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와라기 모모카

최근 편집일시 : (♥ 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650><table bordercolor=#000000><table bgcolor=#fff,#1c1d1f><bgcolor=#000><color=#fff><^|1><height=32px>

Ba.
Dr.
Vo.
Gt.
Key.
## 구분선
[[루파(걸즈 밴드 크라이)|{{{#ddd,#383b40
파일:루파 트위터 아이콘.png

}}}]][[아와 스바루|{{{#ddd,#383b40
파일:아와 스바루 트위터 아이콘.png
아와
스바루
}}}]][[이세리 니나|{{{#ddd,#383b40
파일:이세리 니나 트위터 아이콘.png
이세리
니나
}}}]][[카와라기 모모카|{{{#ddd,#383b40
파일:카와라기 모모카 트위터 아이콘.png
카와라기 모모카
}}}]][[에비즈카 토모|{{{#ddd,#383b40
파일:에비즈카 토모 트위터 아이콘.png
에비즈카
토모
}}}]]
바로가기: 음반 목록
||



걸즈 밴드 크라이의 등장인물
카와라기 모모카
河原木 桃香 | Momoka Kawaragi
파일:카와라기 모모카 - 걸즈 밴드 크라이.jpg
애니메이션 비주얼 이미지 (보기)

파일:Momoka Kawaragi.webp

나이20세
생일2004년[1] 12월 9일
출신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
신장164cm
혈액형O형
소속토게나시 토게아리
파트기타, 서브보컬 ,리더
성우파일:일본 국기.svg 유리

캐릭터 소개 PV

1. 개요
2. 특징
4. 인간 관계
5. 사용 장비
6. 기타



1. 개요[편집]


밴드란 건 말이야, 하고 싶은 말이 잔뜩 쌓인 녀석이 모여서 하는 거라고 생각하거든.

걸즈 밴드 크라이등장인물이자 서브 주인공.

작중 주역 밴드인 토게나시 토게아리기타 담당이다.[2]

2. 특징[편집]


인디 밴드 다이아몬드 더스트의 전 멤버로[3], 본편 이전 시점에 탈퇴해서 스트리트 뮤지션을 하고 있었다. 본인 말에 따르면 나름 인기를 얻긴 했지만 꾸준한 수익 창출이 안되는 이 바닥 특유의 사정에 크게 절망하던 와중[4] 멤버들 간 이견 차로 해체를 했고 혼자 길거리 공연을 하며 근근히 버텼지만 이제 한계라 생각해 모든 걸 접을 생각이었다고. 그러던 중 우연히 자신의 광팬을 자처하는 구마모토에서 도쿄로 상경한 이 작품의 주인공이자 재수생이세리 니나와 엮이게 되고, 그녀의 뛰어난 가창력과 프론트맨으로서의 기본기가 갖춰진 천부적인 실력에 매력을 느껴 마음을 고쳐먹고 밴드를 결성하게 된다.

거칠고 쿨해보이는 겉모습과 달리 남을 잘 챙기고 옆에 기댈 수 있게 도와주는 큰 언니 혹은 선배 같은 성격이 특징. 사람이 너무 좋아서 탈인 부분도 있는데, 다이아몬드 더스트 활동 당시 작곡을 담당했던 터라 곡들의 저작권 지분을 많이 갖고 있었는데 동료들이 돈 문제에 처했다는 걸 눈치채곤 자신의 지분을 공짜로 전부 양도 했을 정도. 나중에 괜찮은 곡을 써서 다시 벌면 된다는 생각으로 그랬다는데, 정작 이 무상 양도 때문에 본인 지갑 사정은 매우 안 좋아져(...) 뮤지션 생활을 접을 뻔 했다는 게 아이러니.

여리여리한 느낌으로 비춰지는 걸 싫어하는지라, 펑크 룩 스타일의 옷과 장식을 하고 다니는 걸 즐긴다. 여기에 마음에 안 드는 상대에겐 냅다 Fuck You를 날리는 약간은 거친 면 때문에 작중에선 보이시 속성을 담당하고 있다. 여기에 가정적인 면도 있어서 굉장히 요리를 잘하며[5] 니나의 자취방을 방문해 부족한 것들을 사라고 조언하는 등[6] 생활력도 좋다.

