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트라이더 리그/리그 관련 기록

덤프버전 :

||


1. 개요
2. 리그 관련 기록
2.1. 종합
2.2. 개인전
2.2.1. 개인전 퍼펙트 게임
2.2.2. 역대 개인전 컬러별 우승자
2.3. 팀전
4. 역대 중계진


1. 개요[편집]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역대 기록을 기재한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91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91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리그 관련 기록[편집]



2.1. 종합[편집]


역대 카트라이더 리그의 각종 기록
항목선수명기록비고
최다 우승문호준14회
최다 연속 우승이은택4연속시즌 제로~ 버닝 타임
최다 연속 준우승유영혁6연속[1]
최다 준우승유영혁13회
최다 3위유창현6회
최다 입상유영혁25회
최다 연속 입상유영혁14연속15차 리그 ~ 2019 시즌 1
최다 결승 진출자문호준25회
최다 결승 연속 진출자유영혁20연속10차 리그 ~ 2020 시즌 2
양대 우승자문호준듀얼레이스 시즌 3, 2020 시즌 1
NEAL2022 시즌 2
최다 양대 우승문호준2회
양대 준우승자김승태듀얼레이스 시즌 1
유영혁듀얼레이스 시즌 2
듀얼레이스 시즌 3[2]
박도현2019 시즌 2
송용준2020 시즌 2
유창현2021 시즌 2
박인수2021 수퍼컵
이재혁2022 시즌 2
최다 양대 준우승유영혁2회
양대 유관 달성자강석인7차 리그[개인전], 팀스피릿[팀전]
유영혁12차 리그[개인전], 팀스피릿[팀전]
문호준5차 리그[개인전], 듀얼 레이스[팀전]
김승태듀얼 레이스 2[개인전], 에볼루션[팀전]
유창현2021 시즌 1[개인전], 듀얼 레이스 2[팀전]
NEAL2022 시즌 2[개인전·팀전]
최다 양대 입상박인수 6회19-1, 20-2, 21-1, 21-SC, 22-1, 22-SC
양대 입상박인수6회19-1, 20-2, 21-1, 21-SC, 22-1, 22-SC
유창현5회DR2, 19-1, 21-1, 21-2, 22-2
문호준4회DR1, DR3, 19-1, 20-1
유영혁3회DR1, DR2, DR3
이재혁20-2, 22-2, 22-SC
김승태2회DR1, DR2
배성빈19-2, 21-SC
송용준20-2, 22-1
박현수21-1, 21-2
NEAL22-2, 22-SC
박도현1회19-2
통산 최다 상금문호준3억 이상
제일 오래 담당한 주관 방송사파일:온게임넷 로고.svg2005년 ~ 2013년1차 리그 ~ 17차 리그, 팀스피릿
제일 오래 사용된 경기장용산 e-Sports 스타디움2006년 ~ 2013년4차 리그 ~ 17차 리그, 팀스피릿
e스포츠 명예의 전당 HONORS[3]문호준통산 14회 우승[우승횟수]
e스포츠 명예의 전당 HEROES[4]문호준2018년 헌액통산 14회 우승[우승횟수]
김승태통산 9회 우승
유영혁통산 7회 우승
최영훈통산 7회 우승
강석인통산 5회 우승
이은택통산 4회 우승
박인재통산 3회 우승
유창현2019년 헌액통산 6회 우승
박인수2021년 헌액통산 6회 우승
이재혁통산 5회 우승
박현수통산 5회 우승
배성빈2022년~2023년 헌액통산 4회 우승
정승하통산 4회 우승
e스포츠 명예의 전당 STARS[5]문호준2회2019, 2020
박도현1회2020
배성빈1회2020
최영훈1회2020
최고령 입상자홍석현만 32세시즌 제로 준우승[6]
최연소 입상자문호준만 9세 2개월 20일4차 리그 3위
최고령 우승자강석인만 28세2020 시즌 2
