하라 코우이치다. 원작에서는 성밖에 나오지 않으며, 카가미가 옥상에서 소리치자마자 바로 선생님에게 발각되어서 입부 테스트를 옥상에서 하지 못하고 부활동 시간에 운동장에서 했던 것으로 되어 있다.

  • 제 3Q
    • 원작 4Q~6Q의 내용.
    • 카이조 고등학교 선수들 역시 원작에서 초반에 제대로 나오지 않았던 것과는 달리 원작 오리지널 대사가 추가되었다.
    • 원작에서는 카가미가 카이조와의 연습시합에서 부순 바스켓 링을 손가락으로 돌렸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냥 들고 있다. 역시 손가락으로 돌리기엔 무리지...

  • 제 4Q
    • 원작 7Q~9Q의 내용.
    •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쿠로코가 키세에게 시합 중 맞아서 다치는 부분이 원작에서는 왼쪽 이마였는데 애니메이션에서는 오른쪽 이마로 바뀌었다.

  • 제 5Q
    • 원작 10Q~11Q의 내용.
    • 원작에서는 경기가 끝난 후 쿠로코가 우연히 스테이크 가게 앞을 지나던 키세와 마주치는 것으로 나오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키세가 가게 앞에서 일부러 쿠로코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으로 바뀌었다.

  • 제 6Q
    • 원작 12Q~14Q의 내용.
    • 한정판매 빵을 사는 과정에서 튕겨나간 카가미가 유창한 영어THIS IS JAPANESE LUNCH TIME RUSH!라고 외친다. 1학년 트리오가 한꺼번에 덤벼도 당해내지 못하자 관중 위에 후쿠다를 올라태워 인간 서핑을 시도. 원작에서는 그런 거 없다.
    • 이름이 이상한 외국인 선수 때문에 분위기가 오른 부원들이 이즈키의 다쟈레(お父さんの会社がお倒産)를 듣고 낄낄댄다. 이즈키의 말장난이 먹힌 건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일 듯.
    • 신쿄 고등학교와의 시합에서 쿠로코가 처음부터 스타팅 멤버로 나간다. 원작에서는 식스맨으로서 상황을 지켜본 다음에 나갈 생각이었는데, 파파 때문에 발끈하여 아이다에게 굳이 내보내 달라고 부탁한다는 점이 다르다.

  • 제 7Q
    • 원작 15Q~17Q의 내용.
    • 슛 성공률이 부진한 파파에게 신쿄 고등학교 감독이 은근 화내는 장면이 없어졌다.
    • 시합을 보러온 미도리마가 마네키네코를 들고 있으며 타카오와 돌아가는 씬이 삭제되었다. 단지 자기는 외국인 선수를 보러 왔을 뿐이라고 부끄러워하는 장면도 생략. 쿠로코가 럭키 아이템 곰인형을 주워주는 장면이 없다.

  • 제 8Q
    • 원작 18Q~20Q의 내용.
    • 인터하이 예선 5회전 경기가 생략되었다.
    • 테이코 중학교 회상 때 아카시가 정중체(…)로 말한다. 원작에서는 "너 정신 똑바로 차리고 안 햄마?"

  • 제 9Q
    • 원작 21Q~23Q의 내용.
    • 코가네이가 던진 공이 골대에 맞아 튕겨나오고 츠치다가 리바운드 해서 다시 코가네이에게 패스 → 이하 반복 플레이를 보인다.

  • 제 10Q
    • 원작 24Q~26Q의 내용.
    • 관중에서 나오던 상황 설명을 1학년이 대신 한다.

  • 제 11Q
    • 원작 27Q~29Q의 내용.
    • 슈토쿠 감독이 다리를 떨지 않는다. 이후 리듬감 있게 탭을 추는 NG도 컷.
    • 시합 전개의 순서가 조금씩 달라졌다. 카가미의 원맨 앨리웁 직후 미도리마의 프론트 코트 슛이 들어가지만 원작에서는 휴가가 3점 슛을 넣은 후에 들어간다. 타카오로 인해 일시적으로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에서도 쿠로코는 계속 코트에 나간다. 원작은 남은 시간 동안이라도 나가겠다고 아이다에게 부탁한다.
    • 이즈키가 르브론 제임스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NBA 선수가 멀리서 슛을 넣는 것을 봤다고만 한다. 아마도 이것.

  • 제 12Q
    • 원작 30Q~32Q의 내용.
    • 쿠로코가 주먹을 날리자 카가미의 몸이 벤치 뒤로 넘어간다. 원작에서는 그냥 고개를 돌아가는 정도. 뒤이어 카가미가 쿠로코의 얼굴에다 왼쪽 주먹으로 펀치를 먹이는데 원작은 오른쪽 주먹이다.

  • 제 13Q
    • 원작 33Q~35Q의 내용.
    • 심판의 타임 아웃 재스쳐가 다르다.
    • 키세가 아오미네를 가리켜 쿠로코의 이라고 하는 장면이 생략됐다.

  • 제 14Q
    • 원작 36Q~38Q의 내용.
    • 테츠야 2호 등장.
    • 시험 대비 에피소드가 짤렸다. 카가미의 바보력과 미도리마의 연필은 나오지 못했지만 모모이가 수영복으로 갈아입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카가미는 부상 때문에 물에 들어가지 못하고 벤치에 앉아있는데, 원작에서는 처음부터 농구 코트에 있다가 아오미네를 만난다. 쿠로코 강좌를 끝낸 아오미네가 모모이와 다시 합류하는 장면이 생략되었다.
    • 아오미네와 쿠로코가 호흡을 맞추는 경기 회상에서 아카시와 무라사키바라의 대사가 추가되었다.

  • 제 15Q
    • 원작 39Q~42Q의 내용.
    • 아오미네가 쿠로코에게 건네주는 막대 아이스크림이 실제 상표 가리가리 군모모타로를 합친 것으로 바뀌었다. 원작은 '가리가리 군'의 오마주 '고리고리 군'. 쿠로코가 아오미네의 옷 안으로 집어넣은 아이스크림이 순식간에 녹아 막대기만 남는다. 결과는 꽝.

  • 제 16Q
    • 원작 43Q~45Q의 내용.
    • 모모이가 세이린 선수들의 약점을 해설한다.

  • 제 17Q
    • 원작 46Q~48Q의 내용.
    • 아이다의 내레이션이 없어졌다.
    • 키세가 아오미네를 ㅅ치를 넣어서 부른다. 원작에서는 초기 때부터 이 시점까지 그냥 아오미네.

  • 제 18Q
    • 원작 49Q~51Q의 내용.
    • 아오미네의 어렸을 적 농구하는 모습을 모모이가 떠올리는데 원작에서는 어째서인지 미도리마가 회상한다.
    • 휴가가 슛을 넣을 때 1학년들이 두 손 모아 기도하는 장면이 추가.