본편 1화 시점까지 어느 집에서 한 남성과 홈 쉐어를 하고 있었는데, 연인 관계는 아니고 그냥 집세를 아끼려고 그랬다는 듯. 그 남자가 동성애자라는 사실을 알았음에도 전혀 신경쓰지 않고 "활동 시간 대가 달라 어차피 가끔 마주치는 사이라 문제될 건 없었어~"라고 쿨하게 넘기고 있었다. 본인 입장에선 성적인 문제에서 안전할 수 있으니 더 환영할 일일지도 모른다.

작중에선 감정적으로 가장 불안하고 격정적인 모습을 많이 보이는 니나를 이해하고 잘 돌봐주는 모습이 특히 부각되는데, 그녀의 끔찍하고 불행한 과거사를 묵묵히 들어주곤 그런 것들 전부 네 노래이자 목소리로 표현해보라고 조언해 토게나시 토게아리의 보컬이자 프론트맨이 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치고, 제대로 된 아군 한 명 없던 그녀의 첫 번째 아군을 자처하는 걸 넘어 니나의 행동 패턴을 파악해 능숙하게 조련(?)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길거리 라이브를 할 계획이라는 말에 니나가 부끄러워서 못 하겠다고 반대하자, 그럼 밴드에서 나가라며 받아치고, 이에 니나가 자리를 뜨자 놀라서 붙잡기 위해 쫓아가려는 스바루를 말리는 등 아무렇지 않다는 반응을 보인다. 결국 이 무관심에 니나가 바로 다시 돌아와 항복을 하는데, 이는 니나가 진심으로 밴드 활동에 큰 관심을 두고 있으니 그만 둔다는 언행 자체가 그냥 허세일 뿐이고 무관심으로 대응하면 본인이 알아서 돌아올 거란 걸 내다보고 한 행동이다.

밴드가 3인이던 시절 때 유일하게 어른이라는 책임감 때문에 혼자 밴드를 금전적으로 떠받들고 있었다. 노래방 비용, 밴드 연습실 비용 심지어 밴드 라이브의 니나와 스바루의 티켓 할당량 비용[7] 전부 본인이 부담했다. 니나와 스바루가 내려고 하는 걸 거부했으며, 스바루는 모모카의 눈엔 니나와 스바루가 아직 어른이 아니기에[8] 돈을 못 내게 하는 거라고 해석한다.


3. 작중 행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카와라기 모모카/작중 행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인간 관계[편집]



자신을 힘내게 하는 아이이자, 보컬이자 프론트맨으로서의 재능과 악과 깡이 넘치며 자신을 포기하고 길을 잃지 않게 해준 고마운 후배이자 정신적 지주. 과거에는 모모카의 노래가 니나를 위로하고, 현재는 니나의 노래가 모모카에게 용기를 주고 있다. 니나를 자신의 노래라고 부르며 버팀목이 되어주고 있다.

모모카가 전부터 알고 있던 드러머. 모모카와 니나의 갈등 당시 모모카를 설득하기도 했다.

큰 접점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토모가 음악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처음 내자 크게 반색하였다. beni-shouga 시절 토모와 루파의 음악을 모모카가 좋게 평가하기도 했다.

밴드 내 유이한 성인이자 언니뻘 멤버로 술친구 역할도 하고 있다.

  • 다이아몬드 더스트(나나, 린, 아이)
고등학교 동창이자 옛 밴드 멤버. 모모카는 이들과의 약속을 져버렸다고 스스로 여겨 대면을 피하고 있다.

  • 미네
친한 선배 음악인이자 보컬리스트. 모모카에게 영감을 준 존재로 이 사람을 맞이할 때면 묘하게 텐션이 오르는지 하이톤으로 맞이한다.

  • 하야시
인디 시절 친분이 있던 라이브 하우스 사장.

