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첸나이 슈퍼 킹스

덤프버전 :

||



파일:Chennai_Super_Kings_Logo.svg
첸나이 슈퍼 킹스
Chennai Super Kings
정식 명칭चेन्नई सुपर किंग्स[1]
சென்னை சூப்பர் கிங்ஸ்[2]
창단2008년
참가 리그인디언 프리미어 리그
이니셜CSK
연고지타밀나두 주 첸나이 (Chennai)
경기장M.A. 치담바람 스타디움
(M. A. Chidambaram Stadium)
[3][4]
모기업첸나이 슈퍼 킹스 크리켓 유한회사
(Chennai Super Kings Cricket Ltd.)
[5]
구단주파일:인도 국기.svg 나라야나스와미 스리니바산
(Narayanaswami Srinivasan)
[6]
단장파일:인도 국기.svg 러셀 라다크리슈난
(Russell Radhakrishnan)
감독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스티븐 플레밍
(Stephen Fleming)
주장파일:인도 국기.svg 마헨드라 싱 도니
(Mahendra Singh Dhoni)
[7]
우승 기록
인디언 프리미어 리그
(5회 / 최다 우승)
2010, 2011, 2018, 2021, 2023
챔피언스 리그 T20
(2회 / 최다 우승)
2010, 2014

1. 개요
2. 상세
3. 유명 선수
4. 기록
4.1. 팀 성적
5. 현재 스쿼드
5.1. 상세 스쿼드




1. 개요[편집]


#WHISTLEPODU
인도의 타밀나두 주 첸나이를 연고지로 하고 있는 인디언 프리미어 리그크리켓 팀이며, 이 팀의 주장이자 인도의 리빙 레전드인 M.S.도니(M.S. Dhoni)가 소속되어 있다.

이 팀의 서포터즈 애칭은 옐로우 져지(Yellow Jersey)이다.

2. 상세[편집]


출범 시즌인 2008년에 아쉽게 라자스탄 로열즈에 밀려 준우승을 기록하였지만, 2010년에 첫 우승을 거둔 이래로 2011년 리그 최초 2연패를 달성하였다.

상술된 2008, 2010, 2011 시즌 이후에도 2012, 2013, 2015, 2018, 2019, 2021, 2023 시즌에 파이널을 더 진출하여 지금까지도 IPL에서 파이널 진출 경험이 가장 많은 구단이다.[8][9]

2023 시즌에서는 10구단 중에 14경기 8승 5패 1NR을 기록하여 정규 2위로 구단 역대 12번째로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렇게 플레이오프 파이널 진출 결정전에서 맞붙은 1위 팀 구자라트 타이탄스를 꺾고 팀 통산 10번째 파이널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리고 파이널에서 다시 만난 GT를 극적인 결과로 무너뜨리며 IPL 통산 5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10]

3. 유명 선수[편집]




4. 기록[편집]



4.1. 팀 성적[편집]


파일:Chennai_Super_Kings_Logo.svg
첸나이 슈퍼 킹스 역대 시즌 성적
[ 펼치기 · 접기 ]

시즌 정규 순위 정규 승률 전체 승률 플레이오프 결과
20083/88 / 14 (57.1%)9 / 16 (56.3%)준우승
20092/88 / 13 (61.5%)
(나머지 1경기 NR)
8 / 14 (57.1%)준결승
20103/87 / 14 (50%)
(NRR +0.274)
9 / 16 (56.3%)우승
20112/109 / 14 (64.3%)
(NRR +0.443)
11 / 16 (68.8%)
20124/98 / 15 (53.3%)
(나머지 1경기 NR, NRR +0.100)
10 / 18 (55.6%)준우승
20131/911 / 16 (68.8%)
(NRR +0.530)
12 / 18 (66.7%)
20143/89 / 14 (64.3%)
(NRR +0.385)
10 / 16 (62.5%)최종 3위
(Q2 스테이지 탈락)
20151/89 / 14 (64.3%)10 / 17 (58.8%)준우승
2016승부조작 스캔들로 인한 리그 불참
2017
20182/89 / 14 (64.3%)
(NRR +0.253)
11 / 16 (68.8%)우승
20192/89 / 14 (64.3%)
(NRR +0.131)
10 / 17 (58.8%)준우승
20207/86 / 14 (42.9%)
(NRR -0.455)
진출 실패
20212/89 / 14 (64.3%)
(NRR +0.455)
11 / 16 (68.8%)우승
20229/104 / 14 (28.6%)
(NRR -0.203)
진출 실패
20232/108 / 13 (61.5%)
(나머지 1경기 NR, NRR +0.652)
10 / 15 (66.7%)우승



5. 현재 스쿼드[편집]


||




5.1. 상세 스쿼드[편집]


[ 펼치기 · 접기 ]

