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최근 편집일시 : (♥ 1)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KDL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던 도타 2의 공식 대회에 대한 내용은 코리아 도타 2 리그 문서
코리아 도타 2 리그번 문단을
코리아 도타 2 리그# 부분을
, 대한민국 자동차 운전면허(Korean Driver's License)에 대한 내용은 운전면허증 문서
운전면허증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운전면허증#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카트리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2년까지 운영되었던 전작 대회에 대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리그 문서
카트라이더 리그번 문단을
카트라이더 리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최근에 진행되었던 리그에 대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문서
{{{#!html </div>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번 문단을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3년 10월 7일 개최 예정인 리그에 대한 내용은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문서
{{{#!html </div>의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번 문단을
2023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파일:KDL logo.png파일:KDL logo light.png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KARTRIDER: DRIFT LEAGUE
약칭KDL
창설2023년 10월 7일
지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운영 주체파일:넥슨 로고.svg[[파일:넥슨 로고 다크.svg
컬러 (미정)
경기장비타500 아프리카 콜로세움 (2023 ~)
주관 방송사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 (2023 ~)
송출 플랫폼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파일:유튜브 로고.svg[[파일:유튜브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트위치 로고.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파일:틱톡 로고.svg파일:틱톡 로고 화이트.svg
공식 홈페이지파일:kart Esports logo.png
공식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틱톡 아이콘.svg
중계
채널
ta-hash-start=w-3b90881795de51a01c917b89b39b7ea5[[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ta-hash-start=w-20c2353f84c70aee669d3af094e1f056[[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영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ta-hash-start=w-98e4dbfb61d50954bbe01c256b5f01cb[[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트위치 아이콘.svg
최근 우승팀- ( - 회)
최근 개인전 우승자- ( - 회)
최다 우승팀- ( - 회)
최다 우승자통산 - ( - 회)
개인전 - ( - 회)
팀전 - ( - 회)

1. 개요
2. 참가 방식
3. 참가팀 로스터
3.1. 프로게임단
3.2. 아마추어 게임단
4. 역사
5. 컬러
5.1. 컬러별 우승 횟수
6. 역대 입상 기록
6.1. 역대 우승자
6.2. 역대 시즌별 입상자
7. 역대 리그 기록
7.2. 역대 로고
7.3. 역대 리그 방식
7.7. 역대 중계진
7.8. 역대 라이벌리
8. 주요 선수
8.1. 2023 ~
9. 징크스
10. 우승 트로피
11. 시즌별 평가
12. 비판 및 문제점
13. 논란 및 사건 사고
14. 전망
15. 여담
1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넥슨이 주최하는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 운영되었던 정규 e스포츠 대회인 카트라이더 리그의 후속 대회이다.


2. 참가 방식[편집]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의 경우 인게임 그랑프리 모드의 그랑프리 포인트(GPP)를 기준으로 예선 참가 인원을 선발한다. 기존 카트라이더 리그에서의 그랑프리 모드와 운영되는 방식이 약간 다른데, 카트라이더 리그의 그랑프리는 애초에 리그 예선 참가 인원 선발만을 목적으로 리그 개막 이전 특정 기간동안만 오픈되었고, 그랑프리 마감 시점의 점수를 기준으로 예선 참가 인원을 선발했다. 하지만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의 그랑프리는 리그 일정과 무관하게 상시 오픈되기 때문에 마감일의 점수를 기준으로 할 수 없으니 일정 기간을 정해 그 기간 중 달성한 최고 점수를 기준으로 하는 식이다.

개인전의 경우 예선 참가 신청자 중 스피드전 GPP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상위 128명이 선발되며, 팀전의 경우 네 팀원의 GPP[1]를 합산한 숫자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상위 32팀이 선발된다. 사전 선발된 프로팀의 경우 예선이 면제된다.



3. 참가팀 로스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참가팀 로스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 프로게임단[편집]


||


파일:kdl icon.svg[[파일:kdl icon dark.svgKartrider: Drift League
해체된 프로게임단
||
[ 펼치기 · 접기 ]

창단일참가 시즌해체일최고 성적
팀 로고-년 -월 -일--년 -월 -일팀전 : -위
개인전 : -위




3.2. 아마추어 게임단[편집]


파일:kdl icon dark.svgKartrider: Drift League
아마추어 게임단
||
[ 펼치기 · 접기 ]

참가 시즌최고 성적
파일:finale e-sports.pngPre-1
2023
팀전 : 8위
개인전 : 17위
파일:KDL_Seraphic.pngPre-1
Pre-2
팀전 : 5위
개인전 : 22위
파일:KDL_Aura_logo.pngPre-1
Pre-2
팀전 : 3위
개인전 : 우승
파일:KDL_Sensation_logo.png[[파일:KDL_Sensation_white_logo.pngPre-1
Pre-2
팀전 : 4위
개인전 : 9위
파일:NUTMITE.png[[파일:NUTMITE_white.png2023팀전 : -
개인전 :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프로게임단



[ 아마추어 게임단 기록 기준 ]
  •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요건을 충족한 아마추어팀만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 리그 본선에 2회 이상 출전한 아마추어팀.
      • 이때의 출전 횟수는 카트라이더 리그 출전 횟수를 포함합니다.
      • 팀 로스터가 직전 시즌 대비 3인 이상 유지되었을 경우, 팀명이 변경되더라도 같은 팀으로 간주합니다.
    • 최종 순위 4위 이상을 기록함과 동시에 프로팀보다 더 높은 최종 순위를 기록한 아마추어팀.