최연소 우승자문호준만 9세 10개월 20일5차 리그
최고령 카트리거김형태만 37세1978년생[7]
최연소 카트리거문호준만 9세 2개월 20일1997년생
최초 외국인 카트리거NEAL대만 국적2022 시즌 2
최초 사용 카트바디세이버 PRO1차 리그
최다 사용 카트바디세이버 SR6회5차 리그 ~ 10차 리그
플라즈마 EXT6회11차 리그 ~ 15차 리그, 팀스피릿
파라곤 96회에볼루션 ~ 2019 시즌 1
최다 사용맵(스피드전)광산 꼬불꼬불
다운힐
22회1차 리그 ~ 11차 리그
14차 리그 ~ 15차 리그
시즌 제로 ~ 2019 시즌 1
2020 시즌 1[8]
최다 사용맵(아이템전)공동묘지
유령의 계곡
10회시즌 제로 ~ 2019 시즌 1
2021 시즌 2
최초 사용 리버스 트랙[R]포레스트 지그재그
[R]사막 빙글빙글 공사장
3차 리그
최다 사용 리버스 트랙[R]해적 로비 절벽의 전투10회5차 리그 ~ 6차 리그
11차 리그 ~ 15차 리그
팀스피릿, 2020 시즌 2 ~ 2021 시즌 1
기록 최소 격차김대겸, 홍은표0.000초 [9]3차 리그 그랜드파이널 11트랙
[R] 포레스트 지그재그
강석인, 김진용5차 리그 와일드카드전 10트랙
아이스 부서진 빙산
강석인, 전대웅듀얼 레이스 3 4강 1경기 1세트
5트랙 노르테유 익스프레스[10]
배성빈, 송용준2022 시즌 1 16강 패자전 7트랙
코리아 다이나믹 서울
김승태, 정승하2022 시즌 2 8강 풀리그 9경기
4트랙 네모 강철바위 용광로
이재혁, 박현수2022 시즌 2 16강 승자전 9경기
9트랙 차이나 골목길 대질주
정승하, 박현수2022 시즌 2 팀전 결승진출전 1세트
6트랙 신화 차원의 관문[11]
최초 야외 결승전메가박스 코엑스2차 리그
결승전 최다 관중3,000명2019 시즌 2[12]
결승전 최소 관중약 150명9차 리그[13]
최다 실시간 시청자수 경기28만명 + α 기사 [14]글로벌 슈퍼 매치
우승 미 경험자 중 최다 본선 진출자장진형14회5차 리그 ~ 10차 리그
15차 리그 ~ 버닝타임
듀얼 레이스 3
입상 미 경험자 중 최다 본선 진출자김택환12회
우승 미 경험자 중 최다 준우승자송용준6회팀전: 20-1, 20-2, 22-1, 22-2, 22-S
개인전: 20-2
현역 카트리거 중
데뷔가 가장 빠른 선수[15]
유영혁2007년7차 리그
최다 본선 출전자유영혁28회
최다 연속 본선 진출 보유자유영혁27연속9차 리그 ~ 2022-SC
총합 최다 베스트 레코드 보유자[16]이재혁56개
[에볼루션 ~ 2022-SC 상세 기록]
2017 DR2 : 팀전 1개
2018 DR 3 : 개인전 1개
2019-2 : 팀전 1개, 개인전 5개
2020-1 : 팀전 6개, 개인전 1개
2020-2 : 팀전 2개, 개인전 2개
2021-1 : 팀전 1개, 개인전 3개
2021-2 : 팀전 1개, 개인전 4개
2021-SC : 팀전 4개, 개인전 4개
2022-1 : 팀전 6개, 개인전 2개
2022-2 : 팀전 5개, 개인전 3개
2022-SC : 팀전 1개, 개인전 3개
최초 2회 우승강진우4차 리그, 6차 리그
최초 연속 우승문호준9차 리그 ~ 10차 리그
최초 올리타이어김선일
최초 정규리그 출전 여성 라이더안한별6차 리그
1차 리그 출전자 중 최후의 카트리거조현준6차 리그
단일 년도 1vs1
경기 최다 승리자[1vs1]
박인수9승2022년
단일 년도 1vs1
경기 최다 패배자[1vs1]
이재혁9패2022년
첫 데뷔 이후 첫 우승까지
가장 오래 걸린 선수
전대웅첫 데뷔: 9차 리그
첫 우승: 듀얼 레이스 1
첫 데뷔 이후 첫 입상까지
가장 오래 걸린 선수
이중선첫 데뷔: 11차 리그
첫 입상: 2019 시즌2 3위[17]
연습 카트 탑승박인재12차 리그 1라운드
넥슨 아레나 리그 개근유영혁, 최영훈