  • 제 19Q
    • 원작 52Q~54Q의 내용.
    • 카가미에게 결별 플래그를 꽂힌 쿠로코가 이를 악 물며 주먹으로 벽을 치는 장면 삭제.
    • 시합 결과를 묻는 카사마츠에게 동문서답을 하다 까이던 키세가 애니에서는 공을 빼앗는다.
    • 의사가 어쩐지 타케다 선생을 닮았다(…)

  • 제 20Q
    • 원작 55Q~57Q의 내용.
    • 휴가가 자판기에서 키요시에게 줄 커피만 뽑지만 원작에서는 자기몫으로 콜라도 뽑아마신다.

  • 제 21Q
    • 원작 58Q~60Q의 내용.
    • 합숙 때 2호를 데려간다는 것에 쿠로코와 카가미가 말다툼하는 장면이 들어갔다.
    • 메뉴 시식회에서 아이다가 카레에 이어 냄비 요리를 만드는 것이 생략. 합숙 연습이 시작된 후 쿠로코가 지쳐서 모래밭에 엎드려 있는 장면이나 세이린 멤버가 아침밥을 먹느라 고생하는 씬이 없다. 슈토쿠 측의 분량도 대량 삭제되었다.
    • 음료수 셔틀을 마친 카가미가 그곳만 가린 모습(!)으로 목욕탕에 갔다가 입욕 시간이 지났다는 것을 알고 눈물을 흘린다.
    • 타케다 선생님이 평화로운 얼굴로 차를 마시는 씬이 추가되었다!

  • 제 22Q
    • 원작 61Q~63Q의 내용.
    • 아이다가 입고 있는 티셔츠 무늬가 다르다.
    • 슈토쿠 감독 나카타니가 세이린과의 합동 합숙을 끝내고 키요시에게 슈토쿠로 오라고 권유하는 부분이 없어졌다.

  • 제 23Q
    • 원작 64Q~66&67Q의 앞부분 내용.
    • 테이코 회상에서 키세와 같이 리프팅을 하던 학생이 얘가 정말 축구 초심자인지 의심하는 대사가 없어졌다. 원작에서는 거의 공중에서 돌려차기 하듯 골인시키던 키세가 평범하게(…) 지면에서 공을 차는 것으로 바뀌었다.
    • 레귤러 선수들이 앉아있던 철의자가 긴 벤치로 교체되었다.

  • 제 24Q
    • 원작 67Q~70Q의 내용.
    • 키세가 2호를 만난다.
    • 원작에서는 호루라기만 부르거나 몸의 극일부만 보이던 심판들의 움직임이 좀 더 구체화되었다.
    • 2학년들이 덥다고 하니 쿠로코가 음료수를 사오겠다고 하자 휴가가 아예 1학년 단체로 음료수 셔틀을 시키는 장면이 생략되었다. 우르르 다같이 자판기를 찾아나섰다가 쿠로코 혼자 떨어져서 키세와 마주치던 것도 2호에게 바깥 공기 쐬게 할 셈으로 나왔다가 먼저 말을 거는 것으로 바뀌었다. 응원하러 온 게 아니냐는 물음에 대답하는 말이 심플하게 YES!로 바뀌었다.
    • 여러 회상이 잘려나갔다. 하야카와가 처음 키세를 만났을 때 키세가 깔보는 듯한 말을 했던 것이나, 카이조가 세이린에게 지고 난 이후 연습량을 늘리는 모리야마나, 키세가 중학 시절 아오미네가 변모했던 때를 떠올리는 장면이 없다.
    • 키세가 아오미네의 속도까지 카피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를 설명하는 대사가 생략되었다.

  • 제 25Q
    • 원작 71Q~73Q의 내용.
    • 카사마츠가 완전히 다리에 힘이 풀려 일어서지 못하는 키세를 양 겨드랑이에 손을 넣어서 일으키는 장면이 들어갔다. 완력이 엄청난 듯.
    • 쿠로코가 무라사키바라와 마주치지 못하고 스쳐가는 이유가 원작과 다르다. 원래는 신발 끈을 매기 위해 고개를 숙였다가 그냥 지나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2호를 가방에서 꺼내주느라로 눈치 채지 못하는 걸로 바뀌었다. 마지막화 팬서비스인지 원래 나오지 않던 다른 기적의 세대 멤버가 얼굴을 비치는데, 미도리마는 변장을 하고 나와서 관전하고 있던 것을 타카오에게 들키며 아카시는 혼자 장기를 두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 쿠로코와 카가미가 딴길로 새서 야외 코트에서 농구를 하는 씬 추가. 마지막에 쿠로코가 패스하여 카가미가 덩크를 넣는 것으로 1기는 끝이 난다. (오리지널 엔딩.)


2. TVA 2기: 쿠로코의 농구 2[편집]


쿠로코의 농구 2 (2013~2014)
黒子のバスケ 2
파일:external/31.media.tumblr.com/tumblr_n5hos49jEX1sh8ak0o10_r1_500.png
작품 정보 ▼

원작후지마키 타다토시
감독타다 슌스케
시리즈 구성타카기 노보루(高木 登)
캐릭터 디자인키쿠치 요코
총 작화감독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
소품 설정이시카와 마리코(石川真理子)
오오타 케이코(太田恵子)
미술 설정킨죠 사아야(金城沙綾)
미술 감독스즈키 미치에(鈴木路恵)
색채 설계사토 마유미(佐藤真由美)
촬영 감독아라이 에이지(荒井栄児)
CGI 디렉터이소베 켄지(磯部兼士)
편집우에마츠 준이치(植松淳一)
음향 감독미마 마사후미
음악이케 요시히로(池 頼広)
프로듀서오오하라 유코(大原由子)
사쿠라이 유카(櫻井優香)
키타요시 히로키(北吉弘樹)
아소 카즈히로(麻生一宏)
모리히로 후미(森廣扶美)
마루야마 히로오(丸山博雄)
타카노 타카시(高野貴志)
오오와다 토모유키(大和田智之)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쿠로키 루이(黒木 類)
애니메이션 제작Production I.G
제작쿠로코의 농구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13. 10. 06. ~ 2014. 03. 30.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MBS / (일) 01:5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화) 22:00
스트리밍애니플러스
Laftel
네이버 시리즈온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전25화 + OVA 2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2월 28일에 발매된 '점프 넥스트 2013 WINTER'에서 애니메이션 2기 제작이 발표되었다. 홈페이지 메인에서 이에 대한 작가 코멘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작멤버 및 스탭은 모두 1기 때와 동일하게 간다. 2013년 10월부터 방영 시작으로 결정되었다.

2013년 7월 7일 2기 선행 PV가 유투브에 공개 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나오는 함성소리는 현장에서 보는 팬들의 함성.

2기 1쿨 OP도 GRANRODEO가 맡았으며, GRANRODEO의 보컬 타니야마 키쇼는 2기부터 출연한 히무로의 성우이기도 하다.