첸나이 슈퍼 킹스 2023 시즌 플레잉 스쿼드
배터 (Batter) / 배트맨 (Batsman)
등번호국적한글 이름영문 이름생년월일비고
7파일:인도 국기.svgM.S. 도니M.S. Dhoni1981년 7월 7일주장
위켓 키퍼
9파일:인도 국기.svg암바티 라유두Ambati Rayudu1985년 9월 23일
31파일:인도 국기.svg루투라지 가이크와드Ruturaj Gaikwad1997년 1월 31일
21파일:인도 국기.svg아진키야 라하네Ajinkya Rahane1988년 6월 6일
88파일:뉴질랜드 국기.svg데번 콘웨이Devon Conway1991년 7월 8일외국인 선수
-파일:인도 국기.svg수브란슈 세나파티Subhranshu Senapati1996년 12월 30일
66파일:인도 국기.svg샤이크 라시드Shaik Rasheed2004년 9월 24일
올라운더 (All-Rounder)
등번호국적한글 이름영문 이름생년월일비고
8파일:인도 국기.svg라빈드라 자데자Ravindra Jadeja1988년 12월 6일
29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드웨인 프리토리우스Dwaine Pretorius1989년 3월 29일외국인 선수
18파일:잉글랜드 국기.svg모인 알리Moeen Ali1987년 6월 18일외국인 선수
25파일:인도 국기.svg시밤 두베Shivam Dube1993년 6월 26일
10파일:인도 국기.svg라지바르단 항가르게카르Rajvardhan Hangargekar2002년 11월 10일
55파일:잉글랜드 국기.svg벤 스톡스Ben Stokes1991년 6월 4일외국인 선수
27파일:인도 국기.svg니샨트 신두Nishant Sindhu2004년 4월 9일
74파일:뉴질랜드 국기.svg미첼 샌트너Mitchell Santner1992년 2월 5일외국인 선수
19파일:인도 국기.svg아제이 만달Ajay Mandal1996년 2월 25일
-파일:인도 국기.svg바가트 바르마Bhagath Varma1998년 9월 21일
볼러 (Bowler)
등번호국적한글 이름영문 이름생년월일비고
24파일:인도 국기.svg투샤르 데슈판드Tushar Deshpande1995년 5월 15일
46파일:인도 국기.svg프라샨트 솔랑키Prashant Solanki2000년 2월 22일
90파일:인도 국기.svg디파크 차하르Deepak Chahar1992년 8월 7일
33파일:인도 국기.svg무케쉬 차우다리Mukesh Choudhary1996년 7월 6일부상
-파일:인도 국기.svg아카슈 싱Akash Singh2002년 4월 26일무케쉬 차우다리 대체자
61파일:스리랑카 국기.svg마히슈 티크샤나Maheesh Theekshana2000년 8월 1일외국인 선수
98파일:인도 국기.svg시마르지트 싱Simarjeet Singh1998년 1월 17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카일 제이미슨Kyle Jamieson1994년 12월 30일외국인 선수
부상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시산다 마갈라Sisanda Magala1991년 1월 7일외국인 선수
카일 제이미슨 대체자
99파일:스리랑카 국기.svg마티샤 파티라나Matheesha Pathirana2002년 12월 18일외국인 선수
구단 정보 | 스쿼드 틀 : [ 일반 · 상세 ]
감독 : 파일: 뉴질랜드 국기.svg 스티븐 플레밍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06:43:52에 나무위키 첸나이 슈퍼 킹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힌디어[2] 타밀어[3] 수용인원 50,000명[4] 1980년에 완공되었다. 이 경기장의 이름에 언급되는 인물인 M.A. 치담바람(Muthiah Annamalai Chidambaram, 1918~2000)은 SPIC(인도 남부 석유화학사업공사)의 회장이었으며, 마드라스(Madras, 첸나이의 옛 명칭)에서 시장직을 역임했다. 그는 타밀나두의 크리켓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여 타밀나두 크리켓 협회(TNCA)의 회장이 되었고, 또한 인도 크리켓 관리위원회(BCCI)의 회장직에 올라서기까지 하였다. 특히 그가 TNCA 회장이었던 시절 마드라스 크리켓 팀(Madras Cricket Team)의 홈 구장으로 예정되어 있는 이 경기장의 건설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5] 인도의 시멘트 제조 기업인 인디아시멘트(India Cements)의 자회사로, 리그 출범 시즌인 2008년부터 2014년까지는 인디아시멘트가 자체 법인으로 구단을 운영했었다.[6] 구단의 모기업인 인디아시멘트의 대표이사이며, 인도 크리켓 관리위원회(BCCI) 前 의장 및 국제 크리켓 평의회(ICC) 前 회장이다.[7]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인도 크리켓 국가대표팀의 주장으로 활약하면서 크리켓 월드컵 등 여러 크리켓 국제대회에서 우승을 많이 달성하였다.[8] 현재 2022 시즌까지 진행되었던 IPL 16시즌 동안 절반이 넘는 비율로 무려 10회나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특히 더 놀라운 것은, 팀이 2015 시즌 이후 구단 측의 승부조작 논란으로 인해 2시즌 참가 정지 징계를 받아 사실상 14개 시즌밖에 출전하지 않았음에도 70%가 넘는 확률로 파이널에 진출한 것이다.[9] 참고로 CSK는 IPL에서 서스펜디드 징계를 받은 2016~2017년을 제외한 2019년까지 플레이오프10연속으로 진출했었으며, 2020 시즌에 처음으로 정규시즌 4위권 안에 들지 못한 채 7위를 기록하면서 플레이오프 연속 진출 기록이 깨졌지만 그래도 현재까지 살아남은 IPL 원년 7구단 중에서 2023 시즌 기준으로 14시즌 중 12시즌이나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PO 진출 확률이 매우 높은 구단이다.[10] 2023 시즌 우승으로 5번이나 우승하여 뭄바이 인디언스와 최다 우승 기록 타이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