5. 사용 장비[편집]



5.1. 기타[편집]


파일:Psychederhythm_Psychomaster_Blue_Grand_Metallic_Matching_Head.jpg
애니메이션 5화에서의 모습Psychederhythm Psychomaster
작중에서 메인으로 사용하는 일렉트릭 기타는 사이키델리즘(Psychederhythm)의 Psychomaster 모델이다. 애니메이션 1화의 노상 라이브 장면에서 연주하던 것으로 처음 등장하였으며, 이후 모모카가 음악을 그만두고 고향인 홋카이도로 돌아간다며 잠시 니나에게 양도되었으나, 곧 니나가 기차역에서 모모카를 붙잡으며 음악을 계속해줄 것을 간청하였고, 모모카 또한 음악을 그만두려던 뜻을 접으면서 본래 주인에게로 돌아오게 되었다. 니나에게 잠시 양도되면서 위쪽 엉덩이 부분에 매직으로 가운뎃손가락 세우면서 살아!라는 문구가 적혔는데, 이 문구는 다시 모모카가 이 기타를 사용하게 된 이후에도 지워지지 않고 그대로 남게 되었다.

여담으로 니나가 모모카가 남겨놓고 간 이 기타를 빨리 돌려주겠다며 비 오는 거리를 달려가다가 미끄려져 넘어지면서 기타가 그대로 땅바닥에 내동댕이쳐지는 연출이 나오는데, 이 장면이 기타를 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여러모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9]###

파일:Girls_Band_Cry_Ep.04_Momoka_Gibson_60s_J-45.png
파일:Gibson_60s_J-45_Original_Ebony.jpg
애니메이션 4화에서의 모습Gibson '60s J-45 Original
애니메이션 4화에서 니나와 대화하면서 연주하던 어쿠스틱 기타깁슨'60s J-45 오리지널이다.


5.2. 이펙터[편집]


파일:Girls_Band_Cry_Ep.03_Momoka_Ditto_Looper.png
파일:Girls_Band_Cry_Ep.05_Momoka_Effects.png
애니메이션 3화에서 루퍼를 사용하는 모습애니메이션 5화에서의 모습
애니메이션 3화에서는 니나스바루 앞에서 루퍼[10][11]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때 사용한 제품은 TC Electronic의 Ditto X4 루퍼이다.

그 외에 같은 화에서 합주실에서 사용하는 이펙터 체인이 묘사되었고, 애니메이션 5화에서는 아예 페달보드가 등장하기도 했는데 (사진), 각각 ProCo의 RAT 디스토션[12], BOSSGE-7 그래픽 이퀄라이저, BOSS의 CE-2W 코러스, 그리고 위에서 앞서 언급된 TC Electronic의 Ditto X4 루퍼로 보인다.


5.3. 그 외[편집]




6. 기타[편집]


  • 경트럭과 승합차를 운전하는 모습이 나오는데, 한국으로 치면 1종 보통 운전 면허를 갖고 있는 걸로 보인다. 다만, 7화에서 클러치 조작 미숙으로 시동을 꺼 먹는 모습이 나온 걸 보면 수동변속기 차량 운전 경험이 부족한 듯.

  • 연습할 스튜디오를 빌리느라 돈과 시간에 쪼들리는 모양이다. 자기소개 영상에서는 니나가 잡담으로 시간 뺏는걸 디스하는 건 덤.

  • 루파처럼 술을 좋아해서 뭔가를 마시는 장면이라면 십중팔구는 맥주를 마시고 있다. 니나의 언급으로는 잘마신다고 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막상 작중에서는 거하게 취한 것이 2번이나 나왔다. 여담으로 취하면 상대방에게 감정적으로 끈덕지게 들러붙으며 푸념을 늘어놓는 굉장히 성가신 타입의 주사를 부린다.

  • 핸드폰 액정이 화려하게 깨져 있다.

  • 고등학교 동창이자 전 동료인 다이아몬드 더스트 멤버들에게는 '모모캉'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1화에 스치듯 나오는 본인의 SNS 아이디에도 반영되어있다.