2.2. 개인전[편집]


항목선수명기록비고
개인전 최다 우승문호준10회
개인전 최다 연속 우승문호준3연속9차 리그 ~ 11차 리그
13차 리그 ~ 15차 리그[18]
개인전 최다 준우승박인수5회19-1, 21-1, 21-SC, 22-1, 22-SC
최다 개인전 연속 입상문호준13연속4차 리그 ~ 듀얼 레이스 1
최다 개인전 입상문호준16회
최다 개인전 결승 진출자문호준18연속4차 리그 ~ 2020 시즌 1
최다 개인전 결승 연속 진출자
개인전 결승 최소 경기 우승자[80점제]문호준11경기14차 리그
개인전 결승 최다 경기 우승자[80점제]문호준18경기5차 리그
개인전 결승 최다 연속 트랙 1위문호준8연속14차 리그 9~11경기 ~
15차 리그 1~5경기
단일 개인전 결승 최다 연속 트랙 1위문호준, 유영혁5연속15차 리그 결승전[19]
1, 2위 점수 최다 격차문호준, 전대웅44점14차 리그 결승전 (89 vs 45)[20]
1, 2위 점수 최소 격차[21]최영훈, 한승철0점2019 시즌 1 32강 패자부활전[22]
결승전 1, 2위 기록 최소 격차[23]이재혁, 박인수0점2022 시즌 수퍼컵 (82점)
역대 개인전 경기 퍼펙트문호준3회6차 리그 2라운드 A조[60점제]
12차 리그 1라운드 A조 1차 예선
14차 리그 1라운드 A조 1차 예선
전대웅1회12차 리그 1라운드 C조 1차 예선
김승태1회2019 시즌 1 16강 패자전
박인수1회2021 시즌 2 32강 B조
시즌 전체 경기 1위 우승문호준3회14차리그, 듀얼레이스3, 2020-1
김승태1회듀얼레이스2
이재혁1회2022-SC
최다 전 경기 옐로라이더 우승문호준2회14차리그, 2020-1
최다 결승 옐로우 라이더[24]문호준9회5차 리그 ~ 7차 리그, 10차 리그
12차 리그 ~ 14차 리그
듀얼 레이스 3, 2020 시즌 1
역대 최저 포인트이석철-40점7차 리그 1차 예선[25]
50포인트제 8위 최다 득점자김승래29점2020 시즌 2 16강 패자전
김기수2021 시즌 1 16강 승자전
60포인트제 8위 최다 득점자이재인32점듀얼 레이스 2 결승전 1세트
80포인트제 8위 최다 득점자김승태46점2021 시즌 1 결승전 1세트
김지민2021 수퍼컵 결승전 1세트
50포인트제 최다 트랙12경기5차 리그 3라운드 쿼터파이널 C조, D조
60포인트제 최다 트랙13경기4차 리그 1라운드 FINAL
6차 리그 1라운드 D조
듀얼레이스 1 결승전 1세트
70포인트제 최다 트랙20경기7차 리그 와일드카드전
80포인트제 최다 트랙18경기5차 리그 그랜드 파이널
최다 조 1위문호준51회자료4차 리그 ~ 15차 리그
최다 베스트 레코드 보유자[26]이재혁28개
[듀얼레이스 3 ~ 2022-SC 상세 기록]
2018 DR 3 : 1개
2019-2 : 5개
2020-1 : 1개
2020-2 : 2개
2021-1 : 3개
2021-2, 2021-SC : 4개
2022-1 : 2개
2022-2, 2022-SC : 3개
최연소 우승자문호준만 9세 10개월 20일5차 리그
최연소 입상자만 9세 2개월 20일4차 리그 3위
최고령 우승자NEAL만 24세 1개월 11일2022 시즌 2
최고령 입상자만 24세 3개월 20일2022 수퍼컵 3위