4.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컬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컬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1. 컬러별 우승 횟수[편집]


컬러개인전 우승 횟수
옐로우 Yellow
(1번 시드)
블랙 Black
(2번 시드)
레드 Red
(3번 시드)
화이트 White
(4번 시드)
퍼플 Purple
(5번 시드)
그린 Green
(6번 시드)
블루 Blue
(7번 시드)
오렌지 Orange
(8번 시드)


6. 역대 입상 기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대 입상 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1. 역대 우승자[편집]


'''
파일:KDL logo light.pngKARTRIDER: DRIFT LEAGUE
역대 개인전 우승자
''' ||
[ 펼치기 · 접기 ]

2023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선수 이름
2024 S12024 S22024 S3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선수 이름
★ ★
선수 이름
★ ★ ★
선수 이름
★ ★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팀전 우승팀



파일:KDL logo light.pngKARTRIDER: DRIFT LEAGUE
역대 우승팀 로스터
||
[ 펼치기 · 접기 ]

시즌스태프Entry
2023팀 로고감독코치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파일:crwn.png 주장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2024-1팀 로고감독코치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파일:crwn.png 주장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파일:사람 임시 프로필 사진.png
팀원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개인전 우승자




6.2. 역대 시즌별 입상자[편집]


파일:logo_kartriderleague_w_KDL.png 역대 시즌별 입상자
리그명우승준우승3위
Pre-1[프리시즌]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WANGDONG FREECS
DogWorld(노준현 SPEAR(유창현
SUNGBIN(배성빈 Zzz(이재혁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
InSoo(박인수 HyunSu(박현수
JiMin(김지민 NEAL(리우창헝 SeungHa(정승하
파일:KDL_Aura.png
Aura
Seize(임재원 Hero(김다원
Knock(송용준 Navi(최승현 Taek(이은택
Zzz 이재혁NEAL 리우창헝InSoo 박인수
Pre-2[프리시즌]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
KWANGDONG FREECS
DogWorld(노준현 SPEAR(유창현
SUNGBIN(배성빈 Zzz(이재혁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Liiv SANDBOX
ByungSu(고병수 HyunSu(박현수
JiMin(김지민 NEAL(리우창헝 Daldda(홍승민
파일:락스 이스포츠 로고.svg
Seongnam ROX
JJONG(한종문 DDING(이명재
Duzzi(김지환 Spell(김우준 PLANZY(석주엽
Luning 홍성민NEAL 리우창헝Cool 이재혁
2023




7. 역대 리그 기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역대 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프리시즌 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1. 역대 대회[편집]





7.2. 역대 로고[편집]




7.3. 역대 리그 방식[편집]




7.4. 역대 트랙 목록[편집]





7.5. 역대 스토브리그[편집]





7.6. 역대 베스트 레코드[편집]





시즌 베스트 레코드 최다 보유자역대 베스트 레코드 최다 보유자
팀전개인전팀전개인전
종합종합
• 2023 시즌 1 기준


7.7. 역대 중계진[편집]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역대 중계진
ta-hash-start=w-3b90881795de51a01c917b89b39b7ea5[[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R
리그캐스터해설자아나운서
프리시즌 1 ~ 현재성승헌정준, 김대겸최시은
ta-hash-start=w-20c2353f84c70aee669d3af094e1f056[[파일:미국 영국 국기.svg Global
리그캐스터해설자아나운서
프리시즌 1 ~ 현재-Wolf, State, Chobra, Peter-


7.8. 역대 라이벌리[편집]




8. 주요 선수[편집]



8.1. 2023 ~[편집]




9. 징크스[편집]





10. 우승 트로피[편집]




11. 시즌별 평가[편집]





12. 비판 및 문제점[편집]





13.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4. 전망[편집]


국내에서의 카트라이더 IP의 인지도는 높은 편이지만, 해외에서도 인지도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중국/대만을 넘어 서양권 게이머들의 인식을 바꿔 게임의 인지도를 높이고, 유저 수를 많이 확보해야 카트라이더 e스포츠의 흥행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는 기획 단계에서부터 글로벌 e스포츠를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지만, 아직까지는 대한민국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모습이다. KDL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는 대한민국 국적자이거나, 외국인이라면 적법한 자격을 갖고 대한민국에 체류 중인 사람이어야 하고, 팀전의 경우 로스터의 절반 이상을 한국인으로 구성해야 하는 등의 제한사항이 존재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발로란트의 경우처럼 KDL을 LCKVCK와 같이 대한민국 지역 리그로서 운영하고, Worlds발로란트 챔피언스처럼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상위 대회를 새롭게 개최하는 방식으로 글로벌 리그를 실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가 전 세계적으로 많은 플레이어 수를 확보한다는 가정 하에서 가능한 일이다.