2.1. 주제가[편집]



2.1.1. OP1[편집]


OP1
The Other self
TV ver.
Full ver.
노래GRANRODEO
작사타니야마 키쇼
작곡이이즈카 마사아키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나카자와 카즈토
연출
작화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The Other self(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2. ED1[편집]


ED1
WALK
TV ver.
Full ver.
노래OLDCODEX
작사YORKE.
작곡카토 하지메(加藤 肇)
편곡OLDCODEX
카토 하지메(加藤 肇)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이시카와 마리코(石川真理子)
연출
원화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2.1.3. OP2[편집]


OP2
変幻自在のマジカルスター
TV ver.
Full ver.
노래GRANRODEO
작사타니야마 키쇼
작곡이이즈카 마사아키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타다 슌스케
연출
작화감독키쿠치 요코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変幻自在のマジカルスター(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1.4. ED2[편집]


ED2
FANTASTIC TUNE
TV ver.
Full ver.
노래오노 켄쇼
작사R・O・N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이시카와 마리코(石川真理子)
연출
원화
작화감독키쿠치 요코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2.2.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2]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TVA
제26Qこんな所で会うとはな
이런 데서 만날 줄이야
타카기 노보루
(高木 登)
쿄고쿠 요시아키고토 타카유키
쿠보타 야스타카
(窪田康高)
다이도우지 미호
(大導寺美穂)
日: 2013.10.06.
韓: 2013.10.08.
제27Qウィンターカップで
윈터컵에서
히라바야시 사와코
(平林佐和子)
니이도메 토시야
(新留俊哉)
스즈키 타카토시
(鈴木孝聡)
이리에 켄지
(入江健司)
日: 2013.10.13.
韓: 2013.10.15.
제28Q始動!!!
시동!!!
타니무라 다이시로
(谷村大四郎)
코무라카타 코지
(小村方宏治)
모리타 후미
(森田 史)
시모츠마 히사코
(下妻日紗子)
日: 2013.10.20.
韓: 2013.10.22.
제29Q答えはひとつに決まっている
답은 하나야
타카기 노보루테라오카 이와오하바라 쿠미코
(羽原久美子)
나가야 유리코
(長屋侑利子)
시라이 하루코
(白井瑶子)
日: 2013.10.27.
韓: 2013.10.29.
제30Q待ってたぜ
기다렸다
이리에 신고
(入江信吾)
쿠도 토시하루
(工藤利春)
미야가와 치에코
(宮川智恵子)
코타니 쿄코
(小谷杏子)
日: 2013.11.03.
韓: 2013.11.05.
제31Qとうの昔に超えている
오래 전에 넘어섰어
마츠자와 켄이치
(松澤建一)
타바타 아키라
(田畑 昭)
사와다 조지
(澤田譲治)
타카하시 나리유키
(高橋成之)
日: 2013.11.10.
韓: 2013.11.12.
제32Qあきらめろ
포기해
타니무라 다이시로사와이 코지논크레딧[3]세구치 이즈미다이도우지 미호
쿠보타 야스타카
日: 2013.11.17.
韓: 2013.11.19.
제33Q誠凛高校バスケ部だ!
세이린 고교 농구부다!
네모토 토시조
(根元歳三)
스즈키 타카토시이리에 켄지
와타나베 준
(渡辺 淳)
日: 2013.11.24.
韓: 2013.11.26.
제34Q必ず倒す!!
반드시 꺾겠다!!
이리에 신고쿄고쿠 요시아키코타니 쿄코
미야가와 치에코
코노 마키
(河野真貴)
모리타 후미
시모츠마 히사코
日: 2013.12.01.
韓: 2013.12.03.
제35Q信頼だ
신뢰다
히라바야시 사와코테라오카 이와오나가사와 츠요시
(長澤 剛)
나가야 유리코日: 2013.12.08.
韓: 2013.12.10.
제36Qふざけるな
웃기지 마
타니무라 다이시로니이도메 토시야이치하시 요시유키
(市橋佳之)
츠시마 케이
(津島 桂)
이이야마 나호코
(飯山菜保子)
후지시로 카나
(藤城香菜)
日: 2013.12.15.
韓: 2013.12.17.
제37Qよろしゅうたのむわ
잘 부탁해
네모토 토시조카메이 칸타세구치 이즈미이시이 아키하루
(石井明治)
日: 2013.12.22.
韓: 2013.12.24.
제38Q今度はもう絶対に
이번에는 절대로
타카기 노보루니이도메 토시야쿠도 토시하루다이도우지 미호
나가시마 메이코
(永島明子)
쿠보타 야스타카
日: 2014.01.05.
韓: 2014.01.07.
제39Qムダな努力だ
쓸데없는 노력이야
스즈키 타카토시이리에 켄지
와타나베 준
이시이 아키하루
세구치 이즈미
고토 타카유키
日: 2014.01.12.
韓: 2014.01.14.
제40Q嬉しくてしょうがないと思います
엄청나게 기쁠 거예요
쿄고쿠 요시아키타바타 아키라
타카하시 나리유키
사와다 조지
日: 2014.01.19.
韓: 2014.01.21.
제41Q今勝つんだ
지금 이길 거야
이리에 신고코무라카타 코지코무라카타 코지
이치하시 요시유키
모리타 후미
시모츠마 히사코
미미우라 토모아키
(耳浦朋彰)
日: 2014.01.26.
韓: 2014.01.28.
제42Q信じてますから
믿으니까요
타니무라 다이시로하마나 타카유키코마야 켄이치로
(駒屋健一郎)
코타니 쿄코
츠시마 케이
미야가와 치에코
다이도우지 미호
日: 2014.02.02.
韓: 2014.02.04.
제43Q負けるかよ
절대 안 져
타카기 노보루니이도메 토시야쿠도 토시하루이시이 아키하루
후지시로 카나
(藤代香菜)
세구치 이즈미
日: 2014.02.09.
韓: 2014.02.11.
제44Q教えてください
가르쳐 주세요
네모토 토시조히이로 유키나
(ひいろゆきな)
나가시마 메이코
이이야마 나호코
쿠보타 야스타카
日: 2014.02.16.
韓: 2014.02.18.
제45Q軽いものなはずないだろう
가벼울 리 없잖아
이리에 신고니이도메 토시야스즈키 타카토시이리에 켄지
와타나베 준
日: 2014.02.23.
韓: 2014.02.25.
제46Q初得点!!
첫 득점!!
타니무라 다이시로쿄고쿠 요시아키스노우치 유스케
(須之内祐典)
츠시마 케이
코티나 쿄코
미야가와 치에코
후지시로 카나
日: 2014.03.02.
韓: 2014.03.04.
제47Q決まってらあ
뻔하잖아
히라바야시 사와코쿄고쿠 요시아키
이치하시 요시유키
하마나 타카유키
이치하시 요시유키이시이 아키하루
다이도우지 미호
이이야마 나호코
야마구치 아스카
(山口飛鳥)
日: 2014.03.09.
韓: 2014.03.11.
제48Q負けたくない!
지고 싶지 않아!
네모토 토시조코무라카타 코지미미우라 토모아키
시모츠마 히사코
카쿠타 케이이치
(角田桂一)
모리타 후미
日: 2014.03.16.
韓: 2014.03.18.
제49Qもういいや
이제 됐어
타카기 노보루마츠자와 켄이치미야가와 치에코
츠시마 케이
나가시마 메이코
쿠보타 야스타카
후지시로 카나
日: 2014.03.23.
韓: 2014.03.25.
제50Q勝つ!
이기겠어!
쿄고쿠 요시아키키쿠치 요코
이시이 아키하루
코타니 쿄코
다이도우지 미호
이이야마 나호코
사사키 아츠코
(佐々木敦子)
日: 2014.03.30.
韓: 2014.04.01.
OVA
OVAバカじゃ勝てないのよ!
바보라서 못 이기는 거야!
이리에 켄지카와사키 이츠로쿄고쿠 요시아키츠시마 케이
이이야마 나호코
-
제41.5Qもう一回やりませんか
한 번 더 하실래요
히라바야시 사와코히이로 유키나
(日色如夏)
스노우치 유스케
히이로 유키나츠시마 케이
쿠보타 야스타카
다이도우지 미호
코타니 쿄코
후지시로 카나
고토 타카유키