2.2.1. 개인전 퍼펙트 게임[편집]


파일:logo_kart.png 카트라이더 리그 역대 개인전 퍼펙트 게임
시즌달성자스코어일자경기
6차 리그문호준60점2007.08.112라운드 A조 1차 예선
12차 리그50점2010.10.121라운드 A조 1차 예선
전대웅2010.10.191라운드 C조 1차 예선
14차 리그문호준2011.09.291라운드 A조 1차 예선
2019-1김승태2019.03.0216강 패자전
2021-2박인수2021.08.07[27]32강 B조


2.2.2. 역대 개인전 컬러별 우승자[편집]


페인트yellowblackredwhitepurplegreenblueorange
해당 선수김대겸[28][29]
김진용[30]
문호준[31]
유영혁[32]
김승태[33]
이재혁[34]
한창민[35]
문호준[36]
문호준[37]
유영혁[38]
이재혁[39]
강진우[40]
강석인[41]
이재혁[42]
이재혁[43]
유창현 [44]
NEAL[45]
김다원 [46]김진희[47]N/A



2.3. 팀전[편집]


항목선수명기록비고
팀전 최다 우승김승태8회
팀전 최다 연속 우승이은택4연속시즌 제로~ 버닝 타임
팀전 최다 준우승유영혁9회[48]
최다 우승 팀파일:Liiv SANDBOX 로고.svg5회[전신]2019 시즌 2, 2021 시즌 1~2
2022 시즌 2~수퍼컵[49]
최다 연속 우승 팀파일:DFI BLADES_logo.png2연속2020 시즌 1 ~ 2020 시즌 2[HLE]
2021 수퍼컵 ~ 2022 시즌 1[BD]
파일:Liiv SANDBOX 로고.svg2021 시즌 1 ~ 2021 시즌 2
2022 시즌 2 ~ 2022 수퍼컵[50]
최다 준우승 팀파일:DFI BLADES_logo.png3회2019 시즌 2, 2021 시즌 1 ~ 2021 시즌 2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2022 시즌 1~2022 수퍼컵[51]
최다 연속 준우승 팀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3연속2022 시즌 1~2022 수퍼컵
최다 팀전 입상유영혁18회팀 스피릿 ~ 2020 시즌 1
2021 시즌 2 ~ 2022 수퍼컵
최다 팀전 연속 입상최영훈15연속에볼루션 ~ 2022 수퍼컵
최다 팀전 결승 진출자유영혁14회팀스피릿 ~ 2019 시즌 1
2022 시즌 1~수퍼컵
최다 팀전 결승 연속 진출자유영혁11연속팀스피릿 ~ 2019 시즌 1
팀전 최다 베스트 레코드 보유자[52]이재혁28개
[에볼루션 ~ 2022-SC 상세 기록]
2017 DR2, 2019-2 : 1개
2020-1 : 6개
2020-2 : 2개
2021-1, 2021-2 : 1개
2021-SC : 4개
2022-1 : 6개
2022-2 : 5개
2022-SC : 1개
팀전 리그 전승 우승 팀Fantastic45전 5승유영혁, 강석인, 박인재, 박준혁
(팀스피릿)
서한-퍼플 모터스포츠3전 3승[53]박인재, 정재훈, 최영훈, 이은택
(시즌 제로)
유베이스-알스타즈5전 5승이재인, 이다빈, 한주성, 이은택
(배틀 로얄)
쏠라이트-인디고4전 4승문호준, 전대웅, 최영훈, 강석인
(듀얼 레이스 1)
파일:SAVIORS Logo.png7전 7승박인수, 유창현, 김승태, 한승철
(2019 시즌 1)
파일:Liiv SANDBOX 로고.svg5전 5승박인수, 박현수,
김승태, 정승하, NEAL
(2022 수퍼컵)
8강 풀리그 최다 1위
[기준1]
파일:Liiv SANDBOX 로고.svg3회2020 시즌 1, 2020 시즌 2, 2021 시즌 2
8강 풀리그 전승팀
[기준1]
파일:DFI BLADES_logo.png2회2021 시즌 1[HLE], 2022 시즌 2[54][55]
파일:Liiv SANDBOX 로고.svg1회2021 시즌 2[56]
팀전 최다 연속 승리김승태, 박인수, 유창현11연승2019 시즌 1 8강 ~ 2019 시즌 2 4강[57]
박도현, 배성빈, 최영훈2020 시즌 2 준플레이오프 ~
2021 시즌 1 결승 진출전[58]
팀전 최다 연속 패배박대한16연패2020 시즌 2 8강 ~
2021 수퍼컵 8강 조별리그[59][60]
팀전 최고 승률 선수(100경기 이상)박현수65.5%[61][62][63]
역대 팀전 스피드 최고 승률 팀파일:BLADES_logo.png81.0%
17승 4패
2021 수퍼컵에서 달성
역대 팀전 아이템 최고 승률 팀파일:플레임 로고.png72.2%
26승 10패
2019-1 시즌에서 달성
승자연전 ALL-KILL박인수1회2022 시즌 2
(VS 송용준, 노준현, 이재혁, 유영혁)