  • 뱀을 무서워하고 싫어한다. 토모의 애완뱀이 풀려나 있는 것을 보고 쌩난리가 난 전적이 있다. 드라마 씨디에서도 모모카가 오기전에 사라진 토모의 뱀을 찾아다닌 에피가 있다.

  • 기타를 들고 있는 상황에서 대화를 하는 상황에서는 스스로 효과음을 넣는 경우가 곧잘 있다.

  • 다이아몬드 더스트의 전멤버로 멤버 중 가장 유명한 탓인지 각종 제안은 주로 모모카를 통해 들어온다. 스카우터 대응도 담당하는 등 상술되어 있듯이 리더로 보는 시선이 많다. 다만 본인은 신카와사키 시절인 4화에서 '리더니까 (스바루 설득 도움을)부탁한다.'는 니나의 말에 언제 리더가 되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 토게나시 토게아리의 프로듀싱을 담당하고 있는 타마이 켄지는 걸밴크의 스토리 플롯을 보고 그녀가 2000년대 초 밴드 음악과 보컬로이드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이며, BPM이 빠르며 인간이 못 부르는 수준의 곡으로 밴드를 하고 싶어할 거라 생각했다고 한다. 또한 대중에게 두루두루 먹힐 법한 안이한 음악은 피할 것 같다는 인상이 있었다고. 그러한 전제로 만들어진 곡이 바로 '이름 없는 모든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13 01:07:45에 나무위키 카와라기 모모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음악 프로듀서인 타마이 켄지의 인터뷰에서 작중 설정 상 모모카가 2004년생임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2] 서브 보컬도 겸하고 있으며, 작곡과 작사도 도맡아서 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밴드의 리더 포지션.[3] 정황상 기타겸 보컬 포지션이었던 걸로 보인다.[4] 개인 생활비 및 밴드 활동으로 들어가는 돈을 벌기 위해 알바 지옥에 시달려 힘들었다고 자조한다.[5] 스스로 말하기를, 작곡하는 느낌과 비슷해 좋아한다고.[6] 식칼은 날이 안 좋았고, 식기도 부족했다. 전등은 수명이 다 되어 가서 불빛이 약해 새 것으로 갈아 끼워야 할 형편이었다.[7] 티켓 자체는 니나와 스바루가 나눠주러 다녔지만, 이 티켓을 산 건 모모카다. 따라서 니나와 스바루가 티켓 팔이에 실패해도 니나와 스바루가 보는 금전적 손해는 없다.[8] 정확히는 니나는 대학 입시 준비, 스바루는 연예 학원 활동 중이라 알바까지 하며 돈 벌기 빠듯하기 때문에 이 둘에게 금전적 부담을 짊어지게 할 수 없다고 본 듯하다.[9] 사이키델리즘 자체가 일본 공방에서 소규모로 제작되는 하이엔드 브랜드인데다, 신품으로 팔리는 가격 또한 한화 약 3, 4백만 원으로 대단히 비싸기 때문이다. 그걸 운반용 케이스도 없이 들고 달리다가 땅에, 그것도 빗물이 고인 땅바닥에 내팽개친 것이니...[10] 내부 저장장치에 연주를 계속 덧씌우며 끊임없이 재생하는 이펙터로, 원맨 밴드의 라이브 퍼포먼스나 합주 시 세션이 부족할 때 주로 사용된다.예시[11] 작중에서는 루프 머신이라는 이름으로 지칭된다.[12] 다만 합주실에서의 모습과 페달보드에서 묘사된 모습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전자는 일반 RAT의 사이즈이나, 페달보드에서의 모습은 노브의 배열 패턴을 제외하면 미니형 모델인 Lil'RAT과 유사한 가느다란 모양으로 나왔었기 때문. 일단 해당 작품이 공식적으로 RAT의 제조사인 프로코와의 디자인권 협의가 되어있지 않기에 의도적으로 모델링을 다르게 만들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건 앞서 언급된 BOSS형 페달들 또한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