2.3. 원작과의 차이점[편집]


  • 제 26Q[4]
    • 원작 75Q~77Q의 내용.
    • 원작 74Q는 2호를 주은 에피소드인데 애니메이션 14Q로 땡겨져서 방영됐다.
    • 카이조 고등학교의 선수를 설명하고 세이린 고등학교의 선수를 설명하는 원작에는 없는 오리지널 스타트.
    • 후리하타가 길거리 농구를 가자는 장면에서 참가하는 이유를 카가미에게 말하는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에선 아이다에게 말한다.
    • 카가미와 히무로의 회상장면에서 히무로의 컨디션 난조에 대해 알아채는 과정이 다르다. 원작에선 주변 말소리에 의해 알아채고 애니메이션에선 시합 중 언뜻 보인 팔꿈치의 붕대를 보고 알아챈다.

  • 제 27Q
    • 원작 78Q~80Q의 내용.
    • 무라사키바라가 난입해 요센 팀과 세이린 팀의 길거리 농구경기가 중단된 걸 스태프가 속개하라고 재촉하는 장면이 없어졌다.
    • 원작 80Q에 2학년이 훈련하는 장면과 모모이가 세이린 고등학교 체육관에 찾아오는 장면이 원작 78Q, 79Q 중간사이에 각각 껴서 나온다.
    • 모모이에게 아오미네가 인터하이 결승전에 참가하지 않는 이유를 물어보는 인물이 다르다. 원작에선 휴가가, 애니메이션에선 아이다가 물어본다.
    • 모모이를 바래다주는 쿠로코가 베니싱 드라이브를 보여주기 전 무라사키바라를 만났다는 말을 하지 않는다.

  • 제 28Q
    • 원작 81Q~83Q의 내용.
    • 카이조 고등학교의 연습장면이 잠깐 나온다. 그리고 아카시의 모습이 실루엣이 아니고 실제 얼굴이 나온다.
    • 이마요시가 1쿼터 초반에 등장하지 않고 경기 중반에 등장한다.
    • 키요시가 골을 넣는 장면이 훅 슛으로 처리된다. 원작에선 페이크 후 레이업.
    • 경기 종료 후 이마요시와 사쿠라이가 대화를 나누는 장소가 다르다. 원작에선 체육관 밖, 애니메이션에선 체육관 관중석.

  • 제 29Q
    • 원작 84Q~86Q의 내용.
    • 하나미야와 키요시가 만났을 때 무관의 오장을 설명하는 페이지에 5명을 전부 실루엣으로 표현한 원작과는 달리 애니메이션에선 키요시와 하나미야만 정상적인 모습으로 나왔고 나머지 3명은 실루엣으로 표현했다.
    • 세이린 고등학교와 슈토쿠 고등학교의 결승리그 2차전에서 키세가 경기초반에 관전하러 오는 모습이 추가됐다.

  • 제 30Q
    • 원작 87Q~89Q의 내용.
    • 미도리마가 페이크를 써서 카가미를 제치고 다시 슛모션에 들어갔을 때 카가미가 다시 뛰어오르지만 원작에선 카가미는 다리힘이 풀려 뛰지 못한다.
    • 쿠로코를 벤치로 돌려보내자는 키요시의 의견에 상심한 쿠로코에게 이즈키가 말장난을 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원작에서 관중들이 하는 말이 세이린 고등학교 벤치, 모모이, 키세에게 분배되어 나온다.

  • 제 31Q
    • 원작 90Q~92Q의 내용.
    • 애니메이션 30Q와 마찬가지로 관중들이 하는 말이 주요 캐릭터들에게 분배되어 나온다.

  • 제 32Q
    • 원작 93Q, 95Q, 96Q의 내용.
    • 키리사키 제1 고등학교의 경기 종료 후 세토 켄타로를 깨우는 장면이 없어졌다.
    • 세이린 고등학교 경기 종료 후 세이린 락커룸 이야기가 없어졌다.
    • 원작 94Q인 농구부 부실 청소 에피소드가 통으로 편집되어 없어졌다.
    • 원작 95Q에서 휴가의 과거 회상장면이 사진으로 시작하는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에선 경기 종료 후 돌아가는 중에 말해준다.
    • 아이다에게 농구부 매니저를 해줄 것을 권유하고 거절당한 후 농구부원들이 하교길에 하는 이야기가 패스트푸드 점으로 장소가 바뀌었다. 그리고 그 패스트푸드 점으로 찾아오는 원작과 달리 휴가가 패스트푸드 점에 들리지 않는다.
    • 아이다가 집에서 고민하고 있을 때 애니메이션에선 안경을 쓰고 있다. 원작에선 안경을 쓰지 않는다.

  • 제 33Q
    • 원작 97Q~99Q의 내용.
    • 아침 조례 시간에 아이다가 쪽지를 들고 있던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에선 맨손으로 나와있다.
    • 옥상에서 키요시가 펜스를 넘었던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에선 안 넘었다.
    • 옥상으로 제지하러 온 교사들이 한 말이 다르다. 원작에선 현실을 보라고 하고, 애니메이션에선 규칙도 안 지키는 녀석들이 어떻게 전국대회에 가냐고 핀잔한다.
    • 세이린 고등학교와 키리사키 제1 고등학교의 시합에서 하나미야가 교체투입되어 나온 경기 시간이 다르다. 원작에선 55초, 애니메이션에선 1분 53초.