2.3.1. 에이스 결정전+승자연전[편집]


단순 에이스 결정전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해당 문서 참조.

항목선수명기록비고
최다 출전자유영혁26회
최다 승리자박인수14승
최다 패배자유영혁, 이재혁14패
최고 승률(3경기 이상)김다원80%4승 1패
최저 승률(3경기 이상)안혁진0%0승 3패
최다 연승박인수6연승
최다 연패문호준, 이재혁5연패
두 자리 수 승리박인수14승
유영혁12승
이재혁11승
최다 관중 경기박인수 vs 문호준1,600명2019 시즌 1 결승전


2.3.2. 팀전 퍼펙트 게임[편집]


파일:logo_kart.png 카트라이더 리그 역대 팀전 퍼펙트 게임
시즌달성 팀스코어상대 팀일자경기
에볼루션파일:DR_SI.png6:0R&DERS2015.08.158강 KSF
3경기
CJ레이싱6:0파일:E-Rain B.png2015.09.058강 슈퍼레이스
6경기
버닝 타임파일:BT_RS.png8:0예일모터스
&그리핀
2016.02.27결승전
듀얼 레이스파일:DR_SI.png6:0파일:BT_RS.png2016.08.20A조 승자전
듀얼 레이스 2파일:SEDA-Racing.png6:0파일:케이프컴-판타스틱.png2017.01.14A조 1경기
파일:SEDA-Racing.png6:0파일:SENSELINE.png2017.08.20A조 승자전
파일:SEDA-Racing.png8:0파일:Qsenn_Black.png2017.03.184강 패자전
듀얼 레이스 3파일:penta_xenics.png6:0파일:oz_aoxtick.png2018.01.20A조 1경기
파일:afreeca_winner.png6:0파일:afreeca_professional.png2018.01.20B조 1경기
파일:penta_xenics.png6:0파일:penta_wheels.png2018.02.24A조 최종전
파일:penta_xenics.png8:0파일:oz_fantastick.png2018.03.104강 2경기
2019-1파일:SAVIORS Logo.png6:0파일:엑스큐어 로고.png2019.02.02A조 6경기
2019-2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6:0파일:GEEKSTAR.Eclipse.png2019.08.17A조 2경기
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6:0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2019.10.264강 5경기
파일:team_HLE.png6:0파일:ROX Raptors.png2019.10.264강 6경기
2020-1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6:0파일:team_HLE.png2020.01.048강 1경기
파일:team_HLE.png6:0파일:OZ_Gaminglogo.png2020.01.158강 7경기
파일:Afreeca Freecs 로고(2016-2020).png6:0파일:카트라이더 Xquare.png2020.02.088강 19경기
파일:ROX-Gaming-logo.png6:0파일:firstA-logo.png2020.02.158강 24경기
2020-2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6:0파일:team_HLE.png2020.08.228강 1경기
