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가의 토토(애니메이션)

최근 편집일시 : (♥ 1)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창가의 토토

창가의 토토 (2023)
窓ぎわのトットちゃん
Totto-Chan: The Little Girl at the Window
파일:창가의 토토 메인 포스터.jpg
일본 포스터 ▼
파일:창가의 토토 애니메이션.jpg
장르드라마, 교육
감독야쿠와 신노스케(八鍬新之介)
각본야쿠와 신노스케
스즈키 요스케(鈴木洋介)
원작쿠로야나기 테츠코
제작
출연오노 릴리아나
야쿠쇼 코지
오구리 슌

타키자와 카렌
박지윤
장광
캐릭터 디자인카네코 시즈에
총 작화감독
작화감독카토 유코(加藤祐子)
미시마 치에(三島千枝)
요부모토 카즈히코(薮本和彦)
타무라 아츠시
니시무라 타카요(西村貴世)
하야시 카오리(林佳織)
오오시로 마사루(大城勝)
원화니시무라 타카요, 타무라 아츠시, 카와나 쿠미코(川名久美子), 미하라 미치오, 카토 유코, 마스다 히로후미, 아라이 코이치, 코다 마사유키, 히로에 케이스케, 스에요시 유이치로, 호리우치 히로유키
촬영미네기시 켄타로
편집코지마 토시히코
CG 및 모델링
미술쿠시다 타츠야
음향시미즈 요지
음악노미 유지
주제곡아이묭 - 「あのね
제작사파일:일본 국기.svg 신에이 동화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엔케이컨텐츠
배급사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디스테이션
개봉일파일:일본 국기.svg 2023년 12월 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5월 29일
화면비
상영 시간114분 (1시간 53분 56초)
대한민국 총 관객수14,829명 (2024년 6월 20일 기준)
상영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포스터
3. 예고편
3.1. 기타 영상
4. 시놉시스
5. 등장인물
6. 주제가
7. 평가
8. 기타



1. 개요[편집]


창가의 토토 소설을 원작으로 2023년 12월 8일 일본에서 개봉한 애니메이션. 감독은 야쿠와 신노스케.


2. 포스터[편집]


파일:창가의 토토 런칭 포스터.jpg
파일:창가의 토토 메인 포스터.jpg
파일:학교의 토토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메인 포스터학교의 토토 포스터


3. 예고편[편집]


한국 런칭 예고편

한국 메인 예고편(더빙)

일본 메인 예고편


3.1. 기타 영상[편집]


일부 공개 영상


4. 시놉시스[편집]


남들과 조금 다르다는 이유로 다니던 초등학교에서 쫓겨나게 된 ‘토토’는 엄격한 규율로 가르치는 이전 학교와 달리, 있는 그대로의 ‘토토’를 품어주는 새로운 학교로 가게 된다.

인자한 교장 선생님, 전차로 만들어진 교실, 다양한 친구들과 함께하는 그곳에서 ‘토토’는 모든 것이 새롭고 설레는 나날을 맞이하는데…

사랑스러운 토토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5. 등장인물[편집]


상위 문서등장인물 참고.

  • 토토짱 - CV: 파일:일본 국기.svg 오노 리리아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윤




  • 오이시 선생님 - CV: 파일:일본 국기.svg 타키자와 카렌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해은


6. 주제가[편집]


아이묭 - 「あのね


7. 평가[편집]


평이 매우 좋다. 연출, 작화, 각본, 음악, 성우 연기도 훌륭하고 주제의식도 뛰어나 모든 면에서 작품성이 훌륭하다는 평을 들었다.

원작자인 쿠로야나기 테츠코는 1981년 발행한 베스트 셀러인 이 작품을 영상화하고 싶다고 수많은 사람들이 제안했지만 자신의 소중한 어릴 적 기억을 왜곡할 수도 있는 영상화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하지만 이번 애니메이션 영화 기획의 각본을 읽은 후에는 영상화를 승낙하고, 이후 제작 과정에서 본인이 이런 이런 점은 사실과 다르다며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스토리를 보다 리얼하게 만들 수 있도록 조언을 아끼지 않고 도왔다. 시작과 끝 부분의 나레이션도 본인이 직접 했다.

각본가 오코우치 이치로,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 라이터 마피아 카지타, 애니메이션 감독 오오츠카 마사히코, 애니메이터 츠치가미 이츠키가 호평했다.

배경 시기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일본이었고 한반도는 그 시기 일제강점기였기 때문에 한국인의 입장에서 보기에는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고 그런 사람들도 소수 있지만 오히려 전쟁과 군국주의, 과거의 일본을 비판하는 작품이므로 전혀 문제 없다. 한국에 서적이 출판됐을 때도 전혀 논란 없던 작품이며 개봉 후 영화 리뷰 사이트에서도 이런 내용이 불쾌했다는 리뷰는 거의 없다. 영화 초반부터 당시 일본 사회가 비정상적이었다는 묘사를 끊임 없이 보여주다 보니 이런 오해는 다른 작품에 비해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도 전혀 비판하지 않고 교육서로 쓰는 작품인데 단순히 배경 시대만 가지고 불편하다는 이야기를 한다면 그건 작품을 제대로 보지 않은 사람일 것이다.

2024년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폴 그리모 상을 수상하였다.

8. 기타[편집]



  • 영화 화면 비율도 일반적인 TV용 사이즈(16:9)가 아니라, 실사영화에서 쓰이는 시네마스코프 비율로 만들어졌다. 그리고 그림체와 색감도 당시(1940년대)의 어린이 잡지와 그림책에 나오는 느낌으로 만들었다.


  • 개봉 이후에는 롯데시네마를 통해서는 저녁 시간에 보기 어렵다. 롯데시네마는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과 상영관을 공유하는 지점이 많은데 흥행과 돈이 훨씬 되는 하이큐 극장판을 황금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편성되면서 주로 낮 시간대에 상영되었다.

  • 크레딧이 올라갈 때 주요 장면에 대한 삽화가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01 06:42:22에 나무위키 창가의 토토(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