  • 제 34Q
    • 원작 100Q~102Q의 내용.
    • 카이조 고등학교 농구부가 경기를 관람하러 온 장면이 추가되었다. 그에 따라 상황 중간중간에 카이조 고등학교 선수들이 말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 키리사키 제1 고등학교 데이터를 들고 있는게 코가네이가 아니고 미토베로 바뀌었다.
    • 경기장면 중 휴가의 무리한 플레이로 기세를 잡지 못하자 세이린 선수들끼리 다투는 장면이 나오고 카가미가 차징파울을 하는 장면이 추가됐다.

  • 제 35Q
    • 원작 103Q~105Q의 내용.
    • 초반에 아오미네가 토오 학원 농구부원들에게 화장실 간다고 알려주는 장면이 추가됐다.
    • 카가미가 하나미야의 도발에 락커룸 의자를 발로 찬 후에 카가미의 머리를 때리는 인물이 다르다. 원작에선 휴가, 애니메이션에선 아이다.
    • 4Q 시작 후 나온 쿠로코를 보고 토오 학원 농구부원들이 말하는 대사가 카이조 고등학교로 넘어갔다.
    • 쿠로코가 시합에 교체투입된 후 이즈키의 패스가 키요시에게 간다. 원작에선 휴가한테 패스가 간다.
    • 키요시의 한계를 눈치챈 아이다가 키요시를 교체할 때 미토베가 키요시에게 손을 내밀면서 태그하는 장면이 추가됐다.

  • 제 36Q
    • 원작 106Q~108Q의 내용.
    • 교체된 키요시가 원작에선 유니폼을 입고 있지만 애니메이션에선 트레이닝 복으로 갈아입었다.
    • 휴가의 과거회상 대신 카이조 고등학교 농구부원들이 상황설명을 한다. 그리고 중간에 하나미야가 휴가를 도발하는 장면이 추가되었으며 이때 과거회상 장면이 나온다.
    • 휴가의 역전 3점슛 대신 키요시와 아이다의 회상장면이 나온다. 그리고 역시 이 역전 3점슛 장면은 해당 화 후반에 나온다.
    • 경기 종료 후 기적의 세대들이 원작에 없는 연출로 잠깐 등장한다.


3. TVA 3기: 쿠로코의 농구 3[편집]


쿠로코의 농구 3 (2015)
黒子のバスケ 3
파일:쿠로코의농구_3기.jpg
작품 정보 ▼

원작후지마키 타다토시
감독타다 슌스케
시리즈 구성타카기 노보루(高木 登)
캐릭터 디자인키쿠치 요코
총 작화감독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
소품 설정이시카와 마리코(石川真理子)
오오타 케이코(太田恵子)
미술 설정킨죠 사아야(金城沙綾)
미술 감독스즈키 미치에(鈴木路恵)
색채 설계타케다 유카(竹田由香)
촬영 감독아라이 에이지(荒井栄児)
CGI 디렉터이소베 켄지(磯部兼士)
편집우에마츠 준이치(植松淳一)
음향 감독미마 마사후미
음악이케 요시히로(池 頼広)
프로듀서오오하라 유코(大原由子)
아소 카즈히로(麻生一宏)
타카노 타카시(高野貴志)
사쿠라이 유카(櫻井優香)
모리히로 후미(森廣扶美)
오오와다 토모유키(大和田智之)
요시카와 후토시(吉川 太)
마루야마 히로오(丸山博雄)
애니메이션 프로듀서이소베 마아야(磯部真彩)
쿠로키 루이(黒木 類)51~65화
애니메이션 제작Production I.G
제작쿠로코의 농구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15. 01. 11. ~ 2015. 07. 01.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MBS / (일) 02:5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월) 23:30
스트리밍애니플러스
Laftel
네이버 시리즈온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전25화 + OVA 1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014년 5월 26일, 잡지 플라잉겟을 통해 애니메이션 3기 제작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공식 홈페이지트위터 등에서 정식으로 공지되었다. 또한 방영시기가 2015년으로 확정됐다.

2015년 1월 10일 26시 58분, 즉 토요일에서 일요일로 넘어가는 새벽 2시 58분에 MBS에서 첫 방영하고 Tokyo MX에서는 1월 13일 화요일 밤 11시, BS11에서는 그 한 시간 뒤인 12시에 방영한다.


3.1. 주제가[편집]



3.1.1. OP1[편집]


OP1
Punky Funky Love
TV ver.
Full ver.
노래GRANRODEO
작사타니야마 키쇼
작곡이이즈카 마사아키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이시카와 마리코(石川真理子)
연출
원화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Punky Funky Love(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2. ED1[편집]


ED1
GLITTER DAYS
TV ver.
Full ver.
노래Fo'xTails
편곡
작사takao
작곡鳴風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테라오카 이와오
연출마츠자와 켄이치(松澤建一)
작화감독고토 타카유키
키쿠치 요코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3.1.3. OP2[편집]


OP2
ZERO
TV ver.
Full ver.
노래오노 켄쇼
작사R・O・N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시오타니 나오요시
연출
작화감독키쿠치 요코
이시이 아키하루(石井明治)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3.1.4. ED2[편집]


ED2
アンビバレンス
TV ver.
Full ver.
노래SCREEN mode
작사유(勇-YOU-)
작곡오오타 마사토모(太田雅友)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연출호리우치 타카시(堀内 隆)
원화후데사카 미오리(津坂美織)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3.1.5. OP3[편집]


OP3
メモリーズ
TV ver.
Full ver.
노래GRANRODEO
작사타니야마 키쇼
작곡이이즈카 마사아키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나카자와 카즈토
연출
원화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メモリーズ(GRANRODEO)(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6. ED3[편집]