파일:team_HLE.png6:0파일:STARLIGHT.png2020.09.028강 7경기
파일:GC BUSAN.png6:0파일:MOTO.png2020.09.028강 8경기
파일:STARLIGHT.png6:0파일:MOTO.png2020.09.058강 10경기
파일:SANDBOX_Gaminglogo_square.png6:0파일:MOTO.png2020.09.128강 13경기
파일:ROX-Gaming-logo.png6:0파일:MOTO.png2020.09.268강 22경기
2021-1파일:team_HLE.png6:0파일:Challenger_logo.png2021.03.208강 10경기
파일:team_HLE.png6:0파일:Lily_logo.png2021.03.318강 15경기
파일:SANDBOX_Gaming_2020.png6:0파일:est2021.png2021.03.318강 16경기
파일:team_HLE.png6:0파일:Frozen_logo.png2021.04.178강 25경기
2021-2파일:Liiv SANDBOX 로고.svg6:0파일:Afreeca_Freecs_logo.png2021.08.078강 6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6:0파일:2021-2 threat.png2021.08.118강 8경기
파일:blades_logo.png6:0파일:TBP_icon.png2021.08.188강 12경기
파일:Afreeca_Freecs_logo.png6:0파일:2021-2 threat.png2021.08.218강 13경기
파일:ROX-Gaming-logo.png6:0파일:2021-2 threat.png2021.08.258강 16경기
파일:blades_logo.png6:0파일:2021-2 dynamite.png2021.09.048강 7경기
2022-1파일:Team_GP_logo.png6:0파일:DDK_2022_S1.png2022.03.028강 4경기
파일:AxelZ Logo.png6:0파일:DDK_2022_S1.png2022.03.128강 10경기
파일:blades_logo.png6:0파일:LATTE Logo.png2022.03.268강 17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6:0파일:DDK_2022_S1.png2022.03.268강 18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6:0파일:DDK_2022_S1.png2022.04.068강 23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6:0파일:Phase Logo.png2022.04.098강 26경기
2022-2파일:DFI BLADES_logo.png6:0파일:2022-2 APEX.png2022.07.238강 1경기
파일:Liiv SANDBOX 로고.svg6:0파일:2022-2 Savage.png2022.07.278강 3경기
파일:DFI BLADES_logo.png6:0파일:2022-2 SINKHOLE.png2022.08.108강 11경기
2022-SC파일:Liiv SANDBOX 로고.svg6:0파일:2022-S Lunatic.png2022.11.058강 B조 - 1경기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6:0파일:Glorious H.png2022.11.128강 A조 - 3경기

3. ROYAL ROADER[편집]


||




4. 역대 중계진[편집]