2월 1일에 넥슨이 아프리카TV와 e스포츠 및 콘텐츠 제작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는 기사가 나왔으며, 아프리카TV는 e스포츠 전용 경기장 및 플랫폼, 콘텐츠 지원을 통해 글로벌 뷰어십을 높이고 스트리머 발굴 등 넥슨과의 협력 사업을 위한 여러 제반 활동을 진행함에 따라 4월에 진행할 프리시즌 토너먼트나 9월에 개최될 정규 리그를 상암 아프리카 콜로세움이나 비타500 아프리카 콜로세움에서 진행할 가능성이 생겼다. 그리고 2월 8일 라이브 방송에서 잠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후자가 될 확률이 높고 프리시즌 1에서 현실이 되었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가 2023년 e스포츠 종목선정 결과 발표에 따라 일반 종목에서 전문 종목으로 승격되었다.# 전문 종목은 일반 종목과는 달리 지속적인 투자로 인해 프로 선수가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는 환경이 되는 종목으로, 이는 KDL이 LCK발로란트 리그와 같은 지위로써 인정받을 수 있게 됐다는 의미가 된다.

3월 9일에 발표된 규정에 따라[3] 모든 선수들은 로마자로 이루어진 레이서명을 제출해야 한다. 그 동안 한국에서만 리그가 개최되었기에 모든 선수들이 본명 그대로 출전하였으나 전 세계를 타깃으로 잡은 게임이기 때문에 해외 유저들이 선수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4]

그리고 프리시즌 1을 전후해 카트리그 후반기를 지배했던 스타 선수들이 하나둘씩 떠나가면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현재 게임 자체의 평가가 썩 좋지 않아서 신인 유입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많다. 그나마 카트리그 막바지에 가능성을 보였던 홍성민이나 프리시즌 1의 유일한 신인이었던 김지환이 첫 프리시즌에서 나름대로 인상적인 모습을 남기긴 했으나, 리그가 제대로 굴러가려면 더 많은 신진 선수들이 활약해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게임이 뉴비들을 더 이끌어와야만 하는데 게임의 상태가 안 좋으면 뉴비는 자연스레 줄어들 수 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세대교체가 실패해 리그 자체가 사라지거나 그들만의 소규모 리그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5] 리그가 아무리 잘나간다고 해도 본 게임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리그의 수명도 장담할 수 없기에 팬들은 매일마다 카트 드리프트의 개발진들을 성토하고 있다.

여기에 스타 선수들이 떠나간다는 말은 곧 팬덤의 이탈이라는 말과 같은 만큼 더더욱 우려가 크다. 이미 카트리그를 끝으로 군 문제 및 은퇴로 사실상 커리어가 끝난 전대웅김승태, 유영혁을 시작으로, 프리시즌 1이 끝나고 리그의 아이콘 가운데 한 명이자 최고의 인기 스타였던 박인수 역시 군 문제로 리그를 떠나게 되면서 걱정이 더욱 커지는 중. 카트리그의 황제였던 문호준이 현역으로 돌아오긴 했으나 정작 프리시즌 1에서 생각보다 아쉬운 기량을 보여준데다, 그간 여러 구설수에 휘말리며 인기 못지 않게 비호감 여론 역시 커진 탓에 예전과 같은 화제성은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15. 여담[편집]




16. 관련 문서[편집]







[1] 팀원이 5명 이상이라면 전체 팀원 중 GPP가 높은 상위 4명의 GPP를 합산한다. 이때의 GPP는 스피드전 점수과 아이템전 점수 중 높은 점수를 사용한다.[2] 프로팀 소속이라도 개인전에서는 카트리그 본선 참가이력을 필수적으로 요구했기에 개인전에는 출전하지 못했다.[3]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는 '대회별 세부 규정집'에 따라 레이서명을 제출해야 한다.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공인 대회 세부 규정집 4.6.2.항 중[4] 이는 글로벌 e스포츠 리그를 기획하고 있었던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서 선행 적용된 적이 있다. RUNMINGI로 참여한 민기나, VEGA로 참여한 이진건 등을 비롯해 모든 선수가 영어 레이서명을 사용했다.[5] 스타크래프트 2가 국내에서 이 루트를 탄 전형적인 게임이다. 종목 전환 직후에도 어느정도 등장하는 신예 선수, 스타1 막바지에 입문한 선수들이나 스타1에서 잠재력을 터뜨리지 못한 유망주들이 한동안 리그를 나름대로 잘 이끌어나갔다. 그러나 결국 스타2라는 게임 자체에 유입이 대폭 줄어들면서 프로리그가 폐지되고 국내 프로팀들은 대부분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며, 현재는 GSL이나 IEM 등 국내외 개인리그로 명맥이 이어지는 중이다. 그리고 리그에 출전하는 선수들을 보면 못해도 6~7년 전부터 계속해서 뛰어온 선수들만 가득함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