ED3
Lantana
TV ver.
Full ver.
노래OLDCODEX
작사YORKE.
작곡카토 하지메(加藤 肇)
편곡OLDCODEX
카토 하지메(加藤 肇)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이시카와 마리코(石川真理子)
연출
원화
총 작화감독키쿠치 요코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Lantana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5]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TVA
제51Q全力でやってるだけなんで
전력을 다할 뿐이에요
타카기 노보루
(高木 登)
코무라카타 코지
(小村方宏治)
모리타 후미
(森田 史)
시모츠마 히사코
(下妻日紗子)
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
日: 2015.01.11.
韓: 2015.01.12.
제52Qオレのもんだ
내 거야
이리에 신고
(入江信吾)
마츠자와 켄이치
(松澤建一)
다이도우지 미호
(大導寺美穂)
미야가와 치에코
(宮川智恵子)
日: 2015.01.18.
韓: 2015.01.19.
제53Qジャマすんじゃねーよ
방해하지 마
타니무라 다이시로
(谷村大四郎)
히이로 유키나
(ひいろゆきな)
쿠보타 야스타카
(窪田康高)
코노 마키
(河野真貴)
日: 2015.01.25.
韓: 2015.01.26.
제54Qもらっとくわ
받아 둘게
타카기 노보루쿄고쿠 요시아키히라타 유타카
(平田 豊)
엔도 다이스케
(遠藤大輔)
日: 2015.02.01.
韓: 2015.02.02.
제55Qオレは知らない
나는 몰라
이리에 신고스노우치 유스케
(須之内祐典)
코타니 쿄코
(小谷杏子)
츠시마 케이
(津島 桂)
日: 2015.02.08.
韓: 2015.02.09.
제56Q差し出そう
바치겠어
타니무라 다이시로쿄고쿠 요시아키다이도우지 미호
미야가와 치에코
코노 마키
이시다 케이이치[A]
(石田慶一)
日: 2015.02.15.
韓: 2015.02.16.
제57Q笑っちゃいますね
웃음이 나오네요
히라바야시 사와코
(平林佐和子)
마츠자와 켄이치카타기리 타카히사
(片桐貴悠)
미미우라 토모아키
(耳浦朋彰)
츠시마 케이
고토 타카유키日: 2015.02.22.
韓: 2015.02.23.
제58Q真の光
진짜 빛
이리에 신고코무라카타 코지니이노 료타
(新野量太)
모리타 후미
시모츠마 히사코
日: 2015.03.01.
韓: 2015.03.02.
제59Qナメんじゃねぇ!!
얕보지 마!!
타니무라 다이시로스노우치 유스케코타니 쿄코
후지시로 카나
(藤代香菜)
日: 2015.03.08.
韓: 2015.03.09.
제60Q勝つために
이기기 위해
히라바야시 사와코히이로 유키나쿠보타 야스타카
카타기리 타카히사
사이토 미카
(斉藤美香)
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
日: 2015.03.15.
韓: 2015.03.16.
제61Q今度こそ
이번에야말로
이리에 신고테라오카 이와오코다카 요시키
(小高義規)
사토 아키코
(佐藤秋子)
고토 타카유키日: 2015.03.22.
韓: 2015.03.23.
제62Q最高の選手です
최고의 선수예요
타카기 노보루쿄고쿠 요시아키이시이 아키하루
(石井明治)
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
日: 2015.03.29.
韓: 2015.03.30.
제63Q青い空の日
푸른 하늘의 날
타다 슌스케이이야마 나호코
(飯山菜保子)
다이도우지 미호
키쿠치 요코日: 2015.04.05.
韓: 2015.04.06.
제64Q…ワリィ
미안...
히이로 유키나야마구치 아스카
(山口飛鳥)
日: 2015.04.12.
韓: 2015.04.13.
제65Q僕らはもう
우리는 이제
코무라카타 코지니이노 료타
시모츠마 히사코
타카하시 야스코
(高橋靖子)
日: 2015.04.19.
韓: 2015.04.20.
제66Q勝利ってなんですか?
승리란 뭐죠?
스노우치 유스케모리타 후미
코노 마키
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
日: 2015.04.26.
韓: 2015.04.27.
제67Q決勝戦試合開始(ファイナルティップオフ!!
파이널 팁오프!!
타니무라 다이시로카와사키 이츠로히라타 유타카야마시타 요시미츠
(山下喜光)
엔도 다이스케
日: 2015.05.03.
韓: 2015.05.04.
제68Q最高じゃねーの?
최고잖아?
히라바야시 사와코마츠자와 켄이치미야가와 치에코
츠시마 케이
모리타 후미
고토 타카유키日: 2015.05.10.
韓: 2015.05.11.
제69Q奇跡は起きない
기적은 일어나지 않아
타니무라 다이시로마츠자와 켄이치이토가 신타로
(いとがしんたろー)
야마구치 아스카
타바타 아키라
(田畑 昭)
日: 2015.05.17.
韓: 2015.05.18.
제70Q覚悟の重さ
각오의 무게
히라바야시 사와코쿠로카와 토모유키
(黒川智之)
쿄고쿠 요시아키코타니 쿄코
후지시로 카나
다이도우지 미호
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
日: 2015.05.24.
韓: 2015.05.25.
제71Qこれでも必死だよ
이래 봬도 필사적이야
타니무라 다이시로하마나 타카유키
카와사키 이츠로
스노우치 유스케쿠보타 야스타카
미야가와 치에코
츠시마 케이
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日: 2015.05.31.
韓: 2015.06.01.
제72Q忠告だ
충고다
히라바야시 사와코테라오카 이와오이토가 신타로야마구치 아스카日: 2015.06.07.
韓: 2015.06.08.
제73Q諦めませんか
포기하실래요
타니무라 다이시로쿄고쿠 요시아키카타기리 타카히사
모리타 후미
코노 마키
키쿠치 요코
고토 타카유키
日: 2015.06.14.
韓: 2015.06.15.
제74Qお前だったんじゃねーか
너였잖아
타카기 노보루마츠자와 켄이치이시이 아키하루日: 2015.06.21.
韓: 2015.06.22.
제75Q何度でも
몇 번이라도
코무라카타 코지니이노 료타
타카하시 야스코
다이도우지 미호
모리타 후미
日: 2015.07.01.
韓:
OVA
제75.5Q最高のプレゼントです
최고의 선물이에요
이리에 신고카메이 칸타스노우치 유스케후지시로 카나
코타니 쿄코
키쿠치 요코-


4. 극장판[편집]


2015년 9월 20일, KUROBAS CUP 2015에서 쿠로코의 농구 극장판 제작 결정이 발표되었다. #

자세한 건 극장판 쿠로코의 농구 라스트 게임 문서 참고.


5. 캐릭터송[편집]


쿠로코의 농구/캐릭터송 참조


6. 엔드 카드[편집]


쿠로코의 농구/애니메이션/엔드 카드 문서 참고.

원작에서도 언동이 다소 묘했던 키세였는데, 4화 엔드카드의 패기로 결국 게이 의혹이 불거졌다(…) 지못미.


7. 엔딩 일러스트[편집]


쿠로코의 농구/애니메이션/엔딩 일러스트 문서 참고.


8. BD&DVD[편집]


  • 발매일
    • 1권 발매일 - 2012. 7. 27. 1화 & 2화 수록.

  • 초회한정판 특전
    • 스페셜 DVD(방송직전 특별 방송, 제작발표회 영상 수록)
    • 엔드 카드 일러스트(2종)

  • 영상특전
    • 쿠로코의 농구 NG 모음 - 원작 단행본에서 매 화 끝에 수록되었던 NG 개그컷을 애니메이션 버전으로 수록.

  • 2권 이후는 8월부터 매월 1권씩 발매, 권당 3화씩 수록.

  • 7권에 과거 모델 일에만 전념하던 키세의 이야기 TIP OFF(22.5Q)가 수록되었다.


9. 해외판[편집]


애니플러스에서 판권을 얻어 자막 방영을 했기 때문에 한국어 더빙 방영은 되지 않았다.