카트라이더 리그 역대 중계진
리그캐스터해설자
1 ~ 2차 리그전용준서동현, 성상훈
3차 리그전용준서동현, 황성진, 성두현[64]
4차 리그전용준황성진
5 ~ 9차 리그전용준황성진, 김대겸
10차 리그전용준김창선, 김대겸
11 ~ 14차 리그, 팀스피릿전용준정준
15차 리그전용준정준, 김대겸
16 ~ 17차 리그성승헌정준
시즌 제로 ~ 2022-SC성승헌정준, 김대겸
DR3 10회차김수현[65]정준, 김대겸
2021-1 5회차최시은[66]
2021-SC 3회차성승헌정준, 윤찬희[67]
2022-2 1, 2회차성승헌김대겸, 박인재[68]
카트라이더 리그 역대 카트걸
1대
김비유
2015.12 ~ 2016.07
2대
김수현
2016.08 ~ 2017.04
3대
김효진
2018.01 ~ 2019.03
4대
최시은
2019.08 ~ 2022.1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4:48:08에 나무위키 카트라이더 리그/리그 관련 기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 B C 팀전 에이스 결정전, 팀전 결승전 Phase 3 승자연전, 개인전 1vs1 타이브레이커, 개인전 결승전 2SET[2] 최초이자 유일한 2연속, 2회 양대 준우승.[개인전] A B C D E [팀전] A B C D E [개인전·팀전] 양대로얄로더[3] 헌액 과정은 '1. e스포츠 명예의 전당 HEROES 부문 헌액자 2. e스포츠 역사에 길이 남을 위대한 업적을 이룸 3. 선수 경력 5년 이상, 은퇴 발표 후 1년 지난 선수 중 은퇴 확인서 제출' 조건을 모두 충족한 선수들 중 심의를 거쳐 선정된다.[우승횟수] A B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서는 동일 시즌 우승 2회(=양대 우승)는 1회 우승으로 간주한다[4] 헌액 조건은 '1. 통산 3회 우승 이상 2. 국제 대회 준우승 이상의 성적 3. LCK 1000킬 이상 달성 4. LCK 2000어시스트 이상 달성 5. SPL 100승 이상' 중 1가지 충족인데, 카트라이더는 국제대회가 전무하므로 3회 우승 이상이 요건이다.[5] 매년 팬투표로 선정한다.[6] 당시 1983년생이였으며 2014년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단 한 번 본선에 진출하였고, 그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7] 2014년 넥슨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제로 단 한 번 본선에 진출하였고, 단 한 경기만 하고 광탈하였다.[8] 사실 이 시즌이 처음 개막할때는 없었던 트랙이였지만, 다시 리그를 재개할 때 본선 규정을 일부 변경했는데 그때 진행 트랙도 같이 변경되면서 추가되었다.[9] 그 증거로 포인트가 동일.[10] 참고로 둘은 같은 팀이었다.[1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여기서 이 두 사람은 같은 팀 소속이다.[12] 당시 결승전 개최 장소가 서울특별시의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이었다.[13] 당시 결승전 개최 장소가 속초시의 설악 워터피아였다. 거기에 수영장에 입장한 사람들에 한해 경기 관람이 가능하여 관중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14] 중국 doyu tv에서 25만명, 대만 공식 채널에서 3만명 이상이 동시에 봤고 한국에서도 카트라이더 첫 국제대회라서 결승전급 온라인, 오프라인 열기가 있었다. 2019 시즌1 결승전 시청자 수가 5만5천명이었던걸 감안하면 어마어마한 숫자인 셈. 특히 대만의 인구는 한국의 절반도 되지 않는데 3만명이나 이 경기를 지켜봤다. 그리고 중국에선 유명 카트 스트리머들도 개인방송에서 중계했었다는걸 감안하면 중국에서만 35만명 정도가 봤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에서 대흥행한 카러플이 출시되고 2달 뒤에 글로벌 슈퍼매치가 열렸다는 것도 시청자 상승에 플러스 요소였다.[15] 여기서의 현역이란, 가장 최근의 열렸던 본선 리그 참가자를 기준으로 본다.[16] 배틀로얄부터 공식적으로 집계 시작[17] 햇수로는 9년, 일수로는 3465일.