  • 중국어판 제목은 影子籃球員, 직역하면 '그림자 농구선수' 정도. 2012년 7월 7일부터 매주 토요일에 방영되었는데, 중국 더빙 애니메이션이 흔히 그렇지만 일본 현지 방영과 시기적으로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이 크리티컬이었는지 매우 급하게 대충 제작한 티를 보여주었다. 오프닝과 엔딩 영상을 일본어로 그대로 남겨놓는 것은 기본에, 본편의 일본어 간판도 수정하지 않았는데 심지어 자막도 안 나올 때가 많았고, 예고편에서 일본 성우 목소리를 그대로 내보낸다든지 성의 없음의 극치를 보여줬다.

성우 더빙은 중국 현지에서도 크게 특출나지도 망치지도 않고 평범하다는 반응이 대다수. 카가미와 키세가 특히 잘 됐다는 평가다. 주인공인 쿠로코는 원판과 이미지가 상당히 다르고 일본 애니메이션 성우에 익숙한 시청자들은 어색함을 많이 느꼈던 듯. 어색하다는 반응과 색다르고 잘 어울린다는 반응으로 호불호가 크게 나뉘었다.

  • 필리핀 더빙의 경우 카가미와 쿠로코의 더빙은 일본 성우들이 한 것 같을 정도.

  • 북미에서는 애니메이션이 일본과 동시 방영이 되진 않았지만 Bang Zoom!을 통해 2021년 1월부터 더빙되어 방영되기 시작하였다.출처 2021년 9월 24일 기준으로 3기까지 더빙 완료되었다고 한다. 넷플릭스에서 시청가능하다. 한국에서는 일본어음성, 자막판만 볼 수 있고, 북미판 음성판을 시청하려면 미국에 거주해야 한다. VPN으로 우회해서 보는 방법도 있다.


10. 평가[편집]


  • 작화에 대해서 말이 많은데 저예산이라는 것 때문인지 시간이 촉박해서 그런거지는 모르겠지만, 작붕이 대단히 많았다. 역대 스포츠물 중 경이로운 작붕으로도 유명하다. 정지화 상태에서는 괜찮은데, 움직이기 시작하면 작붕이 많이 보인다. 작붕대장쿠로코 다행이 DVD 판매할 때는 작붕은 거진 수정해서 발매되었다. 물론 2기부터는 작붕이 많이 사라진 편이며 애초에 저예산 + 농구라는 장르가 애니로 만들기 어려웠다는 점에서 성의는 있었던 편이다.

  • 1기에는 저예산이라서 그런지 1기에는 24화 및 25화의 액션 작화를 제외하고는 그다지 평가가 높지 않았다.

  • 슬램덩크조차 감당하지 못했던 농구 액션 신의 작화는 베테랑 애니메이터 나카자와 카즈토가 그려내서 잘 살려내었으며 나카자와 카즈토는 3기까지 계속 참여하였다.
비단 나카자와 카즈토 뿐만 아니라 아이실드 21 애니메이션에서 액션 원화에 참여한 이시다 케이이치등이 참여하였는지, 일상적인 신에서는 동화를 최소한으로 사용하지만 농구나 움직임이 많은 신에서 힘을 준 장면은 캐릭터가 잘 움직인다. sakugabooru 참조
쿠로코의 농구 액션 작화 모음 ||
원작 만화에서 비판받았던 농구 묘사에 대해서도 보강이 이루어졌는데 농구 선수 하승진의 평으로는 양념을 쳐서 그렇지 의외로 현실적인 묘사가 많고 잘 만들었다고 한다. # 다만, 다른 리뷰영상에서는 판타지라고 말했다.


  • 1기에서는 24~25화의 토오 및 카이조 경기의 액션 작화를 제외하면 작화적으로 그렇게 높지 않았지만, 1기 판매량 이후에는 제작위원회에서 돈을 더 투자했는지, 오프닝 영상 작화 상승이 티날 정도로 작화의 질이 상승하였다. 1기 중간마다 그로스하청으로 몇몇 에피소드를 하청회사에 일임하는 화수가 있었다.

  • 원작 만화의 건조함을 좋아하는 팬들에게 있어, 애니판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성격이 애니판을 보는 시청자를 위해 의도적으로 부정적인 면모를 삭제하거나 모에하게 만들어진 느낌이 있다는 말이 많다. 특히, 키세 료타가 그 경우에 해당된다고. 작가도 이를 느꼈는지 애니판 키세는 원작과는 좀 다르다고 인터뷰에서 말한 적이 있다.
또한 기적의 세대를 조연 캐릭터로 밀고 있는지 111:11의 점수맞추기 놀이 등에서 원작에 비해 부정적인 묘사 등은 생략되었다.


11. 흥행[편집]


  • 2012년 7월 27일 발매된 BD/DVD 1권은 첫주차에 합계 12,610장이 팔려 2012년 4월 신작 애니메이션 중에서 가장 높은 1권 판매량을 기록했다. 3주차에 19,156장 판매로 2만 장 라인 입성이 확실해짐에 따라 연간 판매량 베스트 권역에 진입할 수 있을 거라는 전망이었으며 4주차가 되어 합계 20,524장을 판매해 2만장 라인에 진입했다. # 블리치, 데스노트, 은혼의 애니메이션 이후로 소년 점프 원작 애니메이션으로서 많이 팔린 것이다. 단행본 판매량도 폭풍 상승. 마이너였던 원작을 메이저 작품으로 올려놓았다.

  • 소년 점프 계열 스포츠물 중 최초로 분할 6쿨로 방영되어 30권에 해당되는 원작 만화의 내용을 완결까지 75화라는 많은 에피소드[6] 안에 높은 퀄리티의 영상으로 시청자와 팬을 모으고, 소년 점프 연재작 중 스포츠물에서는 하이큐!!와 더불어 가장 성공적인 애니화로 평가받고 있다. 쿠로코의 농구 이전 애니메이션화 된 아이실드 21이나 쿠로코의 농구 이후에 애니화된 히노마루 스모가 애니화로 인지도는 올라갔고, 판매량 버프를 받았지만, 애니메이션 제작회사는 수익을 그다지 받지 못했는데, 쿠로코의 농구는 애니메이션화를 통해 인지도와 원작 만화 단행본 판매량도 올리고, 애니메이션 자체의 광매체 판매량도 많이 팔린 만화원작이나 애니제작사나 서로 윈윈(win-win)하는 흔치않은 관계라는 점에서 특수하다. 닛케이 엔터테인먼트 페이지에 따르면 1기 애니메이션 패키지 판매량은 30만장이라고 한다.#

  • 2쿨마다 25화라는 일정한 템포로 방송과 방송 사이에 제작 기간을 넣고, 원작 만화 마지막까지 애니화가 된 몇 안 된 소년 점프 본지 연재작 중 하나다. 2010년 이후부터는 1쿨을 만들고 수익이 없다고 판단되면, 소년 점프 모기업인 집영사가 참여하는 제작위원회에서 애니 제작을 끊어버리는데, 수익이 되니까 원작 마지막까지 애니화가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다. 제작위원회에서 밀어주는 애니메이션이라서 그런지, 애니메이션 화수에 원작의 모든 요소를 집어넣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애니메이션만으로 내용을 아예 이해하지 못할 정도의 완성도는 아니라는 평이다.