[18] 12차 때 유영혁이 못 막았다면, 무려 7연속 개인전 우승이라는 대기록이었다.[80점제] A B [19] 문호준 1~5경기 유영혁 6~10경기[20] 여담으로, 1등과 2등의 격차가 2등과 8등의 격차보다 컸다.[21] 동점자 재대결을 시행한 경우 0점으로 표기.[22] 당시 동점자 규정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주최 측의 임의적인 판정으로 1위 트랙 수-마지막 트랙 순위 순서대로 1위를 결정했다. 1위 트랙 수는 같았고 최영훈이 마지막 트랙에서 상위 순위를 차지해 최영훈이 1위로 판정되었다.[23] 8명이 뛰는 1세트만 한정.[60점제] [24] 1차 리그, 팀 리그 제외[25] 해설진이 완주는 가능하냐고 비꼬았을 정도... 심지어는 완주를 하자 놀라기도 하였다! 참고로 최고로 잘한 경기는 6위 완주. 김대겸 해설위원의 말에 따르면 이 선수는 사실 프로급 카트 시절에 유명했던 초 올드 유저였다고 한다. 즉 SR과 L2에 적응을 잘 못하여 이런 부진한 성적을 낸 듯. 참고로 본선 진출도 임정빈 선수가 기권하였고, 추가진출 대상자로 뽑힌 사람마저 기권해서 탈락자 중 2등이었던 그가 얼떨결에 진출했던 것이었다...는 맞는 말이지만, 당시 PC방 오프라인 예선 GP커트라인이 4000~4100점인것을 감안한다면 실력은 여전했으나, 방송무대로 인한 긴장감과 경험부족이 원인이었을 것.[26] 배틀로얄부터 공식적으로 집계 시작[27] 이 날, 개인전에 앞서 박인수의 소속팀 리브 샌드박스가 아프리카 프릭스를 6:0 퍼펙트로 이겼기 때문에 박인수는 양대 퍼펙트를 달성했다.[28] 1차 리그 우승[29] 단, 이때는 페인트 규정이 따로 없었다. 실제로는 7번 시드.[30] 2차 리그 우승[31] 5차, 10차, 13차, 14차 리그, 듀얼 레이스 3, 2020-1 우승[32] 듀얼 레이스 1 우승[33] 듀얼 레이스 2 우승.[34] 2021 수퍼컵, 2022 수퍼컵 우승.[35] 3차 리그 우승[36] 9차 리그 우승[37] 11차, 15차 리그 우승, 2019-1 우승.[38] 12차 리그 우승[39] 2020-2 우승.[40] 4차, 6차 리그 우승[41] 7차 리그 우승[42] 2021-2 우승.[43] 2019-2 우승.[44] 2021-1 우승.[45] 2022-2 우승[46] 2022-1 우승.[47] 8차 리그 우승[48] 팀전 우승 5회[전신] SAVIORS 포함시 6회우승[49] SAVIORS 포함시 2019 시즌 1도 우승[HLE] A B [BD] [50] 단 전신인 SAVIORS포함시 3회로 단독 최다 연속 우승팀이 된다.[51] 단 전신인 Flame포함시 4회로 단독 최다 준우승팀이 된다.[52] 배틀로얄부터 공식적으로 집계 시작[53] 사실 이때는 토너먼트 형식이었으므로, 패배를 한 번이라도 하면 우승을 하지 못한다. 그래서 다른 리그와 달리 역대 팀전 전승팀을 언급할 때는 제외되는 경우가 대다수.[기준1] A B 2020 시즌 1부터 적용.[54] 스피드전 0패[55] 허나 시즌 시작전 징계로 인해 세트 득실 1과 트랙 득실 3을 빼야하는 불명예까지 가져가고 말았다.[56] 심지어 이들은 에결도 없이 무세트 패로 1위를 달성했다.[57] 4강에서 한화생명e스포츠에게 패[58] 결승전에서 샌드박스 게이밍에게 패[59] A조 풀리그 3경기에서 THREAT에게 승[60] 21-1은 예선 탈락.[61] 364승 191패 (2022 시즌 1 종료 기준)[62] 100경기 이상을 제외한다면 NEAL(100.0%, 3전 3승)[63] 여담으로 1위부터 4위까지 모두 LSB 선수다. (2위 김승태, 3위 박인수, 4위 정승하)[64] 이 당시 전용준과 인연이 닿아서였는지 전용준의 카트라이더 완전정복 튜토리얼 영상에서 전용준의 담당 코치로 나오기도 했으며 당시 카트 선수였던 조현준과 맞선 적도 있다.[65] 성승헌 캐스터의 해외 출장으로 인해 대신 캐스터를 맡았었다.[66] 성승헌 캐스터가 개인 사정(타 게임 중계)으로 불참해 대신 캐스터를 맡았었다.[67]ROX 코치, 감매. 김대겸 해설위원이 개인 사정(정황상 코로나 검사)으로 인해 불참하게 되자 대신 일일 해설을 맡았었다.[68] 기존 정준 해설의 건강상의 문제(정황상 코로나19 확진)으로 박인재 해설이 대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