  • 애니메이션은 극장판 까지 완결되었지만 21년차까지 트위터나 공식 홈페이지가 굿즈 판매등으로 갱신되고 있다. 팔로우 수가 30만이 넘는데 그만큼 콘크리트 팬덤이 있다는 증거가 되겠다.


12. 수상[편집]




13. 사건 사고[편집]


하이큐 1기의 작화 감독이었던 '쿠로이와 유미'가 하이큐!!의 수위 높은 그림(BL이라든가 츠키시마 케이의 하반신 누드라든가)을 공식 그림체로 그려 자신의 개인 트위터 계정에 투고하고 같은 제작사의 쿠로코의 농구를 제작하기 싫다, 특정 캐릭터가 싫다라는 등 공과 사를 구분 못하고, 프로의식을 결여한 발언을 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 이후 Production I.G에서 더 이상 외주를 주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Production I.G.의 공지글.[7]

이 일 때문인지 작화감독이자 이사진인 고토 타카유키가 임원으로서의 책임을 명확하게 하기위해 12월 지급분 부터 3개월간 임원 보수를 10 % 반납하게 되었다고 한다.


14. 기타[편집]


  • 애니메이션에서 성우 캐스팅이 주인공 콤비인 쿠로코와 카가미가 각각 오노 켄쇼오노 유우키로 캐스팅 되고, 미도리마 역에 오노 다이스케까지 캐스팅되어 주역급에 오노(小野)라는 성을 가진 성우만 세 명이 캐스팅되어 '오노의 농구(小野のバスケ)'라는 우스개 소리도 생겼다.[8][9]

  • 주옥같은 성우캐스팅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기적의 세대 성우진은 초호화 수준.[10] 성우때문에 보기 시작해서 입덕한 팬들도 많다.

  • 20화부터 처음 시작할 때 나오는 테이코 중학교 기적의 세대와 환상의 식스맨에 대한 나레이션이 나오지 않는다. "나는 이제 테이코 중학교의 식스맨 쿠로코 테츠야가 아니에요. 세이린 고교 1학년 쿠로코 테츠야에요."라는 쿠로코의 대사를 반영한 것.

  • 25화에서는 엔드 카드 대신 윈터컵편 분량에 해당하는 영상이 공개되었다. 윈터컵 결승 리그인 세이린VS슈토쿠, 세이린VS키리사키, 그리고 본선인 세이린VS토오와 세이린VS요센 전. BD/DVD의 판매량를 봐선 이미 이 단계에서 2기 제작이 기획중이었던 모양.

  • 하청을 한국 회사[11]에도 주고 있다.

  • 쿠로코의 농구 애니 완결 이후 감독인 타다 슌스케를 비롯한 성우를 비롯한 상당한 수의 쿠로코의 농구 스태프진은 같은 제작사인 IG의 작품인 은하영웅전설 DNT로 그대로 유지되어 이어진다.

  • 여담이지만, 현시연 2기 애니 제작회사가 같은지, 동인지 표지에서 짤막하게 등장한다.# 다만, 저작권적으로 위험한 것인지 머리색은 바꾸고 등장했다...


15. 애니메이션 10주년 프로젝트[편집]


주인공 쿠로코 테츠야의 생일에 맞춰서 10주년 프로젝트 시동을 공식 트위터에서 발표했다.

2012년 4월의 방송 개시부터 애니메이션 「쿠로코의 농구」는 마침내 10주년을 맞이합니다! 거기서 올해 4월부터의 1년간을 애니버서리 이어로서, 쿠로코들과 여러분과 함께 고조되는 다양한 기획을 준비중입니다! 오늘은 그 기획의 일부를 발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쿠로코의 농구 첫 애니 원화전 개최

2. 애니메이션 전시회 개최

3. 쿠로코의 농구 첫 공식스토어 오픈

4. 애니메이션 10주년 기념 애니버서리송 제작결정

5. 신규 애니메이션 영상이 담긴 애니버서리송 뮤직비디오 제작결정

6. 난쟈타운에서 이벤트 개최

7. 전국 오락시설 남코에서 한정 뽑기상품 출시

-

출처 : 애니메 쿠로코의 농구 트위터 2022년 1월 31일에서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완결되고도 굿즈 전개를 하고, 2022년까지 그러한 굿즈를 제작해서 잘 팔리고, 공식 트위터가 계속 갱신되고 병아리 모양의 캐릭터 일러스트가 간간히 트위터에서 올라오면서 무언가 좋은 일이 있을 거야.라는 대사와 병아리 캐릭터 그림자에 영어로 10 years anniversary라는 단어가 있어서 어떤 프로젝트 발표 기념인 것을 예상하는 사람이 많았다.


16. 관련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1:55:20에 나무위키 쿠로코의 농구/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A] A B C D E F G H I 액션[2]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 세구치 이즈미 말로는 사와이 코지가 콘티를 하고 자신은 연출만 했는데 실수로 사와이 이름이 빠지고 자기가 다 한 걸로 되었다고 한다.[4] 2기의 첫번째 화. 실제로 애니메이션에서 1Q가 아닌 26Q를 표기하고 있다.[5]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6] 2010년 이후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타이틀 중 75화가 넘는 시리즈 및 원작 내용 마지막화까지 애니화되는 것은 손에 꼽는다.[7] 다만 이후에도 히프노시스 마이크, 페그오 CM 등 다른 작품에 참여하는 것을 보면, I.G와 연을 끊은 것 뿐이지 작화감독으로 애니메이터일을 통해 먹고사는 듯하다. 사실 작화감독이라는 직책까지 올라온 것을 보면 대단한 실력파이다. 수많은 애니메이터 중에 작화감독까지 올라간 것은 엄청난 실력자라는 의미라서.[8] 다른 성우들도 이 점에 재미있는지 현장에서 '오노군' 또는 '오노상'으로 통일한다고. 쿠로코의 농구 방송위원회에서 이즈키 역의 노지마 히로후미는 세 명의 오노를 똑같이 '오노군'으로 부르는데, 누구를 대상으로 하냐에 따라 뉘앙스가 다르다고 언급했다.[9] 그리고 이 셋은 각각 죠죠의 기묘한 모험 3,4,5부의 을 맡아 오노의 기묘한 모험이라고도 불린다(…)[10] 작중 등장한 순서대로 키무라 료헤이, 오노 다이스케, 스와베 쥰이치, 스즈무라 켄이치, 카미야 히로시.[11] WHITE LINE.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하청